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911 Download: 0

한국 사자춤과 중국 사자춤의 비교 연구

Title
한국 사자춤과 중국 사자춤의 비교 연구
Other Titles
(The) Comparative Studies between the Chrnese and Korean Lion Dance
Authors
金蘭姬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Keywords
한국 사자춤중국 사자춤사자춤가면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高勝吉
Abstract
This study is based on the lion dances of Korea and China which spoke for people's thoughts and sentiments. The comparative study was done, centering around the lion dance with it's history, content and forms to verify the relevancy and resemblance of the two ethnic groups. And furthermore, examined significantly, how the lion dance of Korea has been introduced and what route has it taken. Geographically in area, the lion only exists in India. So the lion dance was their peculiar animal dance which has been descended to their descendents. In this way, the possibility of inflow of lion dance from India Via China was great, and the route was to be clarified. The lion dance has different distinctive features ta each ethnic groups. So, by comparing these features, it is possible to perceive the intimate cultural exchange and also how the cultural development was contemplated by the originality of the culture under the different backgrounds of geography and culture. The lion dance of Korea has been the transcendence existence to the people as the gratification of their emotion or sometimes as the solution to ther joy and sorrows. Like this, most of the mask dance except for the Bukchung lion play which is the most representative dance, presents the dramatic situation though keeping the derelicting relationship with the whole contents. The records of the dance shows from, as early as the Shila dynasty to the late chosun dynasty. From the Fact, the lion dance has been the linkage to the people for a long periods of time and has been banded down till today. The lion dance of China has been the solitary division of art representing the wishes of people and superstition. The lion dance of China is divided into two groups one is North and the other south party. Among these two parties, the North party's lion dance has many similarity to that of Korea's on the other hend, the south party is more like the method of training the martial arts. Both Korea and China have their own unique styles and assures an aspect of various forms. But from this point of view, they exist on the same oriental Ultures therefore, should be focused on the similas aspects of the historical relevancy. It is so, it has been focused on the historical, subjects and formal aspects of these two dances. Then these flanks were analyzed to clear the assence. Eventually, the study is also to make clear the influence and the closeness of the oriental culture and the route of handling down. Chap 1 introduction shows the motive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Chap 2 shows the distribution of the lion dance in asia and the concepts of the mask and the lion. Chap 3 shows the literature on the historical backgrounds of the lion dance of Korea and China. Also the 'history', 'contents and role' and 'movem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ress and mask' of the Buk Chung lion play and BongSan mask dance which represents the lion dance of Korea. Chap 4 shows the chinese dance of the Tae