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말복-
dc.contributor.author이진숙-
dc.creator이진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0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55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857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552-
dc.description.abstract한국의 무용계는 지난 70년대 중반부터 그리고 특히 80년대에 들어서 엄청난 양적 질적인 변화를 거쳐왔다. 특히 80년대의 한국 창작춤은 "한국무용의 현대화" 작업을 꾸준히 시도해 오고 있다. 그 작업으로 작품의 주제나 표현방법이 매우 다양화 되는 경향을 보였다. 주제의 폭이 넓어졌고 주제의 전개에 있어 현대적이고 일상적인 소재를 선택하며 그 표현도 전통춤의 창조적 변형을 통하여 무속적, 제의적, 공동체적 측면으로 깊이 있는 접근을 보이고 있다. 또 춤에 대해서도 개방적인 태도를 취하여 전통춤의 몸짓에만 얽매이지 않는 유연하고 자유분방한 육체언어를 구사하게 되었다. 이에따라 한국무용, 현대무용, 발레의 장르 구별이 불분명해지고 전통기법 및 한국적 정서가 결여된 작품이 보이기도 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한국창작춤이 한국적 정서의 표현과 현대인의 감성에 어울릴 수 있는 표현을 위하여 전통춤을 어떠한 방법으로 수용하고 있는지 춤움직임의 측면과 표현양식의 수용측면에서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1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연구방법을 제시하며, 2장에서는 문헌을 중심으로 전통의 개념과 전통무용의 개념을 알아보았고, 전통춤중에서 승무, 살풀이, 탈춤, 농악, 무속춤의 특질을 살펴 보았다. 3장에서는 한국춤의 시대적 흐름을 살펴보고 그 속에서 나타나는 전통무용 수용의 형태와 특징을 알아 보고자 한다. 4장에서는 현재 한국창작춤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전통춤의 수용의 측면으로, 앞서 살펴본 살풀이, 승무, 탈춤, 농악, 무속춤의 특질과 연관하여 어떠한 형태로 변형되어 수용되어 현대인의 감성에 어울릴 수 있는 춤표현 방식으로 나타나고 있는지를 춤움직임의 수용측면과 표현양식의 수용측면으로 분류하여 살펴 보았다. 5장은 결론으로 본론의 내용 요약과 한국 창작춤에서 현시대에서 추구해야할 전통수용의 바람직한 방향에 대해 제시하였다.;Korean dancing has underwent a dramatic change,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from the middle of the '70s, especially during the '80s. The domestic dance performed since the '80s has witnessed the ceaseless efforts to "modernize Korean dancing", which has resulted in a variety of themes and expression methods of dancing works. Themes are developed with modern and ordinary materials and bold modification or expression of the traditional is carried out using the expression of modern dancing as in dancing barefoot or rolling on the floor. Dancers do away with stereotyped, traditional movements but develop new dancing vocabularies to diversify the technique of expression. Such an effort seems to have both merits and demerists: The creative Korean dancing can get out of the traditionalized movements and provide dancers with physical and mental freedom to utilize their language which i s flexible as well as unrestricted. It becomes difficult, however, to draw a distinction between dancing genres like Korean dancing modern dancing, and ballet to see not only the sppearance of works where their nationality, traditional techniques, or domestic atmosphere is indistinctive but also an evil influence to destroy the originality of Korean dancing. So, this study aims at discovering elements and features in the traditional dance which can be expressed in good harmony with the domestic, modern atmoshphere, not with the western dancing. And, the ways to modify or express such elements and features are looked into.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necessity, purpose, and methodology of this study are described in the first chapter. The second chapter discusses the concept of the traditional and the traditional dances, the classification of the traditional dances, especially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masked dance, instrumental music of peasants, Salpulli, buddhist dance, and shamanic dance on the basis of liternatures concerned. The third chapter discusse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Korean danceing and its patterns and features of employing the traditional dance. The fourth chapter explores how those dances such as masked dance, instrumental music of peasants, Salpulli, buddhist dance, and shamanic dance have been modified and employed by modern dances to come into being as modern elements anew. The fifth chapter summerizes the study and suggests an ideal way for creative Korean dancing to employ and embrace the elements of traditional danc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論文槪要 = Ⅳ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B. 연구방법 및 제한점 = 2 Ⅱ. 한국의 전통춤에 대한 이해 = 4 A. 전통의 개념과 전통춤 = 4 B. 전통춤의 특성 = 7 1. 농악 = 8 2. 탈춤 = 11 3. 살풀이 = 15 4. 무속춤 = 19 5. 승무 = 24 Ⅲ. 한국창작춤의 시대적 흐름 = 28 A. 1960년대 이전의 신무용기 = 30 B. 1960 - 1970년대 = 37 C. 1980년대 창작무용 = 41 Ⅳ. 한국창작춤에 나타난 전통춤의 수용 = 46 A. 춤움직임의 수용 = 47 B. 표현양식의 수용 = 56 Ⅴ. 결론 = 66 참고문헌 = 69 ABSTRACT = 7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7680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한국창작춤-
dc.subject전통의 수용-
dc.subjectCreative Korean Dancing-
dc.subject.ddc700-
dc.title한국창작춤에 나타난 전통의 수용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mployment of the Traditional in Creative Korean Dancing : Especially of Masked Dance, Instrumental Music of Peasants, Salpulli, Buddhist Dance, and Shamanic Dance-
dc.creator.othernameLEE, Jin-Sook-
dc.format.pagev, 7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학과-
dc.date.awarded199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