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전찬화-
dc.contributor.author김현주-
dc.creator김현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8Z-
dc.date.issued1991-
dc.identifier.otherOAK-00000001769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865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7695-
dc.description.abstract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level and locus of control on state anxiety under conditions of stress. Social support level is grouped into high and low levels of cognizable social support test scores, while locus of control is grouped into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external control by locus of control test scores. This study looks into the influences of the above factors that have on state anxiety under stress. I selected the total 84 women subject in college, which was classified into 2 groups by social support test scores(32n of higher rank and 32% of lower rank). Then they were futher divided into 4 groups by locus of control test scores. Each class consisting of 21 persons was randomly assigned to measure state anxiety under stress conditions. To examine stress buffering effect of social support, difference between state anxiety under normal and stress conditions was measured. MANOVA and Regression were appiled to analyse the data. The result of the present study is to as follows. 1. Women in the group of higher rank in social support level cognizes less state anxiety compared to lower rank group regardless of the conditions they're faced with(p<.001). The group classified as internal locus of control also feels less cognizance in state anxiety under either stress o r normal conditions(p<.00l). 2. Stress buffery effect of social support proved meaningful. That is, the higher social support level, the difference between state anxiety scores under normal and stress conditions. 3. Of the three subfactors. support of information and valuation proved to have the highest correlation under both stress and normal conditions, and support of self-esteem proved the next highest rank. In other words, the person, who has much support of information-valuation and self-esteem shows low state anxiety. Results of this research presents a way to enhance cognition level of social support for problem solving, by comprehending helping process like counseling as one's process of social support. This research also presents the necessity of improvent in internal locus of control, so as to consider personal trait.;본 연구는 사회적 지지 수준과 내외통제성이 스트레스 상황에서 상태불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사회적 지지와 내외통제성이 서로 어떤 관련성을 갖고 상태불안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특히 개인이 직면한 문제상황을 스트레스 상황이라고 상정하면서 스트레스 상황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지지의 경우 지각된 사회적 지지 점수에 따라 고-저 수준으로 분류하고, 내외통제성의 경우 내외통제성 점수에 따라 내통제성과 외통제성으로 분류하여, 2(사회적 지지 수준)×2(내외통제성)의 이원 요인 설계를 사용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지지 점수의 평균 점수를 기준으로 상위 32%에 속하는 집단과 하위 32%에 속하는 집단을 선정한뒤, 내외통제성에 따라 다시 네 집단으로 분류하여, 총 84명의 여자대학생 피험자를 선정하였다. 각 조건 별로 21명씩 무선 할당하여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상태불안을 측정하였으며, 사회적 지지의 스트레스 완충효과를 살펴보기 위해서 평상상황의 상태불안과 스트레스상황의 상태불안의 차이를 측정하였다. 자료는 MANOVA와 REGRESS10N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평상상황과 스트레스 상황에 관계없이 사회적 지지 수준이 높은 집단은 사회적 지지 수준이 낮은 집단보다 상태불안을 낮게 지각하였다(P<.001). 내외통제성에 있어서도 두 상황 모두 내적통제성인 집단이 외적통제성인 집단보다 상태불안을 낮게 지각하였다(P<.001). 특히,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지지와 내외통제성 두 변인간의 상호작용효과가 상황에 따라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살펴보았는데, 스트레스 상황일 경우에만 상호작용효과가 유의미했다(P<.01). 2. 사회적 지지의 스트레스 완충효과는 유의미했다. 즉, 사회적 지지 수준이 높을수록 평상상황과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상태불안점수 차이가 적었다. 3. 사회적 지지의 세 하위유형 중 정보 및 평가지지가 평상상황과 스트레스 상황 모두에서 가장 상관이 높았고, 다음으로는 자존감지지가 상관이 높았다. 즉, 정보 및 평가지지, 자존감지지를 많이 받은 사람이 상태불안이 낮았다. 본 연구결과는 상담과 같은 조력과정을 개인에 대한 사회적 지지 과정으로 이해함으로써, 개인의 문제해결을 위해 사회적 지지의 지각 수준을 높이기 위한 접근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개인적인 특성을 고려하기 위해 내적통제감 증진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4 A. 사회적 지지 = 4 B. 내외통제성 = 7 C. 상태불안 = 10 Ⅲ. 연구방법 = 14 A. 피험자 = 14 B. 실험 도구 = 15 C. 실험절차 = 17 D. 자료처리 = 19 Ⅳ. 결과 및 해석 = 21 A. 상태불안 수준 = 21 B. 사회적 지지와 내외통제성이 상태불안에 미치는 영향 = 21 C. 사회적 지지의 스트레스 완충효과 = 25 D. 사회적 지지의 하위 유형과 상태불안과의 관계 = 26 Ⅴ. 요약 및 논의 = 31 참고문헌 = 36 부록 = 41 ABSTRACT = 5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7583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내외통제성-
dc.subject스트레스-
dc.subject사회적지지-
dc.subject상태불안-
dc.title사회적 지지와 내외통제성이 상태 불안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스트레스 상황을 중심으로-
dc.creator.othernameKim, Hyun Joo-
dc.format.pagevi, 5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심리학과-
dc.date.awarded199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