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85 Download: 0

연결주의와 지식의 정당화 문제

Title
연결주의와 지식의 정당화 문제
Other Titles
Connectionism and the Problem of Epistemic Justification
Authors
박연숙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철학과
Keywords
연결주의지식정당화철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소흥렬
Abstract
One of the most important intellectual development of the past few decades has been the birth of an exciting new interdisciplinary field called cognitive science. Researchers in psychology, linguistics, computer science, philosophy, and neuroscience realized that they were asking many of the same questions about the nature of the human mind. The word 'cognitive' refers to perceiving and knowing. Thus, cognitive science is the science of mind. My thesis deals with the epistemological issues relevant to cognitive science. Epistemology is a branch of philosophy concerned with the nature, structure, and origins of knowledge. Traditionally, the majour issues in epistemology with which philosophers of cognitive science have concerned themselves have been the analysis of the concept of knowledge and nature of the justification of belief. But cognitive science has forced a recognition of what epistemological issues demand attention, and currently issues about the structure and organization of the representation of knowledge are coming to the center stage. In this paper, I examine a few of the special problems about how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knowlege in the context of cognitive science. There is an analysis of knowlege which has been put forward again and again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Its first recorded occurence is in Plato's Theaetetus. According to this analysis,'S knows that P' is true if and only if the three conditions, i. e. the conditions of truth, belief, and justification, are satisfied. This analysis came to be accepted as the standard analysis of knowledge. According to the analysis, knowledge is justified true belief. But, this analysis was disputed by Edmund Cattier'counter arguments. This came to be known as the Gettier Problem in contemporary epistemology. Various solutions to the Gettier Problem have been suggested, but unfortunately there is no consensus as to whether any of them has been successful. Since Gettier's objection against the traditional analysis of knowledge focused on the third condition, that is, the condition of justification, a solution to the Gettier Problem was suggested by many epistemologists on the basis of epistemic justification for knowledge. The controversy over epistemic justification is divided into foundationalism and coherentism according to the nature of justifier for a belief. The central thesis of foundationalism is that basic empirical belief is justified, not by appeal to further beliefs but rather by appeal to nondoxastic states which can confer justification without requiring a further justification. But anti-foundationalists objected to the effect that nondoxastic forms of awareness cannot play a justificatory role. The most convincing objection comes from Bonjour. Bonjour argued that only states that have justification can confer justification, but only doxastic states can have justification, therefore only doxastic states can confer justific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that connectionism in cognitive science provides an adequate theory of knowledge which could solve the Gettier Problem, and thus the dilemma of foundationalism. Connectionism is a research project and a new paradigm in its developing stage which has recently received a great deal of attention. Smolensky presents a useful overview of the connectionist approach. According to Smolensky the central philosophical question has to do with the status of connectionism with regard to two traditional levels of description of organisms with mental capacity: a high level description involving conscious symbol manipulation, and a low level description involving the physical operation of brain. Smolensky argues that connectionism introduces a new paradigm of description. In connectionism, the lower level is a subsymbolic level. The level of analysis adopted by Smolensky is lower than that of the traditional, symbolic paradigm, but the level is more explicitly related to the level of the symbolic paradigm than it is to the neural level. The subsymbolic level is soft, and the upper level is hard, and the higer level emerge from the lower level. From this thesis of connectionism I propose a multi-layered structure of knowledge and of epistemic justification. Of this structure, the lower level of knowledge is the nonpropositional knowledge which is represented by subsymbols, and the higer level of knowledge is the propositional knowledge which is represented by symbols. The relation between the two level is seem as that of supervenience. As to epistemic justification, J.Van Cleve ha5 distinguished two types of epistemic principle. The principle of transmission and the principle of generation.