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15 Download: 0

J. S. Bach Flute Partita BWV 1013과 T. Boehm의 Grande Polonaise Op. 16에 대한 연구 분석

Title
J. S. Bach Flute Partita BWV 1013과 T. Boehm의 Grande Polonaise Op. 16에 대한 연구 분석
Other Titles
(THe) Study and Analysis of Flute Partita BWV 1013 of J. S. Bach and Grande P00olonaise Op. 16 of T. Boehm
Authors
김희선
Issue Date
1993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과
Keywords
BachFlute PartitaBoehmGrande Polonaise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기순
Abstract
본 논문은 석사과정 이수를 위한 졸업 연주회의 연주 곡목 중에서 Johan Sebastian Bach(1865-1750)의 Flute Partita BWV 1013과 Theobald Boehm의 Grande Polonaise Op.16을 연구 분석한 것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J.S.Bach의 Flute Partita BWV 1013을 고전 조곡인 Allemande-Corrente-Sarabande-Bourre´e Anglaise의 4악장으로 구성되며, 전 악장은 모두 도돌이표에 의해 구분되는 2개의 Section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곡에서 사용된 조성은 모두 근친조(relative key) 관계내에 있으며, 동형진행의 두드러진 사용과 이도 전위형의 선율, 부속 7화음과 부감 7화음, 감 7도 음정의 잦은 사용이 특징적이다. T.Boehm의 Grande Polonaise Op.16은 3부분 형식으로 이루어진 단악장의 작품으로 Polonaise의 특징이 잘 활용된 Introduction, A, B, A', Coda로 구성된다. 전곡은 근친조내의 조성관계를 가지며 동형진행과 반복기법, 붓점 리듬과 음정의 연속도약, Scale Passage(순차 상·하행 선율), Arpeggio(분산화음)의 연속사용등 기교적 표현이 강조된 작품이다.;This thesis is the study and analysis of Flute Partita BWV 1013 of Johan Sebastian Bach and Grand Polonaise Op. 61 which were two pieces of graduation performance repertory for colpletion of master course and the summary of it is as following. Flute Partita BWV 1013 of J.S. Bach is composed of 4 movements which are AlleBande-Corrente-Sarabande-Bourre´e Anglaise and all the movements Is made up two sections which are differentiated by repeat mark. Tonality used In the whole music is in the relation of relative key and the prominent use of sequence and the frequent use of melody of transposition inversion, secondary dominent 7th chord, secondary diminished 7th chord and diminished 7th interval is characteristic. Grande Polonaise Op. 16 of T. Boehm is one movement work made of Ⅲ section-form and Is composed of introduction which takes advantage of characteristics of polonaise. A, B, A' and coda. The whole music has tonality in the relative key relation and the technical expression such as repeat, sequence, dot rhythm, continuous leap of a tone, scale passage and continuous use of arpeggio is emphasiz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