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92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정숙-
dc.contributor.author이수진-
dc.creator이수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2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45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859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455-
dc.description.abstractJob builds up adults' being patterns and keynotes of life mode and at the same the, joins adults communal society, so has great value individually, socially, economically among n o d adults. The job , social work also is the principal element of social workers' lives as one of experts, so their work and job satisfaction is also very important. Because of the peculiar characteristics of social work to provide services interpersonally towards their clients, job satisfaction of social workers is important not only to the welfare of social workers but also to that of clients. A study on job satisfaction should be performed from the viewpoint that determines the level of services provided to clients as well as pursuing social workers' welfare. Thus, this study has its objectives in understanding the degree of social workers' job satisfaction and clarifying main factors to evoke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so presenting useful data to help effective agency operation and personnel management in the end. In total number of 204 social workers who work in welfare agencies in Seoul were sampled. Data collection was done between April 13rd and May 4th, 1994.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s stated above, documentary studies and experimental method were selected. Regarding the documentary study, it explored the definition of job satisfaction and deciding factors of job satisfaction throughout preceding studies, so tried to establish theoretical basis for survey. Regarding the experimental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it tried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social workers' job satisfaction and grasp the main factors to affect job satisfaction. I made the questionnaire to measure job satisfaction on the basis of JDI(Job Descriptive Index : Smith, Kendall and Hulin, 1969) and it consists of mainly two parts, totally 44 questions. One part constructed 8 questions about personal characteristics, the other part 36 questions about work itself, supervision, pay, opportunities for promotion, co-workers, agency, changing or suiting occupation. Data anlysis was conducted using statistical methods, such as frequencies, T-Test, One-way ANOVA(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 1. General job satisfaction of respondants was 3.06, it belongs to the degree of average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of community welfare center set up the highest score among 4 categories. 2. Marital status, agency which worker belongs to, experiences respondants took part in, social-work-field and religion were social workers' instincts which meaningly affected job satisfaction. The married presented the higher job satisfaction than the single, and the longer they worked, the more job satisfaction elevated. And the Catholics and Cristians revealed higher job satisfaction than other respondants. 3. The type of agencies approved to be an important element to have a powerful influence upon job satisfaction. Community welfare center showed higher job satisfaction than any other agencies which were included in this survey. The level of satisfaction was the highest in co-worker and promotion among respondants who worked for community welfare center. And in case of medical settings,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was highest in work itself, supervision, pay and agency. 4. According to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as personal instincts, exprience, religion, the type of agency and marital status were the meaningful factors to affect job satisfaction. As a result, job satisfaction should be understood as the multidimensional concept to be mixed of personal instincts, work itself, the administration and organizational system of agency, supervision, co-workers and so on. Based on this research, we gained noticeable suggestion. For the purpose of measuring job satisfaction accurately, job satisfaction scale which corresponds to OUT cultural background and includes multilateral aspects of job satisfaction should be examined. And the newly developed scale should include social workers' emotional characteristics, e.g., the motive to start social work, social workers' personal philosophy to perform their job and so on. Because these personal instincts of