View : 73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희-
dc.contributor.author曺秀晶-
dc.creator曺秀晶-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7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24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875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245-
dc.description.abstractThis report presents the problem of how dance is neglected by the general public, and in order to analyze the seriousness of this problem, a survey was conducted on how much knowledge the public have had about dance. Today, our country has achieved a tremendous economic and social growth through a rapid industrialization. However, a full growth of a nation in every way is only possible when industrialization, the upgradation of the living standard of the people, and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all come together. Dance not only fulfills personal desires but also help maintain healthy body and spirit through body movements, and it is an effective means to promote growth in quality of the society through the upbringing of healthy society members and leisure activities which will eventually promote national prosperity on the whole. Therefore, forming a positive awareness is a main task to make dance a part of the society. There are three key elements that will affect the public awaring and understanding of dance: education, dance exposed in the surroundings, and the knowledge of dance already prevailed in the society. However, problems with these three elements face difficulty in providing affirmative knowledge about dance. First of all, in an educational sense, the value of dance is taken all too lightly. For instance,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s, unlike all the other art classes such as drawing and music which are taught independently, dance is taught by a physical educator as a part of physical education class. This results in lack of improvement of dance education in quantity and quality. Nobody can expect to receive a thorough dance education from a non-professional dance instructor or a physical educator who doesn't even know the value of dance and know about little dance repertory. Through a proper dance education, people will become able to appreciate art and will become artists themselves who could enjoy art in everyday life. Secondly, broadly introduced dances that are readily available in our society, however, take only a little part of various dances known to us. Even these dances are performed only by few professional dancers. Although dance is a part of culture that could be enjoyed by the people not only on the stage but also in everyday life, the public doesn't know how to enjoy the dance culture. This could be blamed at the narrow-minded dance education system, inadequate government policy, and the lack of investment on the public institutions. Moreover, the need of interaction between the artists and the audiences will help understand the value of dance and make the public appreciate it. 1992 was "The Year of Dance" and saw increasing number of dance performances but unfortunately lacked the support from the public. Therefore, clear consciousness and tiredless effort by the performers is crucial in solving the matter discussed above. Lastly, to our surprise, there was no indication of negative view or lack of knowledge on dance by the public in the survey conducted. This indicates the improvement of overall educational level in school, which results in better knowledge of art culture in theory by the public. However, indifference in attending dance performances and disinterest in learning dance results in lack of appreciating it. In order to correct inappropriate public view and make a good understanding of dance, continuous formation and support of the official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dance, and, most importantly, ceaseless effort to put a positive view to the general public by the performers as a whole is needed.;본 연구에서는 현재 대중 속에서 무용이 소외되어 있다는 문제점과 그 문제의 심각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무용에 대한 대중들의 인식을 실태조사를 통하여 파악하였다. 