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44 Download: 0

정신장애인 가족을 위한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도움에 관한 연구

Title
정신장애인 가족을 위한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도움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sychiatric Social Worker's Prefessional Help For the Family that has a member with mental disorder
Authors
강주현
Issue Date
1993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사업학과
Keywords
정신장애정신장애인 가족사회복지사사회사업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옥경
Abstract
The ulitimate aim of the mental disorder treatment is to decrease the symptom as well as the patient's safe return t o community and satisfactory social adjustment in life. The distinctive nature of mental disorder prolongs the patient's adaptation to society. In order to assist the mental patients to relate to the society, there need to be environmental system control as well as active interaction. Especially family, as an environmental system of patients with the mental disorder protect the patient as an important and intimate social environment and becoms a unit of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for they are mental and financial supporters. So the service for family who has a member with mental disorder is required to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The brisk research into the family service has been done and it suggests that family service should be offered to treat and rehabilitate mentally disordered people. But the study has been unsufficient about what service psychiatric social worker, nurse and doctor provider. Psychiatric social workers, doctors, nurses and social workers who are responsible for mental disordered family service have become the object of this survey. The purpose of research, first, analyzes the current service that is offered for family that has a member with mental disorder. Secondly, it grasps the necessity of family service, in psychiatric social workers, doctors and nurses' perspect. Thirdly, it grasps their cooperation fot activation of family service. Finally, based on this survey, this paper propose way of family service that meet korean social situation. The objects of this research consists of psychiatric social workers, doctors, nurses who work at university-hospitals, general hospitals and mental hospitals in 20 of seoul, in chun and kyung gi.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total 60 hospital specialists : 20 psychiatric social worker, 20 doctors, 20 nurses. The questionaire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documents and was consluted by related experts. It consists of 7 questions on general items, 12 on current situation of mental disordered family service, 9 on necessity of family service, and 5 questions on cooperation of psychiatric social workers , doctors, nurses and social workers for family services. Total of 33 questions were composed. Data analysis was done by frequency, percentage and chi-square.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Current family service ; 66.67%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offer family service that is mainly related to the treatment, especially for psychiatric symptom of pa-tient. The respondents pointed out the lack of experts and service development as the difficulties that they faced with. 62.50% of them r- esponded all of psychiatric social worker, nurses and doctors should be srevice p-rovider, but the aggrement rate was little bit diff-went acco rding to their professions. It means that individual srevice is offered rather than team approach service. The additional service that they thi- nk to be necessary is the work that has to do with patient's safe retu- rn t o community after discharge : psychiatric social worker are less co- nsented than doctors and nurses concering this question. The survey sh- ows the reason that they dont provide this service now is the lack of e- xperts and service development. But 70% of respon-dents answered they have a futher plan to give this additional service. 2. Recognition of family service necessity ; All of respondents consented that family service is; necessary and should be offered to cure and rehabilitate for people with mental dis- order. they suggested education for psychiatric symptom, medication and patient's behavior management as the family service that should be give n. The number of people who answered that psychiatric social workers, doctors and nurses all should provide family service for the mentally disordered was highest. Most psychiatric social workers; and nurses answ- ered that they would particepate in providing actual service, and in the case of doctors, most answered that they would provide consultation abou t medical services. 