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00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양옥경-
dc.contributor.author백혜영-
dc.creator백혜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1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62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869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62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건강 전문가인 정신과의사, 정신과 간호사, 정신의료사회복지사의 지역사회 정신건강개념에 대한 인식도를 살펴봄으로써, 앞으로 이들이 지역사회 정신건강개념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우리나라 지역사회 정신건강 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주축 인력이 되어 일하게 되는 정신건강 전문가들의 인식도를 알아보고 지역사회 정신건강 사업의 방향을 모색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정신건강 전문가들과 함께 팀을 이루어 일하게 되는 정신의료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해 정신건강 전문가인 정신과 의사, 정신과 간호사, 정신의료 사회복지사의 인지정도를 알아봄으로써 앞으로 지역사회 정신건강사업을 수행함에 있어 사회사업의 방향을 모색하고 사회복지사 역할을 규명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은 대한의료사회사업가협회와 정신의료사회사업학회에 등록된 서울, 경기, 인천, 강원 지역에서 근무하고 있는 정신의료 사회복지사, 동일 지역의 정신과 의사 그리고 정신과 간호사이다. 정신의료 사회복지사는 전수가 60이므로 60명 모두 조사대상이 되었으며 정신과 의사와 정신과 간호사는 정신의료 사회복지사와 동수인 각각 60명이 무작위 선정되었다. 본 연구의 조사기간은 1994년 4월 2일부터 4월 27일 까지 실시되었으며 총 18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회수되어 분석자료로 사용된 설문지는 총 141부였다. 본 연구의 조사도구는 지역사회 정신건강 인식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F.Baker와 H.C.Schulberg가 개발한 지역사회 정신건강 개념척도(Community Mental Health Ideology Scale)를 사용하였는데, 이 척도는 총 38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척도의 문항은 7점이며, 긍정, 부정구문이 19문항씩으로 되어있다. 본 척도는 '전체인구대상', '일차예방', '사회치료목표', '통합적이고 지속적인 관리', '전체지역사회 참여'의 5개 중심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역사회 정신건강 사업내에서의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본 연구자가 문헌연구를 통해 만들었으며 총 24문항으로 예, 아니오로 대답하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집된 자료는 단순빈도와 백분율, 교차분석(crosstab),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 교차표 분석(Chi-Square)을 사용하였으며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지역사회 정신건강에 대한 인식도 차이 1) 지역사회 정신건강에 대한 정신과 의사, 정신의료 사회복지사, 정신과 간호사들의 인식도는 전체 평균 5.32로 3집단 모두 지역사회 정신건강에 대한 인식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앞으로 지역사회 정신건강 사업을 진행해 나감에 있어 긍적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이중 정신의료 사회복지사의 인식도가 5.47로 다른 집단보다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지역사회 정신건강 5개 하위항목으로 구분하여 인식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전지역사회 참여'와 '전주민대상'이 각각 5.81, 5.66으로 5개의 하위항목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지역사회 정신건강 사업을 실천함에 있어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주민을 대상으로 확대되며 기존의 정신건강 전문가들 뿐만 아니라 준 전문가들의 협력을 중심으로 사업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정신건강 전문가들의 일반적 사항과 지역사회 정신건강에 대한 인식도의 차이를 비교해 본 결과 지역사회 정신건강 교육경험의 여부와 지역사회 정신건강에 대한 지식정도, 지역사회 정신건강 사업에 대한 필요성, 근무기간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2. 지역사회 정신건강 사업에 있어 사회복지사의역할에 관한 인식정도 1) 예방영역에서의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정도는 '지역사회 조직구성', '정신건강 문제상담'에 대해서는 3집단이 모두 높은 인식정도를 나타냈으며 '정신질환의 실태파악', '조기에 발견된 환자 의뢰'에 대해서는 각 집단간의 의견차이를 보였다. 2) 치료영역에서는 '치료를 위한 상담', '가족상담', '환자의 경제적 능력조사', '팀 회의 참여' 항목에서 의견차이를 보였으며 다른 항목에 대해서는 3집단이 모두 높은 인식정도를 보였다. 