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재돈-
dc.contributor.author文準彗-
dc.creator文準彗-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1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61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868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614-
dc.description.abstract中國의 字典은 部首 아래 관련된 문자를 배열하는 방식으로 엮어져 있다. 이런 방법은 ≪說文解字≫에서 처음 시도되었는데, 한자의 특성에 적합한 방법이기 때문에 후대의 자전들도 이 방법을 따르고 있다. 그러나 ≪說文解字≫의 부수는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자전의 부수와는 성격상 많은 차이가 있다. 이러한 차이는 부수의 개념과 부수를 선정한 원칙의 차이에서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고는 ≪說文解字≫에서 부수는 어떤 개념이며 또 어떠한 원칙하에 부수가 세워졌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說文解字≫는 자전이지만 작자인 허신이 ≪說文解字≫를 편찬할 때에는 문자를 해설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을 뿐아니라, 자신의 사상을 전달하려는 의도도 포함되어 있어서 부수를 선정할 때에도 이러한 편찬의도가 영향을 미쳤음을 발견할 수 있다. 그러므로 ≪說文解字≫의 전반적인 배경을 살펴보는 것은 ≪說文解字≫의 부수 선정원칙을 파악하는 데에 필요한 작업이다. 그래서 제2장에서는 작자 許愼의 생애와 ≪說文解字≫를 저작할 당시의 시대적 배경, 許愼의 문자관과 사상, ≪說文解字≫를 편찬한 의도, 부수배열법을 창안하게 된 배경 등을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說文解字≫에 있는 부수를 종속자가 있는 부수와 종속자가 없는 부수, 독체자부수와 합체자부수로 나누었고 각각의 경우 부수와 종속자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說文解字≫의 부수 선정원칙이 무엇이며 ≪說文解字≫에서 부수는 어떤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지 파악할 수 있었다. 제4장에서는 제3장의 유형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바탕으로 ≪說文解字≫에는 문자학적 원리에 입각하여 글자의 자형과 자의를 고려하여 세운 부수와 문자학외적인 원리, 즉 작자의 사상을 전달하려는 목적으로 세운 부수가 있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The implementation of Chinese dictionary greatly owes to a unique system known as Bu-Shou(部首) arragement. The significance of this method depicts that it has been used to compile groups of words under a correlated Bu-Shou(部首). Ever since this very creative method was first implemented by Xu-Shen(許愼), when he wrote Shuo-Weh- Jie-Zi(《說文解字》) in Dong-Han(東漢) Dynasty, most of the Chinese dictionary editted later have followed this particular method due to the suitable characteristics of Chinese language in the form. However, the Bu-Shou(部首) system of Shuo- Wen-Jie-Zi(《說文解字》) is quite different from those of later Chinese dictionary. The differences, I think, dues to the different principle of the establishment of Bu-Shou(部首) between Shuo-Wen-Jie-Zi(《說文解字》) and later dictionaries. Thus, the purpose of this thesis dedicates to the following two categories. One is to figure out the concept of Bu-Shou(部首) and another is to figure out the establishment of the fundamental mechanics in Bu-Shou(部首) system. Though Shuo-Wen- Jie-Zi(《說文解字》) is a dictionary, the author, Xu-Shen(許愼) tried not only to depict the definition for words, but also made an effort to imply his own ideology which affected the system of Bu-Shou(部首) in Shuo-Wen-Jie-Zi(《說文解字》). So in order to understand how he established the Bu-Shou(部首) system in Shuo- Wen- Jie-Zi(《說文解字》), one needs to know the background of Shuo-Wen- Jie-Zi(《說文解字》). Therefore, in chapter 2, I elaborated a brief summary of Xu-Shen(許愼)'s life, the author of Shuo-Wen-Jie-Zi(《說文解字》): the historical background, his ideology, his thoughts on character, the purpose of writing Shuo-Wen-Jie-Zi(《說文解字》) and, the arrangement of Bu-Shou(部首) system. In Chapter 3, I divided Bu-Shou(部首) system into four parts. The first two parts are Bu-Shou(部首) with Cong-Shu-Zi(從屬字) and Bu-Shou(部首) without Cong-Shu-Zi(從屬子). The third and forth parts are evenly divided into Du-Ti-Zi(獨體字) Bu-Shou(部首) and He-Ti-Zi(合體字) Bu-Shou(部首). Within each case, I hav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Bu-Shou(部首) and Cong-Shu-Zi(從屬字) to find out the fundamental system of Bu-Shou(部首) and how the Bu - Shou(部首) functions in Shuo-Wen-Jie-Zi(《說文解字》). Based on the result from the chapter 3, I have found that there are two types of Bu-Shou(部首) in Shuo-Wen-Jie-Zi(《說文解字》). One is established to explain the original meaning of each characters. Another is established to spread his ideology to the Chinese peopl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第一章 序論 = 1 第1節 硏究目的 = 1 第2節 硏究方法 = 4 第二章 《說文解字》의 成書 背景 = 6 第1節 時代的 背景 = 6 第2節 思想的 背景 = 14 (1) 許愼의 思想 = 14 (2) 許愼의 文字觀 = 20 第3節 《說文解字》의 編纂目的과 部首 創案의 背景 = 24 (1) 《說文解字》의 편찬목적 = 25 (2) 부수 창안의 배경 = 27 第三章 《說文解字》 部首의 類型 分析 = 31 第1節 從屬字가 있는 部首 = 35 (1) 獨體字 部首 = 35 (2) 合體宇 部嘗 = 45 (3) 기타 = 54 第2節 從屬字가 없는 部首 = 61 (1) 독체자부수 = 61 (2) 합체자부수 = 64 (3) 기타 = 65 第四章 《說文解字》의 部首 選定原則 = 76 第1節 文字學的 原理에 立脚한 部首 選定 = 76 (1) 字形을 爲主로 한 部首 選定 = 76 (2) 字義를 爲主로 한 部首 選定 = 78 第2節 文字學 原理外의 目的에 立脚한 部首 選定 = 80 (1) 思想 傳達을 위한 部首 選定 = 80 (2) 기타 = 81 第五章 結論 = 83 참고문헌 = 86 Abstract = 9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26772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설문해자-
dc.subject부수-
dc.subject선정원칙-
dc.subject.ddc800-
dc.title'說文解字'의 部首 選定原則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The Establishment Principle of BShou(部首) system in Shuo-Wen-Jie-Zi(≪說文解字≫)-
dc.format.pagevi, 9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중어중문학과-
dc.date.awarded199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중어중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