3. The proposal for activation of family service ; 93.33%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want to be provided suppo- rts such as supplement of experts number and increase of opportunities to be able to acquire professional knowledge from goverment and hospital author-ities. The survey shows that doctors and nurses need ps-ychiatric social workers' cooperation, wile psychiatric social workers need docto- rs and nu-rses' cooperation : it means they need other specialists' coo- peration. 90% of them consented that they will receive education on fam- ily service to practice the service if the opportunity is given : they are highly self-motivated on re-education. In the conten-ts of educati- on, psychiatric soc-ial workers responded relatively more positively than doctors about patie-nts' symptom and medication. On the other hand, the doctors answered high-er than psychiatric social worke-rs about COnn ection of community source and job recommendation. Based on the above result, proposal of the method of social work practice and follow- up studies are as follow. First, regarding psychiatric social workers and social workers' personal views : Psychiatric social workers should work on services involving rehabilitation on top of treatment. The subjects of family service offer - psychiatric social workers, doctors, nurses - should develop inter cooperative relationship. Social workers should develop rehabilitation service especially for the old, handicapped people and their family. Also, their should be varieties of service, seminars, studies. Finally, presentation regarding the mental disordered and their family. Secondly, regarding social welfare centers and hospitals' administrative views : Enthusiastic support is asked for the mental disordered family service, Also, family services will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services through supplement of expert. Social we1 fare centers should educate their workers and attain knowledge about the family to help them even more effectively. Thirdly, regarding goverment policy and institutiona.1 views : Community welfare centers should get financial support from government through mental health bill and arrange a legal fundation of services. Also there should be social workers at public health centers so they could provide services mutually with community we1 fare centers, public health centers and hospitals. Involving patients and their families' accomodation and financial problem, housing service and health insurance services should be provided. For follow-up study, first, currently the mental disordered family services are being offered or planning to be offered at community welfare centers. Threrfore further systematic analysis for family services should take place for service improvement, practice and in formation Secondly, questionaire of current situation analysis should be constructed for concrete repeted studies in the future. Lastly, psychiatric social workers, doctors, nurses, social worker and family's opinion of services should be evaluated side by side. These evaluation will contribute to better suited services for korean situation.;정신질환 치료의 궁극적인 목적은 정신과적 증상의 경감은 물론 퇴원 후 지역사회로 복귀하여 원만한 사회적응을 하며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정신질환은 질병자체의 특성으로 인해 정신과적 증상이 어느 정도 치료된 후에도 사회적 기능의 손상 등 장애가 남게 되므로 정신질환자의 사회적응을 돕기 위해서는 환경체계의 조절과 동원 등 적극적인 개입이 요청된다. 특히 정신장애인 환경체계로서의 가족은 인간에게 중요하고 밀접한 사회환경으로서 정신장애와 관련하여 환자를 보호하며, 정서적·경제적 지지의 역할을 담당하므로 치료와 재활의 중요한 원조단위가 된다. 따라서 정신장애인의 치료와 재활을 위해서는 정신장애인 가족을 위한 서어비스의 제공이 필요하다. 이에 지금까지 정신장애인 가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오고 있으며, 이들 연구에서는 정신장애인의 치료와 재활을 위해 가족에게 서어비스를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실제 서어비스의 제공주체인 정신의료사회복지사, 의사,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여 정신장애인 가족에게 어떠한 내용의 서어비스를 제공하고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병원에 근무하는 정신의료사회복지사, 의사, 간호사를 대상으로 현재 정신의료기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정신장애인 가족 서어비스의 전반적인 상황을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정신장애인 가족 서어비스의 실천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위한 구체적 연구문제로는 첫째 현재 정신의료기관에서 실시되고 있는 정신장애인 가족 서어비스의 현황을 분석하고, 둘째 정신장애인 가족서어비스 제공의 필요성에 대한 정신의료사회복지사, 의사, 간호사의 인식정도를 파악하며, 셋째 정신장애인 가족 서어비스의 활성화를 위해 그들이 필요로 하는 협조사항이 무엇인지 파악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실증적 연구로 서울과 경인지역 소재의 대학부속병원, 종합병원, 전문정신병원, 정신과의원 등 20개 정신의료기관에 근무하는 정신의료사회복지사 1명을 연구대상으로 우선 선정하였다. 다음 의사와 간호사 역시 정신의료사회복지사와 동수로 하기 위해 각각 1명씩 무작위로 선정하였으며, 총 60명의 조사결과가 자료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도구는 본 연구자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문항을 문헌을 토대로 작성을 하였으며 관련 전문가의 자문을 얻어 문항내용이나 문장에 대한 의견을 종합한 후 수정·보완하였다. 