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金炯大-
dc.contributor.author손수안-
dc.creator손수안-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5Z-
dc.date.issued1993-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15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862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153-
dc.description.abstract1945년 이후 현대 미술은 1950년대의 추상 표현주의 (Abstract Expressionism)에서부터 1980년대의 신표현주의 (Neo-Expressionism) 등에 이르기까지 색다른 사조의 연속이었으며 이것은 빠른 속도로 교체되어갔다. 그러나, 이제 현대의 예술가들은 분명하고 일반적으로 따를만하다고 여겨지는 노선을 더 이상 갖고 있지 않다. 포스트 모더니즘(Post-Modernism)은 이러한 다원성의 시대에 70년대말을 전후로 부상하기 시작하였다. 다원주의(Pluralism)란 말 그대로 "통제를 파괴한다(Suzi Gablik)", "전체의 압제를 거부한다(Ihab Hassan)", 즉 모든 것을 수락한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모든 것이 열려 있는 불확실한 이 시대에 예술가가 해야 할 일은 무엇일까? 이러한 혼란 속에서 공통분모를 찾아내는 일은 오히려 명료하다. 그것은 지나친 형식주의와 미술의 엘리트주의를 지양하고 미학적 대중 주의를 지향하는 추이로의 변환이다. 이는 현실을 외면한 내면 지향의 극단적인 경향 즉, 예술을 위한 예술로서의 순수성 추구, 순수 조형 질서의 창조, 색채의 독자적 표현 추구 등 현실과 유리된 형식주의를 지양하고, 후기산업 사회와 인간의 실존 문제를 형상성의 추구를 통해 반영하고자 하는 것으로, 80년대 이후 세계 화단을 지배해 온 신표현주의의 공통된 특징이기도 하다. 여기서, 본인은 내용면에서 신표현주의의 이러한 예술적 태도와 프랑스 신구상회화의 현실 참여 정신을 기본으로 하는 작업에 맥락을 같이하고 있으며, 후기산업사회라는 실존적 상황과 부조리에 직면해 있는 인간의 삶을 서술해 내고자 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현실 반영을 위해 본인은 재현 형식을 취하고 있는데 이것은 현대 미술에서 실제 세계의 재현적 표현 방식은 "현실 모방"이 아닌 "작가의 보는 방식에 의한", 그리고 "특정한 회화 매체를 사용한" 표현이라는 관점에서 출발하는 것이다. 또한, 현대미술이라는 것은 자신의 존재 의미를 묻는 인간과 세계의 침묵사이에 발생하는 부조리를 극복하려는 투쟁의 일환이라는 사실을 인식하고 이를 철학적 배경으로 작품 속에 수용하였으며, 현대 회화에 나타나는 인간 형상의 의미를 로버트 롱고(R. Longo, 1953-)와 에릭 피슬(E. Fischl, 1948-)의 작품 속에 나타나는 인간 형상과 비교해 보았다. 방법적인 면에서는 본인의 작품 속에서의 사진의 사용 의미와 회화적 형식으로서의 Photo Montage 기법에 대하여 살펴보고, 다중 구조로서 추상성과 구상성의 공존을 한 화면 속에 실현시키고 이질적인 이미지를 화면에 병치시킴으로 시각적 충격을 이끌어 낸 데이비드 살르(D. Salle, 1952-)의 작품 형식과 본인 작품과의 연계성을 다루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본인의 석사 과정 중의 작품을 분석함으로써 본인의 작업 태도 및 방향 제시를 위한 토대로 삼고자 한다.;Since 1945, modern arts rapidly changed into various trends, from Abstract Expressionism in 1950's to Neo-Expressionism in 1980's. However, modern artists now no leger have clear artistic trend to follow. Post-Modernism appeared, preceding and following 1970's of the pluralism. Pluralism literally means "Break Control (Suzi Gablik)", "Get rid of Oppression (Ihab Hassan)", that implies anything is possible and acceptable. Then, what kind of work should modern artists do in a period so uncertain? In the chaos it is rather clear to find out common denominator. It can be defined as a transformation into aesthetic popularity, overcoming extreme formalism and elitism. Also it is to overcome extreme trend, seeking inner world while ignoring reality, creating plastic pure formative order, seeking unique expression of color, avoiding formalism separated from reality, Through seeking formative quality in a work of art the artists tried to reflect post-industrial society and the existence of human being. And it became a common characteristic of Neo-Expressionism which has dominated global painting-circles since1980's. In my painting process, I chose the same artistic attitude as Neo-Expressionism and French Conceptual Art in terms of actual participation, trying to describe human life, and facing post-industrial society and irregularity. Also, by recognizing that modern art is a struggle to overcome irregularity occurring between men and their environment I reflected it in my work with philosophical background, and compared formative meaning of men in modern arts with human figures, appearing on the works of R. Longo and E, Fischl. In methodology, I looked into the intended meaning of photoes in my works and Photo Montage technique as a means of artistic form, and on one scene I tried to express abstractness and formativeness with various structures which is akin to that of D. Salle (1952-)'s work and mine, who sought visual shock by putting heterogeneous images together. Through such research, I am trying to form a basis of my painting attitude and direction, by analyzing my works in master's progra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 문제의 진술과 목적 = 1 B. 연구 문제의 내용과 방법 = 2 Ⅱ. 본론 = 4 A. 내용적 연구 = 4 1. 재현 형식을 통한 현실 인식 = 4 2. 실존적 의미의 인간 형상 표현 = 7 B. 방법적 연구 = 12 1. 사진이미지의 도입 = 12 2. 다중 구조에 의한 화면 구성 = 16 참고작품 = 19 C. 본인 작품 분석 = 20 Ⅲ. 결론 = 34 참고문헌 = 36 ABSTRACT = 3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1037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재현 형식-
dc.subject현실-
dc.subject인식-
dc.title재현 형식을 통한 현실에 대한 인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Recognition of Reality through Representation-
dc.creator.othernameSohn, Soo An-
dc.format.pagevi, 3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서양화과-
dc.date.awarded199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