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3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전혜영-
dc.contributor.author조선경-
dc.creator조선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4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4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77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871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776-
dc.description☞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국내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 노동자의 언어문제를 파악하고 대응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05년 현재 외국인 노동자는 대략 40만 명이며 한국 사회의 또 하나의 구성원으로 한국어 지원이 필요한 수혜자로 떠오르고 있다. 외국인 노동자는 한국어 학습이 필수적이면서도 생활의 여건상 실제적인 교육을 거의 받고 있지 못하다. 반면 한국인 고용주도 외국인 노동자의 한국어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높은데, 교육 실천에서 두 집단이 차이를 보인다. 외국인 노동자를 둘러싼 한국어 사용 실태를 파악하고, 이들의 한국어 교육 요구를 분석하여 교육 방향을 설정하고, 현 단계에서 실천 가능한 교육안을 모색하는 것은 의미있는 일이다. 이들이 요구하는 내용을 종합해 보면, 교육 장소는 종교기관에서, 교육 시간은 주말 2-3시간, 선호하는 교사는 자국어가 가능한 한국인 교사, 필요로 한 언어 영역은 말하기와 말하기를 위한 문법, 어휘, 듣기 등 필수적인 의사소통 중심 항목을 요구하고 있다. 2006년 현재 이들에 대한 한국어 교육 지원 방향은 기존 시민 단체에서 주말 한국어교실을 운영하는 곳을 지원하면서 필요한 교재를 공급하고, 전문화된 강사를 지원하며, 소속된 교사들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교사연수를 진행해 주는 것이 정부의 지원안이라고 판단된다. 교육 내용에 있어서는 Survival Korean을 외국인노동자 현실에 기반한 말하기, 듣기 중심인 의사소통 교수법으로 구성하여 특수목적 한국어교육의 취지에 맞게 진행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목적 및 필요성 1 B. 기존 논의 검토 5 C.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14 Ⅱ. 이론적 배경 19 A. 특수목적 언어교육 이론 19 B. 사회통합과 언어정책 이론 25 C. 이중 언어 이론 29 III. 이주노동자 대상 한국어 교육 35 A. 이주노동자 현황 및 한국어 교육 현황 35 1. 이주노동자 현황 35 2. 한국어 교육 현황 43 가. 이주노동자의 한국어 사용 현황 및 실태파악 43 나. 이주노동자의 일상생활 의사소통 실태 46 다. 한국어 교육 기관별 현황 51 B. 한국어 교육 관련 요구분석 58 1. 이주 노동자 요구분석 59 2. 고용주 요구분석 66 3. 한국어 교사 요구분석 71 C. 이주노동자 관련 제도개선 및 한국어 교육 정책 방향 74 1. 이주노동자 관련제도 개선 74 2. 한국어 교육정책 방향 79 가. 이주 노동자 대상 한국어 교육 1단계 79 나. 이주 노동자 대상 한국어 교육의 2단계 88 IV. 이주 여성 대상 한국어 교육 95 A. 이주여성 현황 및 한국어 교육현황 95 1. 이주여성 현황 96 2. 이주여성 언어문제 102 3. 한국어 교육현황 109 B. 한국어 교육관련 요구분석 121 1. 이주여성 요구분석 121 2. 한국어 교사 요구분석 136 C. 이주여성 관련 제도개선 및 한국어 교육정책의 방향 137 1. 이주여성 관련제도 실제 및 개선방향 137 가. 이주여성 관련 제도 실제 137 나. 이주여성 관련 제도 개선 방향 142 2. 한국어 교육 정책 방향 146 가. 이주여성 대상 한국어 교육의 1단계 146 나. 이주여성 대상 한국어 교육의 2단계 156 Ⅴ. 이주 노동자/이주여성 자녀 대상 한국어 교육 159 A. 이주노동자/이주여성 자녀현황 및 한국어 교육현황 159 1. 이주노동자/이주여성 자녀현황 및 언어문제 159 2. 이주노동자/이주여성 자녀의 학교현황 및 한국어 교육현황 164 B. 한국어 교육관련 요구분석 167 1. 이주노동자/이주여성 자녀의 요구분석 167 2. 이주노동자/이주여성의 요구분석 178 C. 이주노동자/이주여성 자녀관련 제도개선 및 한국어 교육정책의 방향 182 1. 이주노동자/이주여성 자녀 관련 제도개선 182 2. 한국어 교육정책의 방향 18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9363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특수목적 한국어 교육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이주노동자, 이주여성 및 그 자녀에 대한 한국어 교육을 중심으로-
dc.creator.othernameCho, Sun Kyoung-
dc.format.pageviii, 245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0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