설문지는 응답자의 일반적 사항에 관한 7문항, 정신장애인 가족 서어비스의 현황에 관한 12문항, 정신장애인 가족 서어비스 제공의 필요성에 관한 인식정도를 묻는 9문항, 정신장애인 가족 서어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회복지사, 정신의료사회복지사, 의사, 간호사가 필요로 하는 협조사항에 관한 5문항 등 총 3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료처리는 빈도와 백분율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장애인 가족 서어비스의 현황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병원에 근무하는 정신의료사회복지사, 의사, 간호사의 66.67%가 서어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들이 주로 제공하는 서어비스로는 정신병적 증상 및 약물치료에 대한 교육, 가족관계 개선, 환자의 증상 및 행동관리를 위한 서어비스 등 환자의 정신과적 증상의 치료와 관련된 내용이었다. 현재 서어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어려운 점으로는 담당 전문인력의 부족과 서어비스의 개발 미흡을 지적하였다. 정신의료사회복지사, 의사, 간호사 모두가 서어비스 제공주체라고 응답한 경우는 62.50%이였다. 그러나 각 전문기간에 응답율이 달라 다학제팀의 협력하에 서어비스를 제공하기 보다는 각기 개별적으로 서어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제공하고 있는 서어비스 외에 더 제공 할 필요가 있는 서어비스로는 자조집단 서어비스, 일상생활기술훈련 서어비스, 가족관계 개선 서어비스, 지역사회 자원 연결 서어비스 등 퇴원 후 정신 장애인의 원만한 지역사회복귀와 관련된 서어비스라고 지적하였다. 그러나 정신의료사회복지사는 의사와 간호사에 비해 이에 대한 응답율이 낮게 나타났다. 이는 치료에 중점을 두고 서어비스를 제공하는 정신의료사회복지사의 태도를 반영한 것이라 볼 수 있다. 현재 서어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이유는 담당 전문인력의 부족과 서어비스 개발의 미흡이었으며, 현재는 서어비스를 제공하지 않지만 70%의 응답자가 앞으로 서어비스를 제공할 계획을 갖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정신장애인 가족 서어비스 제공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정도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정신의료사회복지사, 의사, 간호사 모두 정신장애인의 치료와 재활을 위해서는 그 가족에게 서어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정신장애인 가족에게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서어비스로는 정신병적 증상 및 약물치료에 대한 교육, 환자의 증상 및 행동관리를 위한 서어비스라고 응답하였다. 정신장애인 가족서어비스의 제공주체는 정신의료사회복지사, 의사, 간호사 모두라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서어비스 제공시 이들이 담당할 수 있는 역할은 정신의료사회복지사와 간호사의 경우 서어비스에 직접 참여하겠다. 의사는 서어비스에 대한 자문을 제공하겠다는 응답율을 높게 나타났다. 셋째, 정신장애인 가족 서어비스 활성화 방안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정신장애인 가족 서어비스의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협조사항이 있는지의 여부에 대해 93.33%가 협조사항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필요한 협조사항으로는 전문인력의 충원과 전문지식을 배울 기회를 제공받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협조 받기를 원하는 대상으로 의사와 간호사는 사회복지사의 협조를, 사회복지사는 의사의 협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나 서로 타전문직의 협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 정신장애인 가족 서어비스의 활성화를 위해 재교육을 받을 기회가 있다면 참여하겠다고 응답한 경우가 90%로 재교육에 대한 높은 욕구를 갖고 있었다. 필요한 재교육 내용으로 정신의료사회복지사는 의사에 비해 환자의 증상 및 행동관리, 가족관계 개선, 정신병적 증상 및 약물치료에 대한 내용을, 의사는 사회복지사에 비해 지역사회자원 연결, 취업알선 서어비스에 대한 내용을 상대적으로 더 많이 지적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신장애인 가족 서어비스의 실시를 위한 사회복지 실천방법과 후속연구의 두 가지 측면에서 제언해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회복지 실천 방법 면에서 정신의료사회복지사의 개인적 차원, 정신의료기관의 행정적 차원 그리고 국가 정책 및 제도적 차원 등 각각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의료사회복지사의 개인적 차원에서 정신의료사회복지사는 정신과적 증상 및 행동의 치료에 중점을 둔 서어비스 외에도 퇴원 후 정신장애인의 지역 사회내 재활에 관련된 서어비스의 개발 및 실천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정신장애인 가족 서어비스 제공의 주체인 정신의료사회복지사, 의사, 간호사는 각 전문직간의 자문을 통해 상호 협력적인 관계를 구축해야 한다. 또한 정신장애인 및 정신장애인 가족 서어비스의 관련된 재교육의 기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다양한 서어비스를 개발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지역사회 정신장애인 재활기관의 사회복지사와 병원에 근무하는 정신의료사회복지사가 서로 연계성을 갖고 정신장애인 가족 서어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상호 협조관계를 마련하여야 한다. 둘째, 정신의료기관의 행정적 차원에서는 정신장애인 가족 서어비스를 담당할 전문인력의 충원과 자체적인 직원 재교육의 기회를 마련하여 정신의료사회복지사, 의사, 간호사로 하여금 정신장애인 가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각종 서어비스에 대한 지식을 쌓게 함으로써 서어비스의 개발에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국가정책 및 제도적 차원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국가 정책 및 제도적 차원에서는 현재 병원 중심으로 제공되고 있는 정신장애인 가족 서어비스를 지역사회로 확대실시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적극적인 지원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정신보건법안의 재정을 통해 지역사회 내에 기존의 정신장인 재활기관이 국가로부터 재정적 지원을 받아 정신장애인 가족에게 서어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합법적 근거를 마련하여야 한다. 또한 국민건강의 일차적 책임을 맡고 있는 보건소에도 정신건강을 담당하는 사회복지사를 두어 사회복지전문요원, 보건소, 정신장애인 재활기관, 병원이 연계하여 서어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후속연구의 측면에서 지역사회내의 정신장애인 관련기관을 대상으로 좀 더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현황분석을 통해 정신의료기관과 지역사회기관이 서로 연계성을 갖고 서어비스를 개발하고 실천을 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정신장애인 가족 서어비스의 현황분석을 위한 좀더 구조적이고 전문화된 설문지를 개발하여 정신장애인 가족 서어비스의 현황에 대한 반복연구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정신장애인 가족 서어비스의 제공주체인 정신의료사회복지사, 의사, 간호사와 제공대상자인 가족을 대상으로 현재 실시하고 있는 각종 서어비스에 대한 효과 측정 등의 평가가 병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평가는 좀 더 한국적 상황에 맞는 서어비스를 개발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