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8 Download: 0

사회복지사가 인지하는 정신의료사회사업서비스에 관한 연구

Title
사회복지사가 인지하는 정신의료사회사업서비스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Psychiatric Social Work Services that Social Workers Recognize
Authors
김보기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사업학과
Keywords
사회복지사정신의료사회사업서비스정신과 사회복지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옥경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desirable direction of psychiatric social work services for the mental patients in university hospitals, general hospitals and mental clinics by considering the present situation of mental disorder treatment services. The objects of this research consists of psychiatric social workers in university hospitals, general hospitals and mental clinics.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total 52 hospitals and clinic social workers. The questionnaire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documents and was consulted by social workers through pretest. It consists of 7 questions on general items, 1 on services given to team approach, 1 on reasons that psychiatric social workers could not offer services to the mental patients, if any, 1 on future plan to services, 2 on improvement for services, 1 on rightness of services given to patients, 1 on necessity of services. Total of 15 questions were composed. Data analysis was done by percentage, frequency, T-test, and One-way ANOVA.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Present situation of psychiatric social work services for the mental patients ; 96.2%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offer case work mostly and that they rarely offer night-hospital service. It means that night-hospital service is not general in Korea. Most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offer mainly group work and milieu therapy by team work approach. They pointed out that only they offer home visiting in hospitals and clinics. The survey shows the reason that they do not provide sufficient and right service now is the lack of special knowledge and skills, the lack of experts, insufficient finance, ect. Most of them answered they have a futher plan to give additional services including mental health education service. 2. Rightness of services ; All of respondents pointed out most highly mental health education service in contrast to home visiting for rightness of services. 3. Recognition of psychiatric social work services necessity ; Most of respondents consented that case work is necessary and should be offered to cure and rehabilitate for people with mental disorder. They suggested social skills training, family therapy, group work, vocational rehabilitation as service that should be given additionally. Based on the above results, proposal of the desirable direction of psychiatric social work practice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government policy, systematic services should be offered to the mental patients with organic relations of community, hospitals and rehabilitation centers through mental health bill and it should be arranged a legal fundation of services. Secondly, regarding hospitals' administrative view, financial support is absolutely asked for the services. Thirdly, regarding curriculum of university of social work, course of mental health and its field practice training should be reinforced gradually. So, psychiatric social workers should attain high knowledges and skills about psychiatric social work Finally, psychiatric social work should grasp information about community resources and make public relations of position and role of them to give services more effectively.;본 연구는 현재 병·의원·정신과에서 사회복지사가 정신장애인에게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의 실태, 서비스의 적절정도, 서비스의 필요정도를 파악하여 정신장애인에게 제공해야 할 서비스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으로는 전국 병·의원 정신과에서 정신장애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사회복지사 전수를 조사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연구도구는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문항을 문헌을 토대로 본 연구자가 직접 작성하였다. 