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principle, the antecedent specifes some relation of P to other propositions the subject S is already justified in believing. According to the generation principle, the antecedent specifies some circumstance of the subject and his relation to P that could be characterized entirely in nonepistemic terms. In terms of this distinction, the core of the supervenience thesis can be put as follows: an adequate epistemology cannot make stated withine transmission principles only, but must recognized at least one generation principle. There must be some states of affairs that confer justification in terms of generation. In the Gettier Problem, the counter example that he presents as a case of knowledge must be so according to the generation principle, his counter example cannot be a case of knowledge, because of insufficent generation conditions. Therefore, his counter example does not hold, and the notion of the justified true belief still remains an adequate analysis of propositional knowledge.;인지과학은 인지의 문제를 중심으로 마음을 탐구하는 종합과학이다. 마음은 인지작용 뿐만 아니라 정의 작용과 의지작용을 포함하는데 인지과학의 주된 관심은 일차적으로 인지작용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인지과학에는 심리학, 인공지능학, 신경과학, 언어학, 인류학, 철학 등이 참여하고 있다. 본고는 인지과학에 철학이 포함된다는 점에 주목한다. 인지과학과 관련된 철학의 분야는 논의의 입장에 따라 다양하다. 인지과학의 과학적 측면을 부각하여 과학철학의 연장선에서 논의할 수도 있고, 마음을 주제로 삼는다는 점에 착안하여 심리철학의 문제로 다룰 수 도 있다. 본고는 철학의 분야중에서도 인식론과의 연관성에 집중할 것이다. 마음의 주요기능이 지식의 획득 및 사용과 관련되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인지과학과 인식론의 탐구 영역이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인지과학이 관심을 갖는 '인지'는 '인식' 이나 '지식' 보다는 넓은 영역이다. '인지'라고 할 수 있는 것에는 지식, 사고, 추리, 문제해결과 같은 지적인 심적 과정을 비롯하여 지각, 기억, 학습 등을 포함한다. 인지과학이 지식 습득의 실제적 과정에 관심을 갖는다면, 인식론의 관심은 지식 자체에 대한 것이다. 그러한 관심은 지식의 필요충분조건을 분석하는 것으로 실행된다. 플라톤 이에 에에어(Ayer)-치좀(Chisholm)에 이르는 인식론에서 지식은 "정당화된 참인 믿음"으로 분석된다. 이분석에 따르면 어떤 사람이 어떤 명제를 옳다고 믿고, 그 명제가 실제로 옳으며, 그가 그렇게 믿는 것이 정당화되는 오직 그 경우에만 그가 그 명제를 안다고 할 수 있다. 이 세 조건은 개별적으로는 지식의 필요조건이고, 서로 결합하였을 때는 지식의 충분조건이 된다. 그러나 지식에 대한 이상의 세조건들이 무비판적으로 수용되어 온것은 아니다. 지식에 대한 세 조건을 만족시키고도 무엇을 안다고 할 수 없는 경우가 게티어(Gettier)에 의해 제기되기 때문이다. 게티어는 자신이 구성한 반례를 통해 지식의 필요충분조건으로서 "정당화된 참인 믿음"이 불충분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게티어가 문제삼는 것은 정당화 조건이다. S가 p를 믿는 일이 정당화되어야 한다는 조건이 S가 p를 아는 것의 필요조건이라고 할때, "정당화되어야 한다"는 것은, 실제로 잘못된 믿음을 갖는 것이 정당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정당화 조건을 문제삼는 게티어의 반례가 제시된 이후에 인식론의 주요 논의는 정당화 조건에 집중된다. 현대 인식론에서 정당화 문제의 핵심은 하나의 믿음이 다른 믿음에 의해 추론적으로 정당화된다고 할때 발생하는 무한 소급의 문제이다. 무한 소급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어떤 믿음 p가 정당성을 지닌 것이려면 또 하나의 경험적 믿음 q가 있어서 p가 q로 부터 적절한 방식으로 추론될 수 있어야 한다. 여기서 믿음 q는 믿음p를 받아들이는 추론의 전제역할을 하고 있다. 그런데 믿음p가 이와 같이 추론적으로 정당화 되기 위해서는 믿음 q자체가 먼저 정당화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정당화의 방식이 추론적인한 소급은 끝나지 않는다. 정당화의 무한 소급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 가운데 가장 유력한 후보는 토대론(foundationalism)이다. 비추론적 정당화를 상정하여 소급을 종결지으려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합론(coheretism)의 진영에서 가해지는 토대론에 대한 비판도 심각한 것이여서 정당화 문제는 어려움을 벗어나지 못한다. 이와같은 인식론의 문제를 인식론의 방법으로서가 아니라 인지과학의 방법으로 해명해 보겠다는 것이 본고의 목표이다. 이를 위해서는 적합한 인지과학의 방법론을 선택하고, 인식론의 문제를 논의할 수 있도록 선택한 방법론을 재구성할 것이다. 인지과학의 주요 방법론으로는 계산주의(computationalism)와 연결주의(connectionalism)가 있다. 인지과학 전반을 지배하고 있는 계산주의는 인지를 '규칙에 근거한 기호(symbol)단위의 형식적 조작'으로 규정한다. 계산주의는 이러한 모형을 기반으로 인지에 대한 전면적 해명을 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최근에 계산주의의 대안으로서 연결주의가 등장하였다. 연결주의는 두뇌의 수많은 뉴런들이 연결되어 정보가 병렬적으로 처리된다는 것에 착안하여 인지를 '대규모 연결망 내 하위 기호(subsymbol)들의 활성화 패턴' 이라고 한다. 계산주의에서 지식은 기호단위의 개념적, 명제적 차원으로 표상되고, 연결주의에서 지식은 하위기호단위의 하위개념적, 비명제적 차원으로 표상된다. 인식론이 직면한 문제들을 해명하기 위해 본고가 채택하는 방법론은 연결주의이다. 그리고 연결주의의 주요 특성으로부터 '지식의 중층적 구조'라는 개념을 끌어낸다. 지식을 중층적 구조로 이해한다는 것은 지식의 상하 차원을 구분하고 그들간의 관계를 수반이나 의존관계로 보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인식론의 정당화 문제와 게티어 문제를 조명해 보는 것이 본고의 구체적인 목표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