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권영걸-
dc.contributor.author정용재-
dc.creator정용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0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60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857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600-
dc.description.abstract「박물관 이라함은 예술, 역사, 미술, 과학, 기술에 관한 모집품및 식물원, 동물원, 수족관 등 문화적 가치가 있는 자료, 표본등을 각종 방법으로 보유하고 연구하며 일반 대중의 오락과 교육을 위하여 공개 전시함을 목적 으로하여 그것이 공공의 이익을 위해 기여하는 항구적 건물이다」 라는 박물관 헌장 에서의 규정과 같이 현대의 박물관은 모으고, 전시 하는데 그치지 않고 교육과 여가문화 활동에 까지 그 활동 범위가 넓어져 모든 방면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고 중요하게 되었다. 오늘날의 박물관은 학문이나 문화의 여러 분야가 세분화되고 전문화 되는것이 대체적인 경향인것 같이 전문 박물관과 지역과 관련이 있는 향토 박물관의 설립으로 그 특수성이 강조 되어야 한다. 또한 박물관은 대중 깊숙이 파고들어 박물관이 가지고있는 자료를 공개 활용하여 역사와 문화의 전달자로서 또, 일반 대중의 휴식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수행 하여야한다. 본 논문은 「박물관, 미술관법」의 개정으로 앞으로 많은 설립이 예상되는 전문 박물관의 공간을 계획하는데 있어서 현대 사회의 여가 시간의 증대로 인한 여가 문화 공간으로, 고령화 인구의 사회교육 시설로서의 박물관의 역할에 그 목적을 두었다. 소규모 도자유물 전문 박물관의 공간 디자인 과정을 통해 인간과 전시물, 인간과 전시환경, 인간과 환경 커뮤니케이션 (CoBmnlnication) 역활을 수행 할 수 있도록 하여 이용자가 전시품을 충분히 이해하고 감상하며 휴식할 수 있는 공간을 계획 하고자한다. 연구의 진행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문화 활동의 場 으로서 박물관의 개념과 여가문화의 발생 환경을 알아보고, 여가 문화 생활을 창조 적이며, 재생산 의욕을 고취 시키기 위한 공간으로서박물관의 역활을 살펴 보았다. 2. 박물관에서 휴식 공간이 갖는 역할을 강조하고 휴식 공간이 박물관의 여러 활동을 촉진 하기 위한 재원의 확보라는 전제하에 그 대상으로 도자유물 전문 박물관과 다도원을 선정하여 그 특성을 연구 하였다. 3. 디자인 제시를 통하여 박물관 전시를 관람하기 위한 관람자에게는 휴식을 제공하며, 휴식을 필요로하는 시민에게는 지적 체험을 전달 할수 있는 교육과 오락을 결합한 場으로서 접근한다. 4. 본 연구를 통하여 박물관은 단순히 유물을 전시 보관 하는데 그치지않고 전시품을 통하여 문화를 교육하고 여가 문화활동을 위해 관람자에게 다가가며 지적 레져의 공간으로 그 영역을 확대 하였다.;The museum retains and makes researches with various ways the specimen and materials having a cultural value, such as the collections about the art, history, fine arts, science and technology, a botanical garden, zoological garden, and so on. In addition the museum should make the most of their property through exibition to the public and provide the resting place for them as a delieverer on history and culture. It is also a permanent building to promote the public interests, which exhibits to the public for the purpose of entertainment and education. Such as the provision of this museum's charter, the modern museum has a great effect on all its aspects not only collecting and the public to cultural activity. As if knowledge and all sorts of culture today tend towards subdivision and specialization, now museum should be emphaszre on the importance of speciality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characteristic museum and provincial museum related to local society. As the new law of museum comes into power, many special museums will be established from now on. For this reaso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uggest a role of museum as a cultural space for spanding leisure time and a social education institution for reeducating the aged people at modern era. Through the interior design process of a smal scale special pottery relic museum, this study proves that it can accomplish the function of man and object, man and exhibit environment, man and environmental communication. Consequently this study will plan a place for refreshment which users appreciation and enjoy exhibition satisfactorily. The proces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Above all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 of museum as a field of cultural activity and the birth background of culture for leisure time. This study looks through the role of museum. so as to inspire with creative and hopeful cultural life. 2. Under the that the success of museum depends on the role of resting place at museum, this study selects the project space for the special pottery relic museum with a tea-house and inquires the characteristics. 3. This study suggest a design that the museum can provide a rest and pleasure with visitors who want to look around the exhibition of museum, and communicate a intellectual experience as a field combining education with entertainment. 4.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a significanae in the enlargement of museum's role as an intellectual and cultural place that enhances the spectator's attention with educating culture and leisure activities through the exhibition at museu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1. 서론 = 1 1.1 연구의 목적 = 1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1 2. 문화 활동의 場으로서 박물관의 기능과 역할 = 3 2.1 박물관의 개념과 약사 = 3 2.2 한국박물관의 역사와 변천과정 = 6 2.2 박물관의 역할과 분류 = 15 2.2.1 박물관의 기능 = 15 2.2.2 박물관의 분류와 전문박물관의 역할 = 16 2.4. 여가문화의 발생 = 19 2.4.1 여가의 발생과 의의 = 19 2.4.2 여가생활의 형태구조 분석 = 20 3. 여가문화 활동의 場으로서 도자유물박물관과 다도원의 특성및 사례연구 = 23 3.1 도자유물박물관의 특성 = 23 3.1.1 한국 옛도자기의 개념 = 23 3.1.2 도자유물 박물관과 다도원의 특성 = 24 3.2 전시 사례 연구 = 27 3.2.1 문제점과 과제 = 28 3.2.2 분석의 결과 = 32 3.2.2.1 제한점 = 32 3.2.2.2 소규모 전문 박물관의 과제 = 32 4. 박물관 공간 디자인 및 전개과정 = 33 4.1 디자인 개요 = 33 4.2 대상지 선정과 분석 = 35 4 2.1 대상지 선정 = 35 4.2.2 선정 대상지의 분석 = 37 4.3 디자인 목표 설정 = 37 4.3.1 운영 프로그램 = 38 4.3.2 주요시설물 및 내용 = 39 4.4 공간계획 및 방법 = 41 4.4.1 공간적 요구 조건 = 41 4.4.2 동선계획 = 45 4.4.3 평면계획 = 47 4.4.3.1 디자인 이미지 = 47 4.4.3.2 평면디자인 = 55 4.4.3.3 디자인의 시각화 = 60 4.5 종합 및 평가 = 76 5. 결론 = 78 참고문헌 = 80 ABSTRACT = 8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6848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c.subject여가문화활동-
dc.subject박물관-
dc.subject공간 디자인 과정-
dc.subject도자유물 박물관-
dc.title여가문화활동의 장(場)으로서 박물관 공간 디자인 과정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소규모 도자유물 박물관과 다도원을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Planning Process of a Museum Interior Design as a Field of Leisure and Culture : Especialy on the Design of a scale Pottery Relic Museum including the tea-house-
dc.creator.othernameChung, Yong-Jae-
dc.format.pagex, 8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실내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94.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실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