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7 Download: 0

미혼여성의 성에 관한 연구

Title
미혼여성의 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Unmarried Women's Sexuality : Focusing on Their Abortion Experiment
Authors
이숙경
Issue Date
1993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Keywords
미혼여성낙태Sexuality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필화
Abstract
This paper aims at analyzing the script of unmarried women's sexual relationships through their abortion experiences. This study focused on finding out how unmarried women freed from a "given script", by engaging in premarital sexual relationships, how they adapt with and how they react against a "dominant script"(i.e. they must preserve their chastity) by examining their experience of sexual relations. The content of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ly, this paper aims to explore unmarried women's consciousness of sexuality, their criteria for accepting sexual relationships, their views on sex and love, and the progression to marriage from premarital sexual experience. Secondly,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ir sexual experience is connected with abortion, through surveying the process from contraception and pregnancy to the decision to abort and the actual abortion. The target group for this study is women who have experienced abortion and maintained relationships with their partner. As the method of study, in-depth interviews and case studies were adopted. Interviews were taken for February to December, 1992. From this, 10 cases were selected for case study. As a result, the findings are as follows: Women's understanding of sexuality formed by their premarital sex experiences were varied. However, most women had negative, oppressive, and victimized views of their sexual relationships. These negative views on sex were caused by their reality in which sex, love, and marriage were understood to be unseparable. The male and female power relationship revealed in their sexual relationships revealed how women were subservient to or reacted against the connecting of sex, love, and marriage. That is, before entering the sexual relationship it was the men who were active and initiated the relationship, but once they had a sexual intercourse, the women stuck closely to the men in order to maintain the relationship. Furthermore, the connecting of sex, love, and marriage worked as a hanism for controlling women's sexuality, and such control interrupted use of contraception. If an unmarried woman demanded or prepared for contraception, she could not avoid the suspicion of being unchaste. Therefore, it was hard to prevent conception regardless of their knowledge of contraception. The resulting unwanted pregnancies meant that pregnancy itself was not recognized as the experience of becoming a mother, but as an unwanted burden. This reality of premarital pregnancy, along with the national birth-control policy and prevalent trends of abortion by medical institutions, lead unmarried women to choose abortions readily. Furthermore, since premarital sexual relationships and conception should not be exposed in Korean society, abortion was an easily accessible alternative to solve their problems. As a consequence, abortion can be interpreted as a by-product resulting from the unreasonable script of sexuality appearing in premarital relationships. The aspects of the male-female power relationship revealed in sexual relationships encourages women to utilize their sexuality strategically in this patriarchal society, and through this strategy and calculation women maintain and strengthen the "dominant scripts".;이글은 낙태행위를 통해 미혼여성의 혼전성관계 각본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에서 미혼여성의 성관계 경험을 통해 여성들의 성인식과 성관련 경험의 내용을 살펴보고, 주어진 각본에서 벗어난 여성들이 지배적 각본에 어떻게 적응하고 반발하고 있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연구내용은 첫째, 혼전성경험의 내용을 통해 여성의 성인식, 성관계 수용의 기준, 성과 사랑 그리고 결혼의 연속성에 대해서 살펴볼 것이다. 둘째로 이러한 성관계 경험이 낙태행위와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피임과 임신, 그리고 낙태의 결정과 낙태경험에 이르는 과정을 통해 밝혀낼 것이다. 연구대상을 낙태경험이 있으며, 결혼을 전제로 지속적인 교제를 해온 여성들이다. 연구방법은 이들의 경험세계에 침투해 들어가기 위해서 사례연구를 통한 심층면접법을 사용하였다. 면접은 1992년 2월에서 12월까지 실시되었다. 수집된 사례 수는 총 10사례이다. 이 연구를 통해 밝혀진 내용은 다음과 같다. 혼전성관계속에서 형성된 여성의 성에 대한 인식은 다양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례여성들은 성에 대해 부정적이고, 억압적이며, 피해의식적인 인식을 갖고 있었다. 여성의 성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은 성과 사랑, 결혼이 분리되기 어려운 여성의 현실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성관계에 나타난 남녀 권력관계에는 성, 사랑, 결혼의 연속선속에서 여성들이 어떻게 순응하고 반발하는지가 드러난다. 성관계를 갖기 이전에는 남성이 주도적이고 적극적으로 관계를 유도해 나가지만 성관계를 가진 이후에는 여성이 관계적 유지를 위해서 더욱 집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관계가 결혼을 향한 과정으로서의 의미를 갖고 있으며 성에 대한 능동적 표현이나 요구가 어려운 상황에서 성과 사랑, 그리고 결혼의 연속성은 여성의 성을 통제하는 기제로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통제는 피임의 실천을 저해하고 있다. 미혼여성이 피임을 요구하거나 준비할 경우 정숙하지 못한 여자라는 오명을 무릅써야 하기 때문에 여성들은 피임에 대한 지식이 있고 없고와 크게 상관없이 피임하기가 어렵다. 피임실행의 저조는 원하지 않았던 임신으로 이어지고 임신은 어머니됨의 경험이 아니라 부담스럽고 피하고 싶은 문제로 인식된다. 이러한 임신경험의 내용과 국가의 인구억제 정책으로 인한 낙태만연 풍조, 의료 관행등은 미혼여성의 임신이 낙태로 손쉽게 유도되게 만든다. 또한 혼전성관계와 임신을 드러내서는 안되기 때문에 낙태는 문제 해결을 위한 가장 손쉬운 대안으로 받아들여지게 된다. 낙태행위는 혼전성관계속에 드러난 지배적 성의 각본의 비합리성과 결합에 의해 파생된 문제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성관계의 경험속에 드러난 남녀권력관계의 양상은 가부장제 사회에서 여성이 성을 전략적으로 활용하도록 만들고, 이러한 전략과 계산은 지배적 각본을 유지, 강화하게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