사회복지사의 경우 3집단 중 모든 항목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 자신들의 역할을 잘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재활영역에서는 3집단 모두 예방, 치료영역에서 나타난 비율보다 높게 나타나 사회적 환경을 중요시 하는 재활에서의 사회복지사의 역할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정신의료 사회복지사는 '지역사회 적응을 위한 상담', '사회기술훈련', '가족회 조직' 항목에서 모두 100%로 나타나 자신들의 역할임을 잘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집단이 의견 차이를 보이는 항목은 '사회기술훈련', '지역사회 적응을 위한 상담', '재발방지를 위한 가족교육' 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들은 지역사회 정신건강 사업을 실천함에 앞서 지역사회 정신건강 사업의 방향성과 그 안에서 사회복지사가 수행해야 역할에 대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community mental health ideology and to clarify social worker's role within community mental health among mental health professionals, psychiatric social workers, psychiatric doctors, and psychiatric nurses. This study is conducted by means of questionnaires and delivered to psychiatric social workers, psychiatric doctors, and psychiatric nurses who practice mental health agencies. Data collection was done between April 2th and 27th, 1994. Sample size was all 141, 49 psychiatric social workers, 47 psychiatric doctors, and 45 psychiatric nurse at 36 agencies. The measurement for this study was community mental health ideology scale by created F.Baker and H.C.Schulberg. The scale is consist of 5 conceptual catagories. These 5 catagorie is 'a population focus', 'primary prevention', 'social treatment goal', 'comprehensive continuity of care', 'total community involvement'. The statistical used for data analysis are frequency, t-test, one - way ANOVA, two - way ANOVA, Chi - Square using the SPSS/PC+ program.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 1 . Total mean score to community mental health ideology among mental health professionals is 5.32. Expecially, the highest score is 5.47 of psychiatric social workers. 2. Among 5 categories, 'total community involvement', 'a population focus' are very high. 3. Perception about social workers' role within prevention practice, 3 groups frequency are high in community organization, counselling for mental health problem are very high. 4. Perception about social workers' role within treatment practice, except counselling for treatment, family counselling, investgation of patients' economical ability, all question are high frequency. 5. Perception about social workers' role within rehabilitation practice, except counselling for community adaptation, social skills training, family education for preventing relapse, all question are high frequency. Above results can be used as the direction of community mental health and sources for social workers' role within community mental health.-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1. 문제제기 = 1 2. 연구의 목적 = 6 3. 연구의 제한점 = 7 Ⅱ. 이론적 배경 = 8 1. 지역사회 정신건강의 개념과 발달 과정 = 8 1) 지역사회 정신건강의 개념 = 8 2) 지역사회 정신건강 개념의 발달과정 = 12 2. 지역사회 정신건강의 접근법의 이론적 배경 및 특성 = 15 1) 지역사회 정신건강 접근법의 이론적 배경 = 15 2) 지역사회 정신건강의 특성 = 18 3. 지역사회 정신건강 인식도에 관한 선행연구 = 20 4. 지역사회 정신건강과 사회사업실천 = 24 1) 지역사회 정신건강과 사회사업 실천과의 관련성 = 24 2) 지역사회 정신건강사업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 = 25 Ⅲ. 연구방법 = 30 1. 조사대상 = 30 2. 조사도구 = 31 1) 지역사회 정신건강 개념에 대한 인식도 조사도구 = 31 2)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한 조사도구 = 33 3. 연구를 위한 분석틀 = 34 4. 조사분석방법 = 36 Ⅳ. 조사결과 = 37 1. 정신건강 전문가들의 개인적 특성 = 37 2. 지역사회 정신건강개념에 대한 정신건강 전문가들의 인식도 = 45 3. 지역사회 정신건강사업에 있어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관한 인식정도 = 57 Ⅴ. 결론 및 제언 = 66 1. 결론 = 66 2. 제언 = 70 참고문헌 = 73 정신건강 전문가들의 지역사회 정신건강개념과 사회복지사의 역할 인식도에 관한 연구 = 80 ABSTRACT = 8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9914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정신건강 전문가-
dc.subject지역사회-
dc.subject정신건강개념-
dc.subject사회복지사-
dc.subject역할 인식도-
dc.title정신건강 전문가들의 지역사회 정신건강개념과 사회복지사의 역할 인식도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dy on the Cognition of the Community Mental Health Ideology and Social Workers' Role in Community Mental Health Among the Mental Health Professionals-
dc.format.pagevii, 9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사업학과-
dc.date.awarded199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