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7 Download: 0

한국 근대 무용비평에 관한 연구

Title
한국 근대 무용비평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Criticism on the Korean Modern Dance
Authors
임미영
Issue Date
1993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Keywords
한국근대무용비평1920년대신무용현대무용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말복
Abstract
본고에서는 한국 무용비평이 작품의 가치를 평가하는데 있어서 그 근거와 기준이 되는 요인은 무엇인가를 밝히고, 이를 시대적 상황과 연결하여 한국 무용비평의 시기별 특징과 기준을 밝히고자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우선 신무용의 출현으로부터 발생되어진 무용비평을 1920년대 부터 1970년대에 걸쳐서 무용예술의 전반적인 활동상황과 그 시대의 무용비평들을 총괄하여 시대별로 무용비평의 경향과 특징을 밝히고, 또한 그 당시 시대적 상황이라는 특수성과 관련하여 무용비평의 문제점들을 지적하였다. 한국 무용비평은 춤이 하나의 문화로서 인식되고 근대예술의 한 장르로서 자리잡은 1920년대에 이르러서야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무용비평은 한국사회의 여러 가지 특수한 상황 하에서 전문적인 비평의 방법론을 정립하지 못한 채 발전하여 왔다. 비평은 각 시대의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변모, 성장하므로 한편의 작품을 파악하는데 필요한 일정한 비평의 기준이나 방법은 있을 수 없다. 따라서 최근에 이르러서는 점차 다양하고 복잡해지는 무용경향에 따라 무용비평 역시 여러 가지 다양한 시각으로 무용을 해석하려는 시도가 있어왔다. 그러한 점에서 현대무용이 대두되기 시작한 1920년대부터 1980년대 이전까지의 한국 무용비평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일은 현재의 무용비평에 대한 개선책의 마련과 한국 무용의 현대적 의미를 새롭게 인식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그 목적을 한국 무용비평의 시대적 경향과 관점에 따라 제 1기(1926년-1945년), 제 2기(1946년-1960년대), 제 3기(1970년-1979년)로 나누고 시대별로 당시에 씌여진 시평과 공연평을 대상으로 하여, 각각의 시기에서 보여지는 비평의 시대적 경향과 관점을 규명하고자 하는데 두었다. 그 결과 한국의 무용비평 「제 1기」에서는 흥미위주의 취재기사나 프로그램을 소개하는 머릿말의 글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1920년대 후반부터는 문인들에 의하여 다소 비평의 성격이 가미된 계몽적인 글이 주류를 이루었다. 그리고 「제 2 기」에서는 한국 무용이 서구 무용의 형식적 요소를 가 무분별하게 도입하게 되면서 무용창작에서의 내용과 형식의 문제가 대두되고, 비평은 그 문제점을 지적하게 되었다. 다음으로 「제 3기」에는 1979년 <대한민국 무용제>의 개막으로 1980년대 이후에 활발해진 창작무용형태의 현대무용이 발전하는 계기를 이룬 시기로 볼 수 있다. 특히, 1970년대의 무용비평은 무용창작활동이 급격히 늘어남으로써 비평문화의 토양이 다져졌고, 창작에 있어서 전통과 현대에 관한 개념정립이 대두되었던 시기이다. 이렇듯 이와 같은 무용비평의 역사적 탐구는 오늘날의 무용과 무용비평에 대한 반성적 시각을 조명해 주며,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연구하는데 근거가 될 것이며, 양적인 발전에서 질적인 발전으로 변화될 무용사의 척도가 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and tendencies of Dance Criticism in the Korean dance by classifying its period into the first period(l920 to 19451), the second period(1946 -- 1969), and the third period(1970-1979). In addition, the kinds and backgrounds of criticism are analyzed from the analysis of dance criticism made by the then typical dance critics. The first period during which new dance was introduced to the modernized Korean dance society was almost led by literary men. Most of works in that period were on the basis of the nationalism which was one of the typical tendencies in the Korean literatures in the 1920's. The source of such a criticism is that then works should not be considered in themselves but they should be described in technical criticism in terms of their historical tendency and influence appeared in them, since they had been produced under the Japanese rules, the special variable in the Korea history. In the second period the Western-oriented and one-sided stylization of Korean dance was pointed out and dance works were reviewed from the viewpoint that a dance work should be in harmony with not only its own contents which was the source of its beauty but also its characteristic style. During this period the dance criticism by 1960 when the traditional Korean thoughts had begun to be reinforced gradually after the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rules also belongs to the technical criticism, and pointed out the Western-orinted stylization of Korean dance to assure that dance should be of artistic contents and styles. The third period had seen the brisk development of dance activities under the slogan of "the Modernization of Traditions", Seeingly, however, there appeared any principle by which the style and content of dance could be established aesthetically. As described so far, most criticism of Korean dancing has been restricted to the technical one which only describes a producer's intention or the historical and social backgrounds of a work. such a criticism can help you appreciate a work but is not thought to be fit for analyzing a suggestive expression andor a specific character which is immanent in a work. Dance shall be expressed in the correlated context of contents and styles of work through the medium of body movement. Thus, the movement of body may be a crucial source of criticism, in which aesthetic elements and expressed with unification in one structure. As Beardsley put it, a work will be favorably criticized, when the aesthetic elements are developed with unification, And, it can be recognized as better work, when the general characteristic of the work is to show intensity. The dance critics should analyze and make it clear which structure the aesthetic reasons in criticising a dance work has. Only such a criticism does can help audience appreciate dance works properly and also make a work of art really valuabl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