오늘날 우리나라는 급속한 산업화로 경제 및 사회발전의 물량적 성장을 이룩하였다. 그러나 연 국가의 발전은 물량적 성장 뿐 만 아니라, 사회 구성원들의 삶의 가치를 극대화하고, 그 질적 발전이 최대한으로 구현될 때 비로소 가능해 진다. 무용은 신체 움직임을 통한 개인 욕구의 충족 및 건강한 심신을 이루게 할 뿐만 아니라 건강한 사회성원의 육성, 건전한 여가문화의 창달로 인하여 결국 국민의 총체적인 복지증진에 기여하는 효과적인 수단이 된다는 점에서 우리사회의 질적 발전을 위한 방법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무용이 대중들의 생활 속에 자리잡기 위해서는 무용에 대한 긍정적 의식풍토를 조성하는 것이 가장 우선적인 과제라 할 수 있다. 일반인들의 무용에 대한 인식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는 교육과 주위에서 접할 수 있는 무용, 그리고 이미 자리잡고 있는 사회적 인식의 세가지로 크게 나뉘어 질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이 세가지 요소가 모두 큰 문제를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대중들의 무용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심어주는데 어려움이 있다. 첫번째, 교육에서의 문제점은 무용교육의 교육적 가치를 매우 경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비롯된다. 중·고등학교에서 타 예술교과는 독립되어 있으나, 무용만은 체육교과의 일부로 포함되어 있으며, 체육교사가 무용교사를 겸하고 있다. 결국, 수업시간의 할당, 평가의 비중에 있어서도 무용은 체육의 영역하에 있으므로 양적으로도 부족할 뿐 만 아니라 질적 향상도 기대될 수가 없다. 무용의 가치가 무엇인 지도 모르는 비전문가에 의한 무용교육, 즉, 무용은 목적과 영역에 따라 기술과 방법이 달라짐에도 불구하고 몇가지의 무용 레퍼토리만을 습득한 체육교사에 의한 무용교육은 진정한 교육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올바른 무용교육을 통해 예술을 감상할 수 있는 능력이 생겨나며 또한 직접적으로 예술을 즐길 수 있는 생활의 예술인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두번째, 주위에서 접할 수 있는 무용의 경우는 현재 무용의 많은 영역, 즉 직접 춤으로써 즐길 수 있는 무용과 남이 춤으로써 즐길 수 있는 무용 중에서 후자에 속하는 예술무용만이 활성화되고 있다는 점과 예술무용마져도 무용인들만의 행사와 같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두가지 차원의 문제를 안고 있다. 무용이란 무대에서 만이 아닌 생활속에서도 향유할 수 있는 문화임에도 불구하고, 일반인들은 무용문화를 향유할 방법을 모르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편협한 무용교육과 정부의 정책 및 공공기관의 투자의 부족이 원인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예술무용이 관객과 함께 하기 위해서는 무용인과 관객의 상호교류를 통해 관객이 하나의 의미를 포착했을 때에 이루어 지는 것이다. 1992년 '춤의 해'에도 무용공연의 양적 증가는 두드러졌으나, 대중들에게는 호응을 얻지 못하였다. 따라서 무용인들의 의식있는 예술활동이 중요하다 할 수 있다. 세번째, 이미 자리잡고 있는 무용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문제는 실태조사에 의해서는 그 문제점이 노출되지 않았다. 이러한 이유는 우리 국민의 전반적 교육수준의 향상으로 이론적으로는 예술문화가 가치로운 것임을 인식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들의 무의식적 사고 속에서 아직도 무용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는 것은 무용공연에 무관심하다는 점과, 또 무용을 배우려는 적극적인 행동을 보여주지 않는다는 점에서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무의식적 인식의 개선을 위해서는 공식적 교육기관을 통한 무용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무용인 전체가 사회일반에 대한 무용의 긍정적 인식의 확대를 위해 부단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무용이 제역할을 다하기 위해서는 무용에 대한 긍정적 의식풍토의 조성과, 이를 위한 무용교육의 올바른 시행, 무용의 두가지 영역인 관람할 수 있는 예술무용 분야와 직접 춤으로써 즐길 수 있는 무용의 두 분야 모두의 활성화가 요구된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기존에 자리잡고 있던 무용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타파를 위한 교육관계자 및 무용인들의 끊임없는 노력이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의 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동기 및 목적 = 1 B.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6 A. 무용의 목적 및 가치 = 6 B. 우리나라 무용의 사회적 위치 = 11 C. 무용개념의 인식과정 = 16 D. 무용의 의식풍토 조성과정 = 20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28 A. 연구의 대상 = 28 B. 연구 기간 = 28 C. 연구 방법 = 29 D. 설문 항목들의 선정 기준 = 31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 37 A. 다지 선다형 문항들에 대한 통계량 = 37 B. 리커트 등간척도들에 대한 통계량 = 60 C. 인적사항에 관련된 문항들에 대한 통계량 = 61 D. 상호관련된 문항들간의 분석 = 64 E. 연구가설의 검정 = 71 Ⅴ. 결론 및 제언 = 82 A. 연구전체의 요약 및 결론 = 82 B. 제언 = 87 Ⅵ. 참고문헌 = 90 부록 = 95 Abstract = 14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41417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무용-
dc.subject대중 인식도-
dc.subject청년기-
dc.subject성인기-
dc.subject.ddc700-
dc.title무용에 대한 대중의 인식도 실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서울의 청년기, 성인기를 대상으로-
dc.title.translated(A) Research on Public's Understanding of Dance : Surveyed on Adolescences and Adults in Seoul-
dc.creator.othernameCho, Soo-Jung-
dc.format.pageix, 14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학과-
dc.date.awarded199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