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7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윤재신-
dc.contributor.author김소영-
dc.creator김소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5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65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873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654-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1960년대부터 80년대 초반까지 활동했던 건축가 김중업을 근대 건축가로 재 정의하기 위한 연구이다. 여전히 강력한 건축 흐름 중 하나인 근대건축은 1700년대 중반 서구에서 시작되었다. 그 흐름을 주도한 근대건축가는 산업혁명을 통해 새롭게 부상한 건축 재료, 즉, 유리, 철, 콘크리트 등의 특성과 장점을 형태로 환원시켜 양식을 창출해내는 주체자였다. 재료의 가능성을 확인한 근대건축가들은 ‘공간’이라는 신 개념을 창조해내기도 했다. 결국 이들에 의해 재료와 형태는 서로 불가분의 상관관계를 갖게 된 것이다. 김중업은 르 꼬르뷔제의 제자라는 점으로 한국 건축계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다. 하지만 김중업이 중요한 이유는 ‘곡선의 중첩’, ‘원의 병치’, ‘날카로운 예각의 선’ 등 그만의 독특한 건축 언어를 창출해 냈기 때문이다. 특히 그 형태 언어는 특정 재료, 즉, ‘곡선의 중첩’은 노출 콘크리트로, ‘원의 병치’는 벽돌 및 강돌, 전돌 등으로, 그리고 ‘날카로운 예각의 선’은 유리와 목재 등을 통해 획득되었다. 또한 김중업은 당시 전 세계적으로 급부상하고 있던 탈 국제주의 건축 운동에도 일정부분 동참하고 있었다. 이 때에도 재료는 중요한 수단이었다. 김중업은 노출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한국의 지붕과 기둥 등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냄으로써 ‘지역주의’ 건축 운동에 동참했고, 조적 재료를 사용하여 벽면 부조를 만들어 냄으로써 ‘뉴 브루털리즘’ 운동과도 맥을 같이 했다. 이러한 사실들은 김중업이 재료를 통해 양식을 창출해 내는 근대건축가의 면모를 가지고 있었다는 증거가 될 수 있다. 하지만 김중업을 근대건축가로 규정하는데 무리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근대 건축가들은 기본적으로 재료의 물성을 바탕으로 형태 언어를 만들어 냈지만, 김중업은 형태 언어를 위한 재료를 선택함으로써 선 재료, 후 형태의 근대 건축가들의 기본 재료관에 근거해 보면 결국 본말이 전도되고 만 것이다. 재료에 대한 이러한 김중업의 태도는 근대 건축의 창조물인 공간의 부재로 이어진다. 이는 지금도 여전히 김중업에게 제기되고 있는 형태주의자라는 오명의 근거가 되기도 한다. 김중업의 근대건축가로서의 의의와 한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학계 전반에서 인정하고 있는 바와 같이 그는 한국 근·현대 건축의 기점이기 때문이다. 김중업에서부터 본격적인 한국 근·현대 건축이 시작되었다면, 결국 오늘의 건축도 그의 영향력 아래 있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김중업 건축은 오늘의 한국 건축을 이해하는 중요한 근거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The purpose of this M.A. thesis is to re-interpretate the works of Kim Jung Up as modern architecture and to show that Korean modern architecture began from him in the true sense. Even thought he has both an important meaning as a modern architect and limitations not to be overlooked, Kim Jung Up stands right in the middle of the Korean modern architecture history and thus the study on him will form the groundwork to diagnose the current Korean architecture and to show the direction where Korean architecture should develop. The western modern architecture based on the rationalism was a series of flows that produced suitable building shapes for the new materials such as iron, glass, and concrete, which had been mass-produced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past architecture, it was proportion, not the creativity of an architect, that acted a crucial role so that the role of architects could not be active. Therefore, it was only after the modern architecture period that architects became the active ones who created new types. In the era of modern architecture, there were more various building types than any other era, but they often conflicted with one another. As the variety of building types meant the variety of architects' interpretation of the materials, the architects tried to develope new types of materials focusing on the physical possibility of them. Compared to marble, which was the representative material of previous architecture period, the new materials had the merits of lightness and long span and enabled the advent of the concept of "space." As a result, the modern architects began to question the possible reciprocal relationships between the types and the materials and reached to the answer in the end. However, the period of modern architecture in Korea was rather absurd. Ever since the opening of Korean port due to 'Kanghwado Treaty' in 1876, there have been many historic events, such as colonization by Japan and Korean War. After having suffered these historic events in such a short period of time, the distorted modern architecture was transplanted from Japan preventing Korea from developing true modern architecture. Kim Jung Up opened his eyes to the trend of the modern architecture working in the office of Le Corbusier. He began to create his own style, which was not the mere copy of the western architecture. Therefore, one can say that it is Kim Jung Up who started the true Korean modern architecture. If one defines a modern architect as one who creates new types based on the materials, Kim Jung Up can clearly be defined as one. He had his own distinct architectural language such as 'superposition of curves,' 'juxtaposition of circles,' and 'lines with acute angles.' His language was obtained by specific materials such as exposed concrete, brick, stone, glass, and wood. Also, Kim Jung Up participated in the worldwide post-modern architecture movement showing particular materials. For example, he joined the vernacular architecture movement and re-interpretated the roof and columns using exposed concrete, and he completed the superposition of curves using the same material. And he also took part in the new brutalism movement and created wall relief with brick materials, which were applied in parallelism of circles. Furthermore, he re-interpretated the glass and wood materials as sharp and cold ones, meaning that they could be cut and make lines with acute angles. This concept matched in part with deconstructivism today.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there is a clear limitation to define Kim Jung Up as a modern Korean architect. Compared to the modern architect, who created the shape out of the material properties, Kim Jung Up did the other way around and that led to the absence of the spa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B. 연구의 범위와 방법 8 II. 근대성에 관한 고찰 14 A. 주체로 부상한 자아 - 합리성의 도출 14 B. 계몽주의 시대의 건축적 상황 15 C. 한국에서의 근대성 형성 과정 17 Ⅲ. 재료와 형태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본 근대건축 20 A. 근대건축의 전개 20 1. 신 재료의 출현과 그에 의한 건축의 변화 20 1.1. 철과 유리 25 1.2. 콘크리트 33 2. 신 재료를 통해 도출된 공간 개념 40 B. 근대건축의 정점 - 아방가르드와 국제주의 45 1. 순수주의 - 르 꼬르뷔제의 백색 상자형 주택 49 2. 유리마천루 52 Ⅳ. 재료와 형태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본 근대건축가 김중업의 의의 57 A. 한국에서의 근대건축의 태동 57 B. 김중업 활동 당시 외국의 건축적 상황 64 C. 근대건축가 김중업 - 재료와 형태의 상관관계 66 1. 노출콘크리트를 통한 비정형의 가소성 69 1.1. 곡선의 중첩 75 1.2. 유려한 단일 곡선 - 지붕과 기둥 81 2. 조적재료의 구축성 90 2.1. 원의 병치 93 2.2. 구축의 회화성 - 벽면 부조 98 3. 날카로운 예각의 선 - 물성의 변이 103 Ⅴ. 근대건축가로서의 김중업의 한계 109 A. 형태주의자 김중업 - 공간에 대한 고민 결여 109 B. 형태의 부수적 요소로 사용된 재료 117 Ⅵ. 결론 126 참고문현 130 ABSTRACT 13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387429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근대건축가 김중업의 의의와 한계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재료와 형태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dc.format.pagexii, 13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건축학과-
dc.date.awarded200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건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