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경자-
dc.contributor.author정혜욱-
dc.creator정혜욱-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6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72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853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722-
dc.description.abstract문양은 삶에 대한 어떤 주관적 의식이 知的 대상이기 이전에 인류가 걸어온 삶의 역사이며 발전과 창조의 표출이고, 그속에 종교가 있는 신앙이다. 동양 문화가 서양과 전혀 다른 점은 동양인들은 매우 풍부한 상상력을 지니고있는 데에서 비롯된다. 몽고문양에 나타난 길상문양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고있다. 첫째, 元대의 몽고(A.D 1271-1368) 길상도안 무늬에서는 여의두, 팔길상을 많이 사용하였다. 淸지배하의 몽고(A.D 1644-1911)에서는 元대의 몽고에 나타난 문양보다 특히 길상도안 무늬, 서수.서금무늬의 다양함을 볼수 있었다. 또한 現, 몽고(A.D 1920-1940) 민속복 및 장신구에 나타난 길상문양은 여러 길상무늬를 복합, 응용하여 현대적으로 사용할수 있는 길상문양으로 발전시켰음을 발견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양을 중심으로 몽고 전통 복식 및 장신구에 나타난 문양을 현대 장신구(구두, 핸드백, 모자, 우산)에 적용하여 제작했으며 표현방법의 다양성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와같은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몽고 전통양식으로서 길상문양을 단순히 답습하지 않고 이를 변형하거나 여러가지 문양을 결합시켜 현대적 조형감각을 발휘 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되었다. 둘째, 몽고 전통양식에 나타난 길상문양은 현대 실용장신구 산업에 새로운 모티브로서, 이를 통해 창의적이고 다양한 디자인 개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셋째, 자수, 비딩, 과슈(gouache)로 hand painting등의 기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서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 시켰고 카프, 양세무, 클라리노, 폴리공단, 펠트지 등 다양한 소재의 선택과 색의 점진적(gradation)활용도 조형적 성과를 얻는데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고 생각된다. 넷째, 실용장신구 개발에 있어서 무엇보다 실용성과 기능성을 감안하여 모자에 있어서는 crown부분을 열었을 때와 닫았을 때의 기능성과 실용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구두에 있어서는 토우부분을 새로이 디자인하여 몽고 전통적인 요소와 현대 조형적인 요소를 접목시킬수 있었고, color patch를 시도한 위에 각기 다른 문양을 결합시킴으로써 미적측면과 기능적인 측면을 적절히 조화시켰다.;Pattern is a man's living history, an expression of his development and creation, or a faith with religion, rather than an intelligent object of objective consciousness for life. What is sharply different between the oriental culture and the western one is that the former has a very rich imagination. Having her own tribes controlled most of Eastern and Western countries for a long time with several dynasties established, Mongolia could be equipped with special costume culture which have influence on the counter parts of many countries under her control and caused them to be changed as her own by the interchange, assimilation, and interaction of and among cultures. Therefore, the study suggests not only the original Mongolian clothing and ormaments ranging from shoe, handbag, and hats on the basis of the patterns described here but also the diversity of expression. First, the Mongol pattern in Yu¨an period(AD 1271~1368) mainly used Kilsang pattern(Yoidoo, palkilsang pattern), Natural emblem pattern(Clouds pattern), Scohwa·Seocho pattern, Booguimande(peony flower), Yeonhwa·dangcho, Yeonbab, geometrical pattern(Hoemon, Sugumoon, guibaemoon). Especially, the Kilsang, the seosoo, and the seogeum pattern have showed more variety in Mongol under the Cheung's government(AD 1644-1911) rather than during the Yu¨an period. I can also realize that Mongolians has developed more patterns with the combination and the application than they did under the cheung and Yu¨an's governments. Second, I can find that YVES SANIT LAVRENT is made of the Paeksoodo((Dansooja), CHRISTIAN DIOR the Seowha, the seocho(Booguimandae) and the palkilsang(panjang), CHRISTLAY LACROLY the Yoidoo, the seowha and the Seocho, O·D·O. TAKA the pangseung and Youji YAMAMOTO, a japanese designer, has designed the clothing and the ornaments (hats) using the patterns which are expressed in the traditional women's custumes of Humni tribe in South-western Mongo. Third, as a result of this study, I had made the Seowha and the Seocho on the Yangsaemoo by the embroidery method in work Ⅰ, weaved with felt and silk thresd by applying the geometric lines and the Yoidoo in work Ⅱ, applied the palkilsang, the Itaegeuk, and the Yoidoo by hand painting in work Ⅲ, and embroided with gold thread on the Klarino by applying the paeksoodo(Jangsooja+ Dansooja) in Work Ⅳ. I tried to adjust Mongol original patterns to the sense of the today's modelig architecture. I got to conclusion that the most oriental and the most minor-racial can be the most international. I estimate that the creative effect of the modern modeling arts using the Mongol cultural patterns will be maximiz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목적 = 1 B. 연구내용과 방법 = 1 Ⅱ. 이론적 배경 = 3 A. 몽고복식의 형성배경과 특징 = 3 1. 역사적 배경 = 3 2. 종교적 배경 = 13 B. 몽고전통 길상문양과 실용장신구 = 17 1. 몽고전통 길상문양 = 17 2. 몽고 전통 실용 장신구 = 27 C. 장신구 배경에 관한 고찰 = 41 1. 장신구의 역사 = 41 2. 실용 액세서리 = 43 Ⅲ. 몽고전통복식을 응용한 현대복식과 장신구사례 = 52 Ⅳ. 작품제작 = 58 A. 제작의도 및 방법 = 58 B. 작품해설 = 62 Ⅴ. 결론 및 제언 = 103 참고문헌 = 105 ABSTRACT = 10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61127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c.subject몽고 전통복식-
dc.subject길상문양-
dc.subject실용 장신구-
dc.subjectMongolian-
dc.title몽고 전통복식의 길상문양을 응용한 실용 장신구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traditional Mongolian Costume Forms, Especially for their pattern-
dc.creator.othernameChung, Hye wook-
dc.format.pageix, 11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의상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94.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