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田淑子-
dc.contributor.author柳秀卿-
dc.creator柳秀卿-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9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33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866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336-
dc.description.abstract오늘날의 국제사회는 국제교류가 빈번해지고 상호의존성이 그 어느때보다도 증대한 하나의 생활권이 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변화 자체가 '국제이해'의 필요성을 보여주고 있지만, 온 인류의 관심사인 인구, 자원, 환경, 전쟁과 평화 등과 같은 문제를 같은 입장에서 이해하고 나아가 인류복지를 증진시키기 위한 해결책을 찾는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더우기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시대 뿐만이 아니라 앞으로의 미래사회는 더욱 더 국제화가 이루어질 것이며 따라서 자라나는 신세대가 자신이 태어나 생활하고 있는 사회뿐만 아니라 세계를 이해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이러한 관점을 가지고 본 논문에서는 자라나는 학생들이 세계시민으로서의 역할을 잘 감당하기 위해서 학교교육을 통해 어떻게 국제적 인식을 쌓아가는지 의문을 가지고 연구를 시작하고자 한다. 즉 학생들에게 가장 많은 영향을 주고있는 교과서에 나타난 국제이해교육이 얼마만큼의 비중을 차지하며 서술되고 있는지를 밝혀보고자 한다. 이로써 미래의 역군들이 세계시민으로서의 주체성을 올바르게 가질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척도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분석대상으로는 4차 교육과정과 5차 교육과정의 사회과 교과서를 택하여 그 속에 나타나고 있는 국제이해교육의 개념들이 어느정도 비중을 두고 서술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4차와 5차 시기를 선택한 이유는 4차 교육과정의 82년에서 87년까지, 그리고 5차 교육과정의 88년에서부터 현재까지의 과거 10여년간이 국제사회가 급격하게 변하고 있는 시기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국제상황의 변동과정에 대해 우리의 교과서에서는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 미래사회의 주인공들을 준비시키는 과정을 검토하고자 한 것이다. 교과서 분석의 기준으로는 국제이해(상호의존적인 국제사회, 실리중심의 국제사회)와 항존문제테마(인권문제, 자원문제, 환경문제)를 중심유형으로 설정하였으며 분석의 구체적 방법으로는 비중변화과정을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그래프화 하기위해 QPRO Program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 몇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국제이해교육의 기본중심개념가운데 한국 사회과의 경우 주로 상호의존, 협력, 세계평화, 국제기구 등의 개념을 중심으로 하고 있었다. 이는 현대국제사회의 양상으로 볼 때 올바른 국제이해를 돕지못하는 원인이 되는 것이며 갈등과 경쟁 그리고 적응과 발전 등을 포함하지 못하는 것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둘째, 국제이해교육의 중심개념들이 국민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전 과정에서 균형있게 제시되지 못하고 국민학교 단계에서는 자원문제만이 중학교와 고등학교 과정에서는 상호의존성 개념들이 집중적으로 언급되고 있었다. 국제이해교육이 국제화사회에 대응하는 교육이라 할 때 상호의존성이나 실리중심, 인권문제, 자원문제, 환경문제 어느 한 주제만 가지고서는 국제사회에 대한 폭 넓은 시각을 지닐 수 없으므로 어느 한 주제로 치우치지 않은 광범위한 문제 인식을 하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The global society becomes one-day living zone and the international exchange is increasing and interdepence is more important than ever. Though this trend itself shows the necessity of global understanding, it is very difficult to understand the human interests such as population, resources, environment, war and peace in the same point of view and to find a solution to improve the human welfare. As it is expected that the future society are more globalised, new generation should understand the society they are born in and live in and the world as well. With this standpoint, I would like to commence studying how the students learn and grow global concept through school education to take a role as a world citizen. In other word, I would like to find out how the global education is to take an important role because the global education has a great influence to students. Then I might establish the scale to measure how future pillar of society can develope subjecthood. I have selected the textbook used for social studies in 4th and 5th education periods and have studied to what extent the concept of global education is described. During the past ten years of the 4th (82-87) and 5th (88- ) periods, we saw a drastically rapid change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It is the reason why I have opted the two 4th and 5th periods to see what Korean educational bodies have done through school text books in order to have the young generation who would be responsible for ,the Country's future adopt the change. As a basis of analyzing text books, I have dealt with issues concerning mutual understanding of correlative and utilitarian international society and such ever-existing matters as human rights, resources, environmental problems etc. I have used QPRO Program to make it easier to understand the numeric changes. The result of the analyz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ocial study education in Korea mainly covers, of all the basic global educaitonal issues, how the international society interdepends and cooperates, and the concept of world peace. This cannot be of help for Koreans to1 understand the international society. It has also been the reason of conflict and competition which prevents us from adapting ourselves to ever-changing international society. 2) The global education taught in primary, junior & senior high schools are unbalanced, eg. in primary course it only covers matters regarding resources, in high schools interdependent concepts. As global education is for corresponding the internationalized socity, if we deal with issues regarding only the inter-relation, utilitarianism, human rights, and resources, it will be impossible to have a broader insight into international society, we therefore, must do all possible not to concentrate only those above mentioned issu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목적 = 1 B. 연구방법 및 제한점 = 3 Ⅱ. 이론적 배경 = 6 A. 국제이해교육(Global Education)의 개념 정의 = 6 B. 사회과 교육과 국제이해교육 (Global Education) = 9 C. 국제이해교육(Global Education)의 내용 = 14 Ⅲ.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국제이해교육의 내용분석 = 29 A. 분석의 틀 = 29 B. 분석 시기 및 분석 자료 = 32 C. 분석결과의 해석 = 36 1. 각 학년별 비중분석 = 36 가. 국민학교단계 의 국제이해교육 분석결과 = 37 나. 중학교단계의 국제이해교육 분석 결과 = 41 다. 고등학교단계의 국제이해교육 분석 결과 = 44 2. 전체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국제이해교육 분석결과 = 47 가. 국제이해에 대한 비중변화 분석 = 48 나. 항존문제에 대한 비중변화 분석 = 50 다. 전체 주제에 대한 비중변화분석 = 54 Ⅳ. 결론 = 58 참고문헌 = 62 부록 = 71 ABSTRACT = 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3376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국제이해교육-
dc.subject내용분석-
dc.subject사회과 교과서-
dc.subject사회생활-
dc.title국제이해교육의 내용분석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사회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Content Analysis of the Global Education Presented in the social studies Text Book : With the Focus on the 4th and 5th Educational Periods-
dc.creator.othernameYoo, Su Kyung-
dc.format.pagevii, 7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생활학과-
dc.date.awarded199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