수집된 조사자료의 분석방법은 백분율, 단순빈도, t-test, One-Way ANOVA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장애인 서비스 실태에 대해 설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회복지사가 독자적으로 정신장애인에게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로 개별상담이 96.2%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밤병동서비스가 가장 적게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타 치료진과 함께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로는 집단상담과 환경치료가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났으며 가정방문서비스는 가장 낮은 빈도를 나타냈다. 사회복지사가 정신장애인에게 각각의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이유를 보면 24개의 서비스 중 위기개입, 인지치료, 행동치료, 정신건강교육 서비스에 있어서 사회복지사의 지식과 기술의 부족으로 나타났으며, 사회기술훈련, 자조집단 서비스에 있어서는 사회복지사의 인력부족이 주 원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업재활과 낮병동, 밤병동 서비스는 재정부족으로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제공되지 않는 서비스중 제공할 계획이 있는 서비스는 정신건강교육서비스가 가장 많은 빈도를 차지했으며 예술요법과 작문요법은 제공할 계획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병원유형별로 사회복지사가 독자적으로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 현황에 대한 조사에서 대학병원의 사회복지사는 개별상담을 가장 많이 제공하고 있었으며 밤병동 서비스는 제공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병원의 사회복지사는 개별상담과 예술요법서비스를 가장 많이 제공하고 있으며 심리극, 낮병동, 밤병동 서비스는 제공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정신병원의 사회복지사는 개별상담을 가장 많이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후원자 연결과 밤병동서비스는 제공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과 의원의 사회복지사는 개별상담, 집단상담, 가족상담, 오락요법, 예술요법 서비스를 가장 많이 제공하고 있었으며 무용요법 자조집단, 후원자 연결, 밤병동서비스는 제공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유형별로 타 의료진과 함께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 현황을 보면 우선 대학병원의 사회복지사는 가족상담을 가장 많이 제공하고 있었으며 밤병동과 가정방문서비스는 제공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병원의 사회복지사는 집단상담을 타 의료진과 함께 가장 많이 제공하고 있었으며 무용요법과 작업요법서비스는 타 의료진과 함께 제공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정신병원의 사회복지사는 집단상담서비스를 타 의료진과 함께 가장 많이 제공하고 있었으며 오락, 무용, 작업, 작문요법서비스 들은 제공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과 의원의 사회복지사는 집단상담과 환경치료를 타 의료진과 함께 가장 많이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조집단, 직업재활, 후원자 연결서비스들은 제공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사가 제공하는 서비스중에서 적절정도가 가장 높게 평가된 것은 정신건강교육서비스였고, 반면에 가정방문 서비스는 가장 부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사의 연령, 총 경력, 학력에 따른 서비스 적절정도의 차이에서 총 경력에 따른 작문요법서비스만이 P<.02수준에서 차이를 보였다. 병원행태에 따른 서비스 적절정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셋째, 사회복지사가 인지하는 정신장애인을 위한 서비스의 필요정도에서는 개별상담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기술훈련, 가족상담, 집단상담, 직업재활 순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의 필요정도에는 연령, 총 경력, 학력별로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연령에 따른 서비스 필요정도의 차이에서는 무용요법과 작문요법이 P<.01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정신의료사회사업에 종사한 총 경력에 따른 서비스의 필요정도에서는 예술요법과 자조집단서비스가 P<.02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병원유형에 따른 서비스 필요정도에서는 개별상담, 작업요법, 인지치료서비스가 P<.05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넷째, 사회복지사가 정신장애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선될 점은 관한 조사결과에서는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습득을 위한 교육 기회제공을 응답자의 55.8%가 지적했으며 반면에 환자 및 보호자의 인식 변화는 7.7%를 나타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신장애인을 위해 사회복지사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을 국가적, 병원 행정적, 학교 교육, 사회복지사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첫째, 국가적 측면에서는 정신보건법을 제정하여 지역사회와 병원, 재활센타간의 유기적인 관계를 통해 정신장애인에게 체계적인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정신과의 환자수에 비례하는 사회복지사를 의무적으로 채용하고, 재정지원을 해야 할 것이다. 둘째, 병원행정적 측면에서는 사회복지사가 정신장애인에게 효과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인력 및 재정적 지원을 해야 할 것이며, 재교육을 위한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셋째, 교육적 측면에서는 임상에서 요구되는 기술과 지식을 체계적으로 훈련시키기 위해 실습 교육을 강화시켜야 할 것이다. 또한 임상수련 과정을 마련하여 사회복지사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켜 전문성을 인정 받도록 해야 할 것이다. 넷째, 임상의 사회복지사는 정신 장애인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사회자원에 대한 정보파악, 자원을 개발할 뿐만 아니라 병원 행정가, 정신장애인, 타 의료진, 행정가, 지역사회 주민을 대상으로 사회복지사 활동에 대한 지속적인 홍보활동을 하여 사회복지사의 역할을 인식시켜야 할 것이다. 또한 사회복지사가 제공한 서비스에 대한 효과를 측정하는 임상적 연구에 매진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