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장화진-
dc.contributor.author나인하-
dc.creator나인하-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6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48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863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488-
dc.description.abstractMy thesis concentrates on analyzing problems of space and matter in the contemporary art and the analysis of my own works is part of my efforts to solve those problems. Since 1950 the contemporary art has been characterized by and Abstract Expressionism : stylized Color Field Painting marked by color contrast through "hard edge" : Minimalism insisting upon the use of few and simple elements ; "Support/Surface" that emphasizes matter or substances of materials ; and Conceptual Art which intends not ta create an art object but to convey a concept. If we accept what Clement Greenberh means about Modernism when he says that the truth of painting lies in eliminating at all inessential elements of art from art mediums. Modernism can be conceived of as a mode that reduces art into the two-dimensional surface of the canvas or its limited square. Modernism thus tended to exclude illusion in the representational art, any subject mater and inessential material for a story and the artist's personal expressions as well. Against Modernism's extremely formalistic approach, Postmodernism tends to embody newly-gained meanings into various froms, embracing again the system of the representational art as well as subject matters and materials such as personal experiences, symbols and cultural archetypes. In this pluralistic trend in the contemporary art, I have paid attention to artists' subjectivity and their originality rather than to their specific artistic modes, for new art is not created by the artist's autobiographical interpretation but by his powerful subjectivity, which can be embodied by his ways of conception and his controlled methods for expression. For my own works I tried to recollect the images in weathered ancient temples and ancient murals - their colors, whether natural or deliberate - made textures of surface, and their blurred shapes and those accumulated images in my consciousness were expressed in the space of the canvas with the material itself. In the "content" of this thesis, my analysis was focused on the concept of the "surface plane" of painting presented by Antonio Tapies's "Informal" works ; problems of painting material or medium suggested by the French art group "Support/Surface" ;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um and space as in Robert Ryman's works that recall my own. In the "techniques" section, I tried to explain how art material in the canvas surface functions for its own existence and how the blank space in the canvas functions for enhancing a visual effect. In my pursuit to discover new significance of medium and space, I hoped that it would be part of my ceaseless quest for a genuine understanding of the complex and diverse trends in the contemporary art world.;본인의 논문은 현대회화에 있어서 공간과 물성의 문제를 분석하는데 집중하며 본인의 작품에 대한 해석은 이 문제를 내적인 경험으로 환원하여 해답을 얻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주어진다. 1950년 이후 현대미술의 흐름은 추상표현주의(Abstract Expressionism)에 이어 정형화되고 비개성적인 색면추상(Color Field Painting)이 전개되고, 최소한의 조형요소만을 주장하는 미니멀리즘(Minimalism), 그리고 비물질적이며 관념적인 측면만을 중시하는 개념미술(Conceptual Art) 등으로 전개되어왔다. 모더니즘 미술비평가인 그린버그(Clement Greenberg, 1990-)의 견해에 따르면, 회화에 있어서 '진실'이란 어떠한 미술매체로부터 회화의 본질이 아닌 모든 것을 추방하는 것을 뜻했다. 그러므로 모더니즘은 평면성이나 캔바스라는 한정된 사각형의 감축과정으로 해석되어지고 이 과정에서 재현의 모든 체계 모든 주제와 비본질적인 이야기거리, 그리고 작가의 개성을 표현하려는 모든 것이 배제되었다. 이에 회화로의 복귀로 보이는 포스트 모더니즘(Postmodernism)은 모더니즘의 지나친 형식주의적 입장에 반대하여, 미술을 의미구조로 파악하고자 일루젼이나 재현의 모든 체계와 개인의 경험, 상징, 문화적 원형(Archetype) 등의 모든 주제와 그리고 비본질적인 이야기 거리를 내포하는 다원주의적 경향을 지니고 있다. 새로운 예술을 탄생시키는 원동력은 자전적인 해석이 아닌 주체성을 표현하고자 하는데 있고, 이것은 주관적 인식의 언어를 통해 형성되고 절제된 개인의 표현양식으로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인은 다양한 표현양식이 공존하고 전개되는 현대미술의 흐름 속에서 특정한 양식을 이루기 보다는 회화의 평면성에 주관적인 창조의 태도에 주목하였다. 오랜 세월속에 퇴색되어진 사원이나 고대벽화에 대한 형상들 - 자연적이든 인위적이든 퇴색되고 떨어진 표면의 질감과 색채, 그리고 형태를 알아볼 수 없는 오래된 형상의 기억 - 의 막연한 이미지에서 얻어진 체험들이 의식속에 고착되어 창작 경험을 만들었으며, 이 축적되어진 세계의 이미지를 회화의 평면성에 입각하여 가시적 공간에 물질 자체로서 표출하려 하였다. 본 논문의 내용적인 연구에서는 회화로서의 평면성 개념과, 회화의 물성적 측면의 전환을 가져온 앙포르멜 작가인 타피에스(Antonio Tapies 1923-)와 1967∼68년 프랑스를 중심으로 결성된 "쉬포르 쉬르파스(Support Suface)"그룹의 물성적인 면과 본인의 공간에 대한 인식이 유사한 라이만(Robert Ryman 1930-)의 물질과 공간과의 관계에 관하여 서술하였다. 방법적인 연구에서는 회화의 조형요소들로 구성된 화면에서 물질의 실체를 파악하고자 하였고, 행위가 가해지지 않은 시각적 공간감을 주기 위해 남겨진 부분'으로서 여백을 통해, 회화 공간의 암시를 시도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하여 복잡하고 다양한 오늘날의 미술 상황에서 진정한 예술로서의 소통을 위해 끊임없는 노력과 탐구의 발판을 삼고자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ⅲ Ⅰ. 서론 = 1 A. 연구의 진술과 목적 = 1 B. 연구의 내용과 방법 = 2 Ⅱ. 본론 = 4 A. 내용적 연구 = 4 1. 회화의 평면성 = 4 2. 회화의 물질성 = 6 3. 개방된 공간성 = 8 B. 방법적 연구 = 10 1. 중첩에 의한 물성표현 = 10 2. 행위에 의한 조형요소 = 12 3. 공간 확장으로서의 여백 = 13 C. 참고작품 = 16 D. 본인 작품 분석 = 17 Ⅲ. 결론 = 33 참고문헌 = 35 ABSTRACT = 3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6349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물성-
dc.subject조형-
dc.subject공간-
dc.subject서양화-
dc.title물성(物性)에 의한 조형 공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PLASTIC SPACE DEFINED BY SUBSTANCE OF MATTER-
dc.creator.othernameNA, IN HA-
dc.format.pageiv, 3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서양화과-
dc.date.awarded199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