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길홍-
dc.contributor.author진혜영-
dc.creator진혜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0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59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857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594-
dc.description.abstract과거에는 문화예술을 어떠한 대상으로 보았으나 21세기 정보화 시대에는 물질에서 인간의 마음, 즉 정신적인 것으로 전환되어 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오늘날 물질주의에 급속도로 물들고 있는 사회속에서 인간의 관심은 물질과 기능에 대한 가치에서 인간의 정신과 마음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관심으로 변해가고 있다. 실내공간 디자인은 공간의 전문화에 따른 질적 향상으로 미적 이미지를 요구하는 경우가 빈번해지고 있음에 따라 공간에 있어서 기능이나 구조 못지않게 이미지의 가치가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이미지는 물적 실체나 언어보다 앞서는 정신적 가치로서 공간에 있어서의 정보 혹은 메시지의 상징적인 전달을 매우 빠르고 직관적으로 수행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건축적 조건이나 합리적인 상업적 요구사항의 기능적인 면 때문에 추상적인 것으로 여겨지는 이미지는 적극적으로 연구되지 못했다. 본 연구는 실내공간을 구성하는 요소에 정신적 가치로서의 이미지를 체계적으로 조작하여 기능적인 면에서 벗어나 실내공간의 미적 이미지를 상승시키고 공간과 이미지를 통합하는 개념으로서 실내공간 디자인의 새로운 이미지와 시각을 제시하는 데에 다음과 같은 연구목적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결론을 유도한다. ·과학과 문화예술에 있어서의 사상적 흐름을 통해 공간을 이해하고 인간의 마음인 정신적 가치에 중점을 둔다. 이미지를 실내공간에서 비물질적인 것으로 간주하고 이미지의 다양한 형성과 표현을 통해 탈물질화를 시도한다. 현대미술에서도 모더니즘과 포스트 모더니즘, 해체주의를 탈물질화로 서술한다. ·이미지의 언어적 기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이미지의 개념정의의 및 특성에 대해 알아본다. 이미지의 특성은 표현 이미지, 조형적 특성, 추상적 공간으로 나뉜다. ·이미지에 의한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체계화함으로써 공간의 미적 이미지체계로서의 예술적 전환을 규명한다. 이미지와 실내공간을 결합시켜 이미지체계로 인식하고, 인간과 공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유도한다. ·실내공간에서 공간개념을 명확히 제시하며 건축적 요소를 정리함으로써 실내공간 구성요소를 해석한다. ·실내공간 구성요소의 해석을 바탕으로 이미지 표현과정을 계획한다. ·미적 이미지를 통한 디자인 프로세스를 체계화하고 디자인 계획을 위해 물리적인 실제공간으로 패션매장을 사례연구로 한다. 여기서 이미지 표현계획은 다음과 같은 3단계로 정리된다. 1. 이미지 찾기 1) 점 2) 선 3) 면 2. 이미지 변환기 1) 점 2) 선 3) 면 3. 이미지 적용하기 1)점 2) 선 3) 면 4) 공간 이미지 이와같은 이미지 표현계획을 통한 체계적인 디자인 접근방법을 통해 디자인 단계에 실제 패션매장 실내공간을 적용해 봄으로써 기존의 건축적인 구조체계와 비가시적 기능 체계를 통합시키는 미적 차원의 가치를 공간전체에 반영시킨다. 패션매장의 브랜드 이미지는 퍼브릭 스페이스(Public Space)에 미적 가치를 부여함으로써 인간 - 환경간의 원활한 예술적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기업이나 상품에 대한 사회윤리적 측면, 신뢰도, 기술의 우수성, 광고활동, 친절한 서비스, 제품 소비경험에 근거한 만족감, 품질 및 디자인의 우수성, 아이디어의 지속적 창출로인한 소비문화의 선도능력 등의 매우 다양한 요소가 총체적으로 작용하여 브랜드의 동질성(Brand Identity)을 추구한다. 소비자가 제품을 구매할 때 라이프 스타일, 개성 등이 구매욕구를 형성하며 이러한 욕구는 판매환경을 평가하는 데 이용되는 우선순위를 결정하게 된다. 즉 편리성, 서비스, 판매원, 제품의 전, 조화된 실내디자인, 가격, 광고 등이다. 소비자의 욕구에 가까울수록 구매할 가능성이 커지며 재방문할 가능성이 증대된다. 패션매장은 소비자를 성공적으로 판매환경에 끌어들이고 상품의 질과 더불어 독특한 특성을 갖는 미적 이미지체계로서의 실내공간 창조가 본연구의 의의이다.;People defined art as an object at the past days. But today, the information ear, the definition of art is changing into the mental thing. Nowadays a favor of human is changing from the value for material and function to value for human mind and human spirit. That means, in the interior space design, "image" is more valuable than function and structure for space. Image, the mental value rather than the material and the language, has a special feature that communicate information or symbolical massage very fast and instantaneously. Image which is considered abstract, has not been studied actively because of the architectual and commercial problem. In this thesis, applying systematically the image with the mental value to the structural elements of interior space, I will emphasize the esthetic image of interior design rather than the functional aspect of it. Interior space design, the concept mixing space and image, has the object of introducing the new point of view in the image. I will make research and draw a conclusion with the following process. o We understand the image through the trend of thought of science and art and emphasize the mental value, namely the human mind. o In order to know the linguistic function of image, we investigate the