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元文子-
dc.contributor.author安顯禎-
dc.creator安顯禎-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5Z-
dc.date.issued1993-
dc.identifier.otherOAK-00000001872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852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8721-
dc.description.abstractOf various fields of art, painting contains such esthetic form as to give visual depth and variance as a matter of course since its nature as visual art. As one of the expressional methods to express this esthetic form, perspective has been emphasized in painting. Perspective appeared as a product from the Renaissance art that directed scientific and objective thought upon the visual world. As a way to represent three-dimensional space on two-dimensional face, it may be said the most scientific method that brought forth innovation in space concept. The perspective as the root of desin method directing objectiveness, it has developed on the foundation of its pursuit of reality to regenerate the actual in art, and this objectiveness is coincident with the nature of photo. From when the function of depiction totally belonged to painting transferred to the photo technique appeared around 1840, the photo technique has become to have a close relation with painting. Escaped from the conventional view of painting, with its traits of reality and duplicability, it has dealt with a wide range of themes and extended revival expression. Within the various modern painting modes, photo, therefore, has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new space-time, maintaining a combined relation complementary to or permeating into painting. The study, to understand the visual effect and significance of perspective and photo in figuration revival systematically, first illuminated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 of perspective in the Eastern and Western, and the significance of perspective. Then, with focus on a pursuit of reappearance of the realistic technique by photo media that had a great influence on painting based on realistic spirit, the relation between painting and the photo that has developed as a stream of modern painting was dealt with. In order to pursue the figure reappearance to reflect the actual, in this context, the author carried out the work with interest on the phot-used characger liternal depiction and the picto-face composition to make the best use of the visual effect of perspective as the required reappearance methods. And, in the process of work analysis, the more substantial approach to human inner world was wished to reestablish firmly the author's view uponm human figuration, by analyzing and reviewing by what kind of purport and method charcter figuration was to be expressed.;藝術의 여러 분야 중 회화는 視覺藝術로서 시각적 깊이와 변화를 줄 수 있는 미적 형식을 담고 있기 마련이다. 繪畵에서는 이러한 미적 형식을 표현하기 위한 표현방식의 하나로서 遠近法이 강조되어 왔다. 원근법은 視覺世界에 대한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사고를 지향하는 르네상스예술의 산물로서 나타났으며 3차원 공간을 2차원의 화면 위에 재현하는 방식으로서 空間槪念의 혁신을 불러일으킨 가장 과학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데생 방법의 근간인 원근법은 客觀性을 지향하고 현실을 예술에 재생하려는 事實性(Reality) 추구에 바탕을 두고 발전해 왔으며 이와 같은 객관성은 사진의 본질과도 부합된다. 회화가 도맡아 왔던 묘사의 기능이 1840년을 전후해서 나타난 寫眞術에 이양되면서부터 사진술은 事實性과 複製능력의 특성을 가지고 회화와 밀접한 관계를 맺게 되었으며 회화에서 사물을 보는 人習的인 시각을 탈피하여 광범위한 주제를 다루고 재현적 표현을 확대시켜 주었다. 그리하여 현대의 다양한 회화양식 속에서 사진은 회화의 상호보완 내지 침투하는 복합적 관계를 유지하면서 새로운 時空間을 형성하는데 이바지하여 왔다. 본고는 형상재현에 있어 원근법과 사진의 시각적 효과와 의의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먼저 동·서양에 있어 원근법의 발달과 특징, 원근법의 의의를 조명해 보았다. 그리고 사실주의 정신에 바탕을 두고 회화에 큰 영향을 끼친 사진 매체를 통한 사실적 기법의 재현추구를 중심으로 현대회화의 한 흐름으로 발달하여 온 사진과 회화의 관계를 다루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인은 현실을 반영하기 위한 인물의 재현을 추구하기 위해 그 재현방식으로서 사진을 이용한 인물의 사실적 묘사, 원근법의 시각적 효과를 살릴 수 있는 화면구성에 관심을 갖고 작업에 임하였다. 作品分析에는 인물의 형상을 어떠한 의도와 방식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는가를 분석, 검토하여 봄으로써 보다 본질적인 人間內面世界에 접근하여 인간형상에 대한 본인의 시각을 재정립하고자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論文槪要 = ⅴ Ⅰ. 序論 = 1 1. 硏究目的 = 1 2. 硏究內容 = 1 3. 硏究方法 = 2 Ⅱ. 本論 = 3 1. 遠近法 = 3 A. 동·서양에 있어 遠近法의 발달과 특징 = 3 B. 遠近法의 背景과 意義 = 4 2. 形象再現에 있어서의 寫眞의 효과 = 7 A. 事實主義 양식으로서 寫眞의 意義와 特徵 = 7 B. 繪畵에 있어 寫眞의 응용과 도입 = 8 3. 作品製作에 있어 人間形象의 再現 = 10 A. 主題設定 = 10 B. 構圖 및 表現效果 = 12 Ⅲ. 作品分析 = 17 Ⅳ. 結論 = 31 參考文獻 ABSTRACT-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55564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원근법-
dc.subject사진-
dc.subject인물화-
dc.subject동양화-
dc.title遠近法과 寫眞에 근거한 人物畵의 表現 / 安顯-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xpression of the portrait Based on Perspective and Photo-
dc.creator.othernameAhn, Hyun Chung-
dc.format.pagevi, 3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동양화과-
dc.date.awarded199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