Sa, which represents the north party and the samu, orders are the same, as in chap 3. Chap 5 shows the relationships of historical backgrounds, resemblance of the form and the meanings between Korea and China through the comparative study from the previous chapters. And from this the range of the study was expanded to Japan and India through their relationship of Korea lion dance. Chap 6 conclusion shows the summary and the results from this task. And Brief remarkes on the problems and the work task which is to be studied further on.;본 연구는 민중의 사상과 정서를 대변해온 한국과 중국의 대표적인 사자춤을 중심으로 그 역사와 내용 및 형식에 대해 비교 연구함으로써 두 민족간에 어떠한 관련성과 유사성을 띠고 있는지에 대해 밝히고 나아가서는 한국의 사자춤이 어떠한 전래 경로를 통하여 유입되었는지를 규명하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사자춤은 가면이라는 부속물을 통해 주술적인 능력을 발휘할 뿐만 아니라 표현하려고 하는 감정과 정서를 더욱 강조하고 있다. 또한, 사자라는 동물 특유의 움직임까지도 더욱 생동감있게 표현되고 있는데 이렇게 사용되는 사자의 가면이 동양 각지에서 사용되고 있는 반면, 실제 사자는 지리적으로 동양에서는 인도에만 존재하는 동물로서 인도에서의 사자춤은 그들 특유의 동물춤으로 널리 유행되어온 무악(舞樂)이었고, 이것이 후대에까지 전해 내려오고 있다. 이렇게 형성된 사자춤은 인도 동쪽의 중앙 아시아와 중국 대륙을 경유하여 우리나라에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크기에 중국과의 관련성을 통해 그 가능성을 명확히 밝히고자 한다. 한국과 중국 각 민족에 맞게 토착화되어진 사자춤은 그 형태에 있어서도 특징들을 달리하고 있기에 그 특징들의 비교연구를 통하여 문화적 교류의 긴밀성을 가늠할 수 있으며, 각기 상이한 지리적, 문화적 배경아래서 그 문화에 맞는 독창성을 부각시켜 어떠한 문화적 발전을 도모해왔는지에 대한 인식 또한 가능하다. 한국의 사자춤은 한국의 고유성을 지닌 민중의 표현물로써 때로는 민중의 감정을 끌어내는 평범한 매개체로 또 때로는 그들의 애환을 해결해주는 초월적 존재로써의 위치를 굳혀왔다. 이러한 한국의 사자춤은 가장 대표적인 북청사자놀음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탈춤 과장속에서 전체 내용과의 유기적인 관계를 유지하면서 극적 상황을 연출해내는 존재로 등장을 하게 된다. 신라시대에 최초로 나타나기 시작한 사자춤에 대한 기록은 조선말까지 보이고 있는데, 이러한 사실로써 오늘날 현행되고 있는 한국의 사자춤은 가면극의 한 형태로써 오랜 역사속에서 민중과 더불어 유구히 이어져온 귀중한 민속 전승물로 남아 있는 것임을 알 수"있다. 중국의 사자춤은 하나의 독립된 예술형식으로 분리되어진 형태로써 보다 오락화되어진 경향이 보이며 수천년의 오랜역사속에서 잡귀를 물고 민중의 소원을 이루어주는 대상물로써의 그 역할을 다해왔다. 중국의 사자춤은 크게 두계열, 즉 북파(北波) 사자춤과 남파(南派) 사자춤으로 나뉘는데 이중에서 북방계열의 북파사자춤이 한국의 사자춤과 그 형태나 연출에 있어 비슷한 면모를 많이 보이고 있는 반면 남방계열의 남파 사자춤은 한국에서 흔히 떠올리는 이미지의 사자춤이라기 보다는 무예의 단련을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사실이 특이하다. 한국과 중국 두 민족은 그들 나름대로의 각기 고유한 정서를 내포하고 있기에 그 형태에 있어서 다양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 시점에서 더우기 간과되어서는 안될. 중요한 점은 동양이라는 같은 문화권에 존재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유사한 양상들과 그 역사적 관련성에 촛점을 맞추어야 한다는 사실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그 유사한 양상들에 촛점을 맞추어 두 민족의 사자춤을 크게 역사적인 측면, 내용적인 측면, 형식적인 측면으로 분류하여 세측면을 종합 분석함으로써 한국 사자춤에 대한 본질을 더욱 명확히 밝히고 한걸음 더 나아가서는 한국에 존재하는 사자춤에만 국한되어진 소극적인 연구에서 벗어나 중국 대륙과의 관련성에까지 연구의 시야를 넓혀 궁극적으로는 한국 사자춤의 전래 경로 및 동양문화권의 긴밀성과 그 영향력의 중요성까지 밝혀 보고자 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다소 연구의 어려움이 있다 할지라도 동양춤에 대한 보다 많은 관심과 연구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는 시기이기에 미약하나마 작은 노력의 일환으로써 본 연구를 완성하는데 그 의의를 두고자 한다. 1장 서론에서는 본 연구의 동기와 목적 그리고 그 범위와 방법을 제시하며 2장에서는 가면과 사자의 개념 및 아시아 사자춤의 분포 그리고 3장에서 다룰 한국과 중국 사자춤의 역사적 배경에 대해 문헌의 기록을 중심으로 다루었고, 3장에서는 한국 사자춤의 대표적인 예로 꼽을 수 있는 북청사자놀음과 봉산탈춤에 나타나는 사자춤과장을 중심으로 '역사', '내용 및 역할' 그리고 춤동작과 가면 및 의상의 특징을 '형식'부분에 묶어 그 특징들을 살펴 보았다. 4장에서는 중국 사자춤중에서 북파사자계열인 북경(北京)지역의 태사(太□)와 남파사자계열인 호남(湖南)지역의 사무(獅舞)에 대해 3장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그 특징들에 대해 밝혔다. 5장에서는 3장과 4장에서 살펴본 한국과 중국 사자춤의 특징들을 비교 분석한 결과로 유추되는 역사의 관련성, 의미의 유사성, 형식의 유사성을 중심으로 한국과 중국 그리고 인도와 일본과의 관계까지 연관시켜 사자춤의 전래 경로를 밝혔고, 6장은 결론으로써 본론의 내용을 7가지로 요약하였으며 연구 결과로 얻어지는 성과와 앞으로 행해져야 할 연구과제 및 문제점들에 대해 제언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