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朴元基-
dc.contributor.author具美貞-
dc.creator具美貞-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5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1871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851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8712-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오늘날 지구생태계의 위기상황을 직사하면서, 종전의 남성중심주의적 세계관에서 야기된 기술공학적 사유방식을 극복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인간중심주의를 넘어선 새로운 존재 방식을 탐구하는 생태학적 여성해방 윤리의 모색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전제아래, 논자는 먼저 작금의 생태계의 위기에 대해 개괄하고 그러한 위기를 초래한 원인들을 기독교의 인간중심주의적 세계관과 데카르트적 주-객도식, 가부장적 이원론 등에서 찾는다. 특히 류터(Rosemary R. Ruether)가 밝혀주는 바대로 가부장적 이원론은 하나님과 피조물 사이뿐만 아니라, 인간과 인간 사이, 그리고 인간과 자연사이의 관계를 이원화하여 위계체제적인 지배이데올로기로 전락하였음을 알게 된다. 다음으로 논자는 로이스데일리(Lois K. Daly)가 요약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생태학적 여성해방신학의 내용을 소개하고, 그녀가 제안한 슈바이쳐(Albert Schweitzer)의 "생명앞에서의 경외"사상을 살펴봄으로써 새로운 생태학적 여성해방윤리의 기초를 모색한다. 그러나 슈바이쳐 윤리가 비역사적인 개인에 치중하는 점을 보완하기 위해 논자는 생태학적 정의(Eco-justice)와 생태학적 돌봄(Eco-care)이 조화된 것으로서 생태학적 여성해방윤리의 도덕성을 제안한다. '돌봄'이라는 덕목은, 발달심리학에서 인간의 도덕성 발달의 최고 성숙도를 정의로 규정해 온 콜버그(L. Kohlberg)의 연구에 반(反)해, 캐롤 길리건(Carol Gilligan)이 여성의 경험에 근거하여 제안한 도덕성의 개념이다. 본 논문은 여성해방심리학에서 말하듯 도덕성이 성차(性差)에 기인하여 남성과 여성이 '본질적으로' 다르다는 논리보다는 오히려 하나님의 이미지안에 포괄되어 있는 양성(兩性)의 속성에 주목하여 정의와 돌봄이 두 기둥으로서 떠받치고 있는 생태학적 여성해방윤리의 가능성을 제안한다. 그리고나서 논자는 이상에서 고찰한 생태학적 여성해방윤리의 방법이 한국적인 상황에서는 어떻게 전개되어야 할 것인지를 다룬다. 먼저 '한살림'의 세계관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여성들이 지향해야할 살림의 문화를 시하고, 한국여성들의 잃어버린 해방의 기억을 더듬어 단군신화로부터 웅녀의 신화를 찾아낸다. 그리고 이 웅녀야말로 한국여성들이 공동체적 한 살림의 정신에 투신할 때 바람직한 생태학적 여성 해방적 원형이 됨을 밝힌다. 특히 한구교회여성들이 희년의 해를 맞아 분단의 상처를 치유하기 위해 애쓰고 투쟁하며 하나님이 지으신 모든 피조물의 고통에 응답하는 모습 속에서 웅녀의 상을 대비하게 된다. 끝으로 논자는 본 논문을 정리하면서 나름의 한계점과 앞으로의 과제들을 제시하고 글을 닫는다.;In the face of today's earth-ecological crisis, this thesis aims to grope for the eco-feminist theological ethics which reveals new life-style transcended humanocentrism by overcoming the technolological thinking method has been caused androcentric world view. Under the above assumption, first thing, I regard the ecological crisis at the present age as Christian androcentrism, Decartes's suject-object scheme, and the patriarchal dual ism. Especially, as Rosemary R. Ruether has assured, the patriarchal dualism has been depraved to hierarchical dominant idealogy for which dualizes the relations between men and women, human and nature, as well as God and creatures. Next, I examine the content of eco-feminist theological ethics summed up by Lois K. Daly. Through that, I grope for a basis of new eco-feminist theological ethics which is founded on Albert Schweitzer's theory of "Reverence for life". But because ethics of 'reverence for life' needs to be sufficed, I suggest eco-justice and eco-care hormonized with each other as the morality of eco-feminist theological ethics. The virtue of justice has been