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임숙자-
dc.contributor.author박수경-
dc.creator박수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1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61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868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61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의류쇼핑동기를 기준으로 소비자집단을 분류하고 선호점포의 점포분위기 평가와 정서적 반응을 비교하고 점포분위기가 점포선호나 충동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점포차별화를 위한 점포마케팅전략수립시 점포분위기의 중요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첫째, 20대 여성의 쇼핑동기를 기준으로 소비자집단을 분류하고 선호점포유형을 밝힌다. 둘째, 소비자 집단별 점포분위기 구성요소의 중요도와 선호도를 분석한다. 셋째, 점포분위기에 대한 인지적 반응을 분석한다. 넷째, 점포분위기에 대한 정서적 반응을 분석한다. 다섯째, 점포분위기에 대한 행동적 반응을 분석한다. 연구대상은 서울시내 거주하는 20대 여성으로 직장여성 225명, 대학생 233명등 총 458명이며 표본추출은 직종과 계열을 고러하여 편의추출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과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자가 수정보완한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AS Package를 이용하여 번도, 백분율, 산술평균, x^(2)-tset , t-test, paired t-test, ANOVA, Fisher의 LSD, 상관분석, 회귀분석, 요인분석, 군집분석, 유클리드모델을 사용한 다차원 척도법이 사용되었으며 자료분석결과는 다용과 같다. 첫째, 소비자집단은 쇼핑관여집단, 여가선용집단, 경제추구집단, 편의추구집단으로 분류되었으며 정장구매를 위해 가장 자주 쇼핑하는 점포유형에 집단간 차이가 있었다. 둘째, 20대여성이 중요시하는 점포분위기 속성은 제품진열, 쇼윈도우, 청결성의 순이며 소비자집단간 점포분위기 중요도 비교에서는 실내장식, 바닥, 제품진열, 색조에 있어서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점포분위기 구성요소 선호도에서는 휴식공간, 색조에서 집단간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점포분위기에 대한 인지적 반응으로 점포분위기 구성요소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청결성, 실내장식, 휴식공간, 바닥, 쇼윈도우의 구성요소에서 점포유형별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점포분위기에 대한 정서적 반응의 측정으로 이미지에 대한 평가를 요인분석한 결과 정돈/안정요인, 친절요인, 개성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점포유형별 차이가 나타나 정돈/안정요인은 전문점에서 가장 높게 평가되었으며 친절요인은 백화점에서 가장 높게 평가되었고 개성요인은 일반상가에서 높게 평가되었다. 다섯째, 점포분위기에 대한 행동적 반응으로 점포선택, 충동구매, 구매후 쇼핑행동에서 여가선용집단이 점포분위기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호점포 유형별로는 백화점, 전문점에서 충동구매가 많을 것으로 나타났다.;This study intends to ascertain the importance of store atmosphere when construcing store marketing strategies for store differentiation by classifying consumer groups according to clothing shopping motivations, comparing store atmosphere assessment and emotion response of preferred stores, and analyzing the influence store atmosphere has on store preference or impulsive purchase. The specific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to classify consumer groups into subdivisions based on their shopping motivations and to reveal the preferred store types of each consumer group. Second, it is assess the importance of the factors consisting store atmosphere of each consumer group and to analyze the preference of store atmosphere of each consumer group. Third, it is to assess the consisting factors of atmospher of preferred stores and to reveal the difference between store types. Fourth, it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among the images of store atmosphere of preferred store and to reveal the difference between store Accordingly, it is to. set positioning of stores based on the consisting factors and image assessment of store atmosphere. Fifth, it is to analyze the influence store atmosphere has on the consumers' shopping behavior. The subject of this study are women in their twenties living in Seoul, 255 career women and 233 college students totaling 458, and model sampling is done by convenient sampling taking into account the type of their occupation and major. Modified survey based on references and former studies is used, and using SAS packages, methods such as frequency, percentage, arithmetic mean, x2-test, t-test, pared t-test, ANOVA, Fisher's LSD,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MDS using Euclid model , Ward method are applied.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1. Consumer groups a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four subdivisions : shopping involvement, leisure pursuit, financial, and advantageous group. 2. The stores women in twenties use most frequently for shopping are department stores, speciality stores, common stores, common markets, discount stores, and wholesale markets, and significant difference are shown between consumer groups. 3. Women in their twenties are revealed to take product arrange, show window display, cleaniness consecutively as the most impotant factors in store atmosphere and in case of importance in store atmosphere comparison, interior, floor, arrangement and color seem to show signifant differences. And Store atmosphere preferences are shown sifnificantly among groups when concerned with resting space and color. 4. Images of store atmosphere ae factor analyzed into adjustment/stability factor, kindness factor, and individuality factor. Adjustment/stability factor is most highly estimated in speciality stores, kindness factor in department stores, and individual factor in common markets. 5. Leisure pursuit group is assessed to be most influenced by store atmosphere in store selection, impulsive purchase, and after-purchase shopping behavior, and impulsive purchase is shown highly in department stores and speciality stor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의의 = 1 B. 연구의 목적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의류소비자의 쇼핑동기 = 4 B. 점포분위기 = 8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24 A. 연구문제 = 24 B.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 24 C. 측정도구 및 절차 = 26 D. 분석방법 = 32 Ⅳ. 연구결과 = 33 A. 소비자 집단의 분류와 선호점포유형 = 33 B. 점포분위기 구성요소의 중요도 = 40 C. 점포분위기 구성요소에 대한 인지적 반응 = 53 D. 점포유형별 점포분위기에 대한 정서적 반응 = 63 E. 점포분위기에 대한 행동적 반응 = 76 Ⅴ. 결론 및 제언 = 79 참고문헌 = 85 부록 = 90 ABSTRACT = 13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77789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의류쇼핑동기-
dc.subject선호점포 분위기-
dc.subject서울시-
dc.subject20대 여성소비자-
dc.subject.ddc600-
dc.title의류쇼핑동기에 따른 선호점포 분위기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서울시내 20대 여성소비자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Store Atmosphere of Preferred Stores Depending on Clothing Shopping Motivations-
dc.creator.othernamePark, Soo Kyeong-
dc.format.pagevi, 13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직물학과-
dc.date.awarded199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