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李淑姙-
dc.contributor.author宋賢永-
dc.creator宋賢永-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6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48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863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485-
dc.description.abstractKorea has experienced its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through the economic development plans since 1960s. Urbanization has made a lot of urban problems and one of them is the squatter settlements. The urban population had increased, while the quantity of the urban housing become small. So the squatter settlements have been multiplied. The district housing environment was changed by the joint redevelopment plan that Korean government enforced to cope with this problem. Accordingly,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like this. At first it is attempted to observe the process of forming squatter settlements in Seoul. And then it is attempted to investigate how the joint redevelopment plan has been applied historically and has changed the housing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rocess of forming squatter settlements is observed as follows. At the first step, the squatter settlements had been formed near the CBD and the downtowns which supplied their inhabitants with a lot of jobs and low housing prices. The second falls on 1960s to 1970s. During this period, through the economic development plans, the urban population increased and was followed by the expansion of the squatter settlements. The collective migration by the government excluded them to the outskirts of Seoul. And those districts were at inaccessible heights lacking necessary and neighborhood facilities. The third falls on 1970s to 1980s. During this period, the squatter settlements were scattered to their surroundings by the joint redevelopment plan. These squatter settlements were destroyed and reconstructed from old ones to new. Sungdong-gu and Sudaemun-gu have been reconstructed most among 115 joint redevelopment districts in Seoul. The change of the housing environment is like this. Each unit in the proposed renewal districts is shown to have 3 rooms, below 18py size, the Ondol(briquet) heating system, and a conventional kitchen, while one in the joint redevelopment districts is shown to have 3 rooms, 33py size, the central heating system used by oil and gas, and a modern kitchen. The price of general apartment rose 5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prposed renewal districts. The price of a usual chonsei(Key Money) rose 13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proposed renewal districts. Thus, the original inhabitants who couldn't pay this housing price had to migrant and these apartments became occupied by the new inhabitants who could pay it. The joint redevelopment improved the housing environment but it raised a serious problem - that is to say, the housing plan lost its own purpose and so, not the low-income class, but the middle-income class had the chance of the housing occupation.;정부주도로 시작된 경제성장정책으로 1960년대 이후 우리 나라는 급속한 산업화, 도시화 과정을 겪게 되었다.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많은 도시문제가 발생되었고 그 중 하나가 불량주택 문제이다. 도시로의 인구집중은 큰데 반해 그런 인구를 수용할 수 있는 도시내 주택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불량주택지역은 급격히 증가하게 되었다. 이런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의 하나인 합동재개발은 정부의 물리적인 개입으로 지역 주택환경을 급속하게 바꾸어 놓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불량무허가정착지의 형성 과정과 합동재개발정책이 어떻게 어떤 지역에 적용되어 왔는지를 시기별로 살펴본뒤 그 정책이 지역주택환경에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시 불량주택지역의 형성 과정은 다음과 같았다. 제 1기인 1950년대까지는 해외귀국동포. 월남민. 전재민의 도시집중에 의해 형성된 시기로 직업을 구하기 쉽고 접근성도 좋은 주로 도심인근과 거주지로 부적당하여 지대가 싼 지역에 입지하고 있었다. 제 2기는 1960-1970년대로 경제개발로 인한 인구의 도시 집중으로 불량주택수가 크게 늘어났다. 정부의 집단이주정책으로 서울시 외곽으로 불량주택지역이 확산되었는데 철거이주된 지역은 접근성이 불량하고 생활필수시설과 근린시설이 전혀 없는 고지대, 외곽지역이었다. 제 3기는 1970-1980년대로 80년대 이후 추진된 합동재개발정책으로 불량주택지역이 해체 및 재생산되면서 집단이주지역에서 그 주변지역으로 무허가정착지들이 확산된 시기이다. 이들 불량무허가주택들은 주택재개발정책으로 보통 생성시기가 오래된 지역부터 철거되고 재개발 되고 있었다. 특히 1980년대부터 실시되고 있는 합동재개발지역은 115개 지역으로 그중 가장 많이 재개발된 지역은 성동구와 서대문구로 나타났다. 둘째, 합동재개발 정책으로 인한 주택환경의 변화는 다음과 같았다. 평균 방수 3개에 18평 미만의 주택규모에 연탄 온돌방과 재래식 부엌구조인 불량주택은 합동재개발 이후에는 평균 33평 규모에 방 3개, 현대식 주방과 중앙난방식의 기름·가스 보일러를 갖춘 14층 건물의 아파트로 주거환경이 크게 바뀌었다. 아파트 평균 주택가격도 재개발 전후를 비교해볼때 약 5배정도 상승하였고 전세금은 약 13배로 크게 상승하였다. 따라서 이런 주택가격을 지불할 능력이 없는 저소득층 원주민들은 이지역을 떠나고 지불능력이 있는 새로운 계층들로 지역거주민도 바뀌게 되었다. 합동재개발정책은 주거환경을 개선시켰지만 새로운 문제를 야기했다. 즉, 저소득층 원주민을 위한 정책이 실제로는 그들을 배제시키고 중산층에게 주택공급의 기회를 제공하였던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1. 연구목적 = 1 2. 연구방법 및 자료 = 2 Ⅱ. 불량주택재개발에 관한 일반적 고찰 = 4 1. 불량주택재개발의 정의와 사업의 목적 = 4 2. 불량주택재개발에 대한 연구 동향 = 7 Ⅲ. 서울시 불량주택지구 형성과 불량주택재개발지역의 분포 = 15 1. 서울시 불량주택지구의 형성 = 15 2. 서울시 불량주택재개발지역의 분포 = 25 Ⅳ. 불량주택재개발과 주택환경변화 = 32 1. 불량주택재개발 전후의 주택환경 = 32 2. 불량주택재개발지역의 주택환경 변화 = 43 Ⅴ. 요약 및 결론 = 47 참고문헌 = 50 부록 = 56 ABSTRACT = 6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4017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불량주택재개발-
dc.subject주택환경-
dc.subject서울시-
dc.title不良住宅再開發과 住宅環境의 變化-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서울시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Resodential Renewal and the Change of the Housing environment-
dc.creator.othernameSong, Hyun-Young-
dc.format.pagev, 6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생활학과-
dc.date.awarded199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