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홍양자-
dc.contributor.author이현민-
dc.creator이현민-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8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54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854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54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정신지체아와 정상아에게 신체조정력을 위한 훈련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교육가능급, 훈련가능급 정신지체아동과 정상아동 집단간의 신제조정력의 향상도를 B.C.T.(Body Coordination Test)를 통해 파악함으로써 정신지체아동을 위한 신체조정력 향상프로그램 구성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강국교와 정진학교에 재학중인 정신지체아동중 중복장애가 없는 10∼12세 교육가능급, 훈련가능급 정신지체 아동 각14명과 동연령의 정상아 14명, 총 42명을 대상으로 이 가운데 각 집단의 신체조정력 훈련집단 각각 7명은 신체조정력 향상을 위한 훈련프로그램인 지그재그런, 왕복달리기, 양팔들고 한발서기, 평균대운동, 공 던지고 받기, 매트운동을 6주간 주2회, 1일1시간씩 훈련시켜 B,C.T.과제인 6.0cm, 4.5cm, 3.0cm보행대 뒤로걷기, 좌우뛰기, 옆으로 이동하기를 통해 훈 련전, 후의 신체조정력을 비교하여 향상도를 분석하였다. 교육가능급, 훈련가능급 정신지체아동과 정상아동 세 집단의 B.C.T. 검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교육가능급, 훈련가능급 정신지체아와 정상아동의 신체조정력 과제별 향상도는 6.0cm보행대 뒤로걷기과제에서는 집단에 따라서(P<.05), 훈련여하에 따라서(P<.01), 신체조정력향상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4.5cm보행대 뒤로걷기과제에서는 훈련여하에 따라 신체조정력 향상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1), 3.0cm 보행대 뒤로걷기과제에서는 훈련여하에 따라, 집단별 훈련여하의 상호작용효과에 의해 신체조정력 향상도에 차이가 있었다(P<.001). 좌우뛰기과제에서는 집단과 훈련여하에 따라서 신체조정력 향상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P<.001), 옆으로 이동하기과제에서는 훈련여하에 따라서 향상도에 차이가 나타났다(P<.001). 2. 교육가능급 정신지체아동 훈련집단은 비훈련집단에 비해 3.0cm 보행대 뒤로걷기과제를 제외한 전 과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도가 높게 나타났다(P<.01, P<.001). 3. 훈련가능급 정신지체아동 훈련집단은 비훈련집단에 비해 3.0cm보행대 뒤로걷기과제와 좌우뛰기과제를 제외한 과제들에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P<.05, P<.01, P<.001). 4. 정상아 훈련집단은 비훈련집단에 비해 3.0cm 보행대 뒤로걷기과제와 좌우뛰기과제의 향상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P<.001). 5. 훈련을 실시한 교육가능급, 훈련가능급 정신지체아동 집단과 정상아집단 간의 신체조정력 향상도는 교육가능급 정신지체아집단이 3.0cm 보행대 뒤로걷기과제를 제외한 전 과제에서 정상아집단과 훈련가능급 정신지체아집단보다 향상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신체조정력 훈련프로그램을 통해 세집단의 신체조정력이 향상되었으며, 특히 교육가능급 정신지체아집단은 정상아와 훈련가능급 정신지체아집단보다 신체조정력 과제 향상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조직적인 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신체조정력 향상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degree of achievement of body coordination between three groups of educatable mentally retarded(EMR) children, trainable mentally retarded(TMR), and normal children. For this purpose we provide the basic material to improve the mentally retarded children(MRC) body coordination. Also this study applys a exercise program for improving body coordination to both the MRC and the normal group and checks the differences of improvement of some different groups by performing B.C.T. To apply this program, we firstly choosed 42 students at Seogang and Jungjin primary school who are between 10-12 years old. They are equally divided as three groups : educatable children who do not suffer the mental retardation, trainable children who suffer the mental retardation, and normal group. In addition, each group are sub-divided to exercising and non-exercising group. The exercise had been performed twice in a week and an hour for each exercise. After 6 weeks exercising,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achievement degree of body coordination before and after exercising by applying B.C.T. (6.0cm, 4.5cm. 3.0cm Balancing Backwards, Jumping Sideways, Shifting Platform on Sidewis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achivement degree of body coordination abilities of the exercising group differ from that of the non-exercising group in each subject, namely 6.0cm, 4.5cm. 3.0cm Balancig Backwards, Jumping Sideways and Shifting on Sidewise. In 6.0cm Balancig backwards and Jumping sideways subjects of EMR, TNR and Normal Children groups shows the diffrence in degree of achivement of body coordination abilities. 2. The exercising group of EMR shows higher improvement than the non-exercising group within the meaningful level P<0.01, P<0.001 for all subjects of B. C. T. expect for 3.0cm Balancing Backwards. 3. The exercising group of TMR shows higher improvement than the non-exercising group within the meaningful level P<0.05, P<0.0l P<0.00l for all subjects of B.C.T. except for 3.0cm Balancing Backwards and Jumping Sideways. 4. The exercising group of the normal children group shows higher improvement than the non-exercising group within the meaningful level P<0.00l for subjects of 3.0cm Balancing Backwards and Jumping Sideways. 5. The improvement of body coordination of the educatable MRC is statistically meaningful within P<0.001 level. As the results of comparison of the improvement of subjects, the improvement of EMR is the highest for 6.0cm,4.5cm Balancing Backwards. The normal children group improves 1.85 for 3.0cm Balancing Backwards. The EMR improves 6.21 for Jumping Sideways and 2.14 for Shifting Platform on Sidewis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문제 = 3 Ⅱ. 이론적 배경 = 5 1. 정신지체의 정의 및 분류 = 5 1) 정신지체의 정의 = 5 2) 정신지체의 분류 및 특성 = 7 2. 조정력에 관한 고찰 = 9 1) 조정력의 정의 = 9 2) 조정력의 중요성 = 12 3) 신체조정력의 향상에 관한 고찰 = 15 Ⅲ. 연구 방법 = 20 1. 연구대상 = 20 2. 연구도구 = 21 1) 신체조정력 훈련프로그램 = 21 2) B.C.T. (Body Coordination Test) = 23 3. 측정방법 = 24 4. 자료처리 = 27 Ⅳ. 연구 결과 및 고찰 = 28 1. 집단별, 훈련여하별, 신체조정력 과제 향상도 결과 = 28 2. 교육가능급 정신지체 아동집단의 훈련여하에 따른 B.C.T. 과제 성적결과 = 31 3. 훈련가능급 정신지체아동집단의 훈련여하에 따른 B.C.T.과제 성적 결과 = 33 4. 정신아동집단의 훈련여하에 따른 B.C.T.과제 성적 결과 = 35 5. 신체조정력 훈련을 실시한 교육가능급, 훈련가능급 정신지체아동 그리고 정상아동 집단간의 신체조정력 향상도 결과 = 37 Ⅴ. 요약 및 결론 = 41 참고문헌 = 44 ABSTRACT = 4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4284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정신지체아-
dc.subject신체조정력 향상도-
dc.subjectB.C.T.-
dc.subjectBody Coordination Test-
dc.subject.ddc700-
dc.title정신지체아의 신체조정력 향상도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B.C.T.(Body Coordination Test)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study on degree of achievement of body coordination abilities for mentally retarded children using B.C.T(body coordination test)-
dc.creator.othernameLee, Hyun Min-
dc.format.pageviii, 5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체육학과-
dc.date.awarded199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