definition and the feature of image are composed of expressional image, shaping feature and abstract space. o The various and very unique expression procedures are explored as an image of the creative communication media both for men and space. o Clarifying the concept of space in the interior space and arranging the architectual elements, we interpret the composition elements of interior space. o We plan the image expression process on the basis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composition elements of interior space. o We systematize the design process through the esthetic image and for the design plan perform the case study of "Fashion shop" as a physical interior space. Here we can summarize the image expression plan as the following 3 stages. 1. finding of image 1) a point 2) a line 3) a plane 2. changing of image 1) a point 2) a line 3) a plane 3. application of image 1) a point 2) a line 3) a plane 4) a image of space I try to find out meaning of this standing. I try to apply to method of systematic design approach by image expression plan to real fashion shop interior space. I try to reflect a value of esthetic dimmension that offsets a existing architecture system and a visible function system to a whole space. Introducing esthetic value to the public space, brand image of the fashion shop make the artistic communication between man and environment possible harmoniously. Brand Identity is pursued by the aggregate working of the various elements such as the moral aspect, of enterprise and commodity, the degree of confidence, the excellence of technique, propaganda, kind service, the excellence of quality and design leading ability of consumption culture based on the continuous original idea and the feeling of satisfaction based an the consumption experience of commodity. When consumers purchase a commodity, the Life Style and the unique character of them determine the purchasing desire, which determines the priority order of the evaluation of sales environment. Namely, those are convenience, service, quality of commidity, harmonious interior design, price, propaganda, etc. Nearer to the consumer's desire, the possibility of purchase and re-visit grows larger. It is the purpose of this thesis that I originate the interior design as aesthetic image system which hag quality of commodity and unique character in order to draw customers to fashion shop.-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1. 서론 = 1 1.1 연구목적 = 1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3 2. 시대·사회변화에 따른 이미지의 중요성 = 4 2.1 정신적 가치로서의 이미지에 대한 체계적 해석 = 4 2.1.1 과학과 문화예술의 탈물질화 과정 = 5 2.1.2 현대미술의 탈물질화 양상 = 9 2.2 이미지 개념정의 및 특성 = 16 2.2.1 이미지의 개념 = 17 2.2.2 이미지의 특성 = 20 2.3 미적공간의 이미지 커뮤니케이션 = 30 2.3.1 이미지 커뮤니케이션 = 31 2.3.2 미적공간으로서의 실내공간 = 35 3. 공간이미지 체계 과정 = 37 3.1 실내공간 구성요소의 해석 = 37 3.1.1 공간 개념 = 38 3.1.2 건축적 요소 = 42 3.2 공간 이미지 표현계획 = 47 3.2.1 이미지 찾기 = 48 3.2.2 이미지 변환하기 = 51 3.2.3 이미지 적용하기 = 55 4. 미적 이미지체계의 공간적 적용과정 사례연구 : 패션매장 실내공간 디자인 = 62 4.1 프로그래밍 단계 = 62 4.1.1 대상 공간 선정 = 62 4.1.2 대상공간의 성격 = 64 4.1.3 대상공간의 구성 = 67 4.2 디자인 단계 = 71 4.2.1 디자인 목표설정 = 71 4.2.2 디자인 시각화 = 75 4.2.3 디자인의 종합 및 평가 = 93 5. 결론 = 94 참고문헌 = 96 ABSTRACT = 10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85313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c.subject미적 이미지 체계-
dc.subject실내공간-
dc.subject디자인-
dc.subject패션매장-
dc.title미적 이미지 체계로서 실내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패션매장 디자인사례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BY ESTHETIC IMAGE, STUDY FOR INTERIOR SPACE DESIGN-
dc.creator.othernameJin, Hea-young-
dc.format.pagexi, 10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실내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94.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실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