developed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and ethics as the canon of conduct, in contrast, as a framework for moral decision, care is recently apeared by feminist psychologist Carol Gillian who has studied about the decision-making strategies employed by the women, and the course of women's distinctive moral development. Here, this study puts forward for consideration the possibility of eco-feminist theological ethics supported by justice and care together, paying more attention to God's image included bisexual character rather than to Gilligan's affirmation of a gender-difference in moral thought. Then, I pursue how ecofeminist theological ethics investigated, up to now, should be understand under the Korean women's situations. In the first place, by analyzing the world view of "Han-sal- lim"(it means the communitarian housewifery in Korean language), I suggest the culture which is caused to live or recover from the fatal influence of our destructive culture, which Korean women will have to bear in mind and live with. In the second place, I discover an ancient myth of "Bear-lady'' who will become a desirable ecofeminist prototype when Korean women are going to engage in the movement of Han-sal-lim. This image of Bear-lady may be compared with Korean women who struggle for healing the hurts resulted from the structure of division in our country and responding to the sufferings of all creatures what God created. In conclusion, this study comes to an end with pointing out the limits of its own methodology and proposing some future task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Ⅱ. 생태계의 위기와 그 원인 = 8 1) 문제 상황 - "생태계의 위기" (Ecological crisis) = 8 2) 문제의 원인에 대한 세가지 접근방식 = 15 (1) 기독교의 인간중심주의적 세계관 = 15 (2) 데카르트적 주·객도식 = 30 (3) 가부장적 이원론 = 38 Ⅲ. 생태학적 여성해방 윤리의 틀 = 50 1) 생태학적 여성해방신학에 대한 이해 = 52 (1) 여성억압과 자연억압의 상관 관계 = 52 (2) 여성과 자연 억압의 뿌리 : 가부장적 이원론 = 60 (3) 생태학적 여성해방론의 과제 = 62 (4) 죌레·헤이워드·맥훼그의 생태학적 여성해방신학 = 63 2) A. Schweitzer의 "생명에의 경외"에 대한 고찰 = 77 (1) 슈바이쳐 사상의 철학적 기초 = 77 (2) 슈바이쳐 사상의 기독교적 영향 = 80 (3) 생명 앞에서의 경외 = 81 (4) 생명 외경의 윤리와 생태계 여성해방윤리 = 84 3) 생태학적 '정의'와 생태학적 '돌봄' = 93 (1) 정의 중심의 도덕 판단 (Justice Orientation) = 94 (2) 돌봄 중심의 도덕 판단 (Care Orientation) = 98 (3) 생태학적인 맥락에서의 정의와 돌봄 = 100 Ⅳ. 생태학적 여성해방윤리의 한국적 모형을 향하여 = 110 1) 생태학적 한살림 운동 = 112 (1) 한살림 운동의 이념적 배경 = 112 (2) 김지하의 "일하는 하나님"과 "밥상공동체" 사상 = 117 (3) "한살림모임"의 전개상황에 대한 분석 = 130 2) 웅녀 신학 = 136 (1) "웅녀신화"에 대한 생태학적 여성해방적 재해석 = 136 (2) 희년을 준비하는 웅녀상에 대한 몇가지 제언 = 143 Ⅴ. 결론 = 155 참고문헌 = 159 ABSTRACT = 1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55505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생태학-
dc.subject여성해방-
dc.subject윤리-
dc.subject기독교-
dc.subject.ddc200-
dc.title생태학적 여성해방 윤리의 모색-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earch for Eco-feminist Theological Ethics-
dc.creator.othernameKu, Mee Jeong-
dc.format.pagevi, 16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기독교학과-
dc.date.awarded199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