social workers can be the main clues to decide job satisfaction. According as measuring level of job satisfaction absolutely depends upon personal subjective sentiment, next research should keep in mind to consider social workers' emotional elements to decide job satisfaction. Exploiting new scale which includes more broad-wide elements will contribute agency administration, organization operation, personnel management, and it will also heighten the effect of job performing, so get elevated the quality of services which social workers deliver to their clients in the long run.;직업은 성인기의 삶에 있어서 각자의 존재양식과 생활기반의 근간을 형성하고 경제적 원천이 되어줌과 동시에 공동체적 삶에 동참하게 함으로써 개인적, 사회적, 경제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사회복지사 역시 하나의 전문직업인으로 그들의 직업이 각자의 삶에 주요 구성 요인이 되고 있으며, 사회사업 직무의 특성상 클라이언트와의 긴밀한 상호작용에 의해 서비스가 전달되고 있다는 두가지 측면에서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에 대한 연구는 사회복지사 개인과 클라이언트 양자 모두의 복리를 추구한다는 데 그 중요성이 있다. 다시 말해서 직무만족에 대한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정도가 나타내는 바가 사회복지사 개인의 안녕과 복리를 위해 중요하다는 측면에서 그치지 않고 클라이언트에게 전달되는 서비스의 수준을 결정하는데 기여한다는 시각에서도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부분인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수준은 어느 정도이며 직무만족을 결정하는 요인에 대한 명료화를 시도하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직무만족을 야기하는 요인과 불만족의 측면을 규명하여 궁극적으로는 효율적인 기관운영과 인력관리에 도움이 될 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 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 연구에서는 직무만족에 대한 개념 정의 및 선행연구를 통해 드러난 직무만족의 결정요인을 파악하여 실증적 조사연구의 기초를 형성하고자 하였다. 실증적 연구에서는 서울지역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를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직무만족실태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총 204명이 분석 대상이 되었고 조사 기간은 1994년 4월 13일부터 5월 4일까지였다. 조사도구는 JDI를 기초로 본 연구자가 제작한 설문지이며 개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묻는 8문항과, 직무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한 36문항으로 총 44개의 질문으로 구성하였으며 직무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설정한 하위척도군은 직무자체, 수퍼비젼, 보수, 승진, 동료, 기관, 전직 및 이직 등이다. 자료는 단순빈도와 백분율, T-Test, One-Way ANOVA, Regression 등의 방법으로 통계분석처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전체적 직무만족도는 3.06으로 '보통이다' 항목에 해당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소속기관별로는 일반종합사회복지관의 만족도가 가장 높고 그 다음은 의료기관, 노인 및 장애인 기관, 구청 또는 동사무소의 순으로 드러 났다. 2. 응답자의 개인적 특성 중 직무만족과 관련있는 요인들은 결혼여부, 소속기관, 경력, 종교로 판명되었으며 기혼이 미혼보다 직무만족도가 높고 경력이 2년 미만시에는 만족도가 높으나 그 이후 하락했다가 3년 이후에는 다시 상승하는 결과를 산출하였으며 종교는 천주교와 기독교가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3. 소속기관에 따른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상당히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는데 일반 종합사회복지관의 경우, 승진과 동료에 대한 만족도가 타 기관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의료기관의 경우, 직무자체와 수퍼비젼, 보수 및 기관에 대한 척도들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4.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개인적 특성들을 회귀분석한 결과, 경력, 종교, 소속기관, 승진의 순으로 설명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결론적으로 위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직무만족은 개인적 특성들과 직무자체를 비롯, 기관의 행정과 조직체계, 수퍼비젼과 동료 등 여러 요인들에 의한 다차원적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견해를 바탕으로 직무만족의 보다 정확한 측정을 위한 도구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는 기관행정과 조직관리, 인력관리의 측면에서도 중요하고 궁극적으로는 사회복지사가 수행하는 직무의 효과성을 높여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있어서도 시급한 과제라 하겠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의 목적 및 내용 = 6 C. 연구의 제한점 = 7 Ⅱ. 이론적 배경 = 8 A. 직무만족의 개념 = 8 B. 직무만족에 대한 선행연구 = 10 C. 직무만족의 중요성 = 15 1. 개인적 측면 = 15 2. 조직적 측면 = 16 D. 직무만족의 결정요인 = 17 Ⅲ. 연구방법 및 철차 = 22 A. 조사대상 = 22 B. 측정도구 = 23 C. 자료수집 및 처리 = 27 Ⅳ. 조사결과 및 분석 = 28 A. 전체적 직무만족도 = 28 B. 사회복지사의 일반적 특성과 직무만족도 = 28 1. 사회복지사의 일반적 특성 = 28 2. 일반적 특성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분석 = 31 (1) 연령과 직무만족도 = 31 (2) 성별과 직무만족도 = 32 (3) 학력과 직무만족도 = 32 (4) 결혼여부와 직무만족도 = 33 (5) 소속기관과 직무만족도 = 33 (6) 경력과 직무만족 = 34 (7) 종교와 직무만족도 = 35 C. 소속기관에 따른 직무만족도 비교 = 36 1. 전체 직무만족도 비교 = 36 2. 직무 자체에 대한 만족도 비교 = 37 3. 감독에 대한 만족도 비교 = 37 4. 보수에 대한 만족도 비교 = 38 5. 승진에 대한 만족도 비교 = 39 6. 동료에 대한 만족도 비교 = 39 7. 기관에 대한 만족도 비교 = 40 D.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하위 변인의 분석 = 41 Ⅴ. 결론 및 제언 = 44 A. 결론 = 44 B. 제언 = 47 1. 연구결과의 시사점 = 47 2.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 48 참고문헌 = 50 부록 = 54 ABSTRACT = 6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1506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사회복지사-
dc.subject직무만족-
dc.subject서울지역-
dc.title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social worker's job satisfaction-
dc.format.pagevii, 6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사업학과-
dc.date.awarded199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