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5 Download: 0

청소년 문제예방을 위한 민속놀이 활용방안 연구

Title
청소년 문제예방을 위한 민속놀이 활용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Folk Game to Prevent Youth Problems
Authors
배진형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사업학과
Keywords
청소년민속놀이문제예방사회사업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문인숙
Abstract
As youth in one's life is the period undergoing rapid change in body, intellect, emotion, and the world at large, establishing sound self and growing up to be healthy adult, through proper adjustment to the changes and integrated task performance, are the keys to the success not only of the individual but of the country also. Nowadays various kinds of juvenile delinquency can be attributed to the inadequate expression of unfilled needs and unsatisfactory performance of tasks. Youth problems vary from such minor irregularities as running away from home, and maladjusting to the environment to major crimes such as drug abuse, violence, rape, and murder; to make matters worse, they are getting more serious. Therefore, it is undoubtedly necessary that we take proper measures to prevent these problems from taking place. In this context, there have been many preventive programs which were initiated by various social work agencies and related youth association ; however, examining the contents and characters of these programs, we can easily find that most of them are from foreign culture and that they are not suited for our emotion. Furthermore, considering the negative effects of the uncritical acceptance of the foreign culture into our leisure programs for the youth, we are strongly required to study on the proper ways to utilize Korean folk games which can be applied to the programs for preventing youth problems. This study is based on the viewpoint that various youth activities, by means of accomplishing the characteristic mission or tasks of youth, can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juvenile delinquency.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wo-fold: (ⅰ) to observe whether the chosen folk games are helpful in achieving the four specific tasks, which are applicable to the prevention of youth problems, such as aggression impulse handling; logical thinking development; role experience and rule observance; and interaction with peers and opposite sex and (ⅱ) to offer the practical application scheme of this study.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consists of three major tasks, which are as follows: First, analyze each folk game according to R. D. Vinter's "Activity Setting Dimension" which are categorized as prescriptiveness , controls, movement, competence, interactiveness, and rewards. Second, connect Vinter's six dimensions with four specific youth tasks, and examine the sufficiency and insufficiency regarding the performance. Third, present the practical application scheme for preventive programs. Followings a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 the analysis based on the characterristics of each folk game, (1) Kang-kang-sulae, Ttang-paeki, Yut-nori, Searum are high in prescriptiveness dimension. (2) Kang-kang-sulae, Jul-tariki, Namu-soe-saum, Searum are high in control dimension. (3) Kang-kang-sulae, Neol-tuiki, Jul-tariki, Namu-soe-saum, Searum are high in movement dimension. (4) There are no folk games among them which are high in competence dimension. (5) Neol-tuiki, Yeon-naliki, Yut-nori, Tang-paeki, Searum are high in inter-activeness dimension. (6) Kang-kang-sulae, Yut-nori, Jul-tariki , Namu-me-sem, Searum are high in rewards dimension. The practical application scheme for youth-specific tasks is as follows : (1) Searum can be usefully applied to handle the aggression impulse of the youth. (2) Tang-paeki, Yut-nori, Searum are helpful for the development of logical thinking. (3) Yur-nori is most useful for role experience and rule observance. (4) All the eight folk games aforementioned are helpful for the interaction with peers and opposite sex. As each game has its own characteristics, I strongly recommend that social workers or guides of teenagers use folk games as programs according to the situation. In addition, concerning the utilization of folk games,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we make efforts to use folk games more effectively and to apply them to wide variety of youth programs. Lastly, I'd like to paint out that there still remains much to be studied on this subject, and expect other researchers to better this work: the classification of existent folk games according to their types and objectives; the modification and the application of original folk games; feasibility study through pilot tests in some selected social work areas; and the development of our own frame or tool for program analysis; and so on.;한 인간의 일생에 있어 청소년기는 신체, 인지, 정서, 사회적 전반에 걸쳐 가장 급격한 변화를 경험하게 되는 시기이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적응과 종합적 과업 수행을 통해 전전한 자아를 성립하고 건강한 성인으로 성장하는 일은 개개인뿐만 아니라 국가적인 발전의 측면에서도 중요한 관건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오늘날 청소년기의 충족되지 못한 욕구가 부적절하게 표출되고, 이루어야 할 과업 수행이 제대로 되지 않음으로 인하여 여러 가지 청소년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청소년 문제는 단순한 가출, 도벽, 부적응의 가벼운 비행 성향에서부터 약물남용, 폭력, 강간, 살인과 같은 범죄로까지 이르렀고, 날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는 실정이며 고로 문제가 발생하기 전 사전 대비를 위한 예방활동의 필요성은 새삼 강조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측면에서, 현재 여러 사회사업 기관뿐 아니라 청소년 관련 단체들은 다양한 예방적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지만, 그 내용과 성격을 살펴보았을 때, 우리 민족의 정서에 맞는 고유하고 독창적인 것이 아닌 서구에서 유래한 것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청소년 여가활동에서 서구문화의 무분별한 수용이 가져오는 부작용을 고려할 때, 다양한 전통문화 활동 중 쉽게 접할 수 있는 민속놀이를 청소년 문제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활용해 보고자 하는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기 특성에서 오는 과업 달성에 적합한 활동이 청소년 문제 예방에 기여할 것이라는 관점에서, 청소년 대상의 예방적 프로그램으로 민속놀이를 활용하기 위해 집단으로 실시할 수 있는 놀이 8가지(강강술래, 널뛰기, 땅재먹기, 연날리기, 윷놀이, 줄다리기, 나무쇠싸움, 씨름)를 선정, 각 놀이를 특성 및 청소년의 문제 예방과 관련된 4가지 특성적 과업(공격성의 처리, 논리적 사고력 신장, 역할 경험과 규칙 준수, 동료집단 및 이성과의 상호작용)의 달성에 기여하는지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그 활용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은 3가지 연구 과제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1. Vinter의 Activity Setting Dimensions에 맞추어 각 민속놀이를 규칙성, 제재성, 운동성, 능력성, 상호작용성, 보상성의 차원에서 분석을 통하여 청소년기 특성적 과업과의 연결을 도모한다. 2. 청소년기 특성적 과업에 Vinter의 각 차원을 연결하여 각 민속놀이가 과업달성을 위하여 가지는 충분, 부족점을 규명한다. 3. 특성적 과업수행에 부응하는 민속놀이를 자료로 청소년 예방 프로그램으로서의 민속놀이 활용방안을 제시한다. 그리하여 본 연구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장에서 목적달성에 부합하는 적절한 프로그램의 과학적인 선정을 위한 지침이 되고, 여기에서 고찰된 민속놀이의 충분, 부족점을 기반으로 보다 나은 프로그램으로서의 수정, 응용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하는 사회사업적 의미를 지닌다. 연구를 통한 결과를 보면, 첫째, 각 민속놀이 특성 분석에서, 1. 규칙성이 높은 놀이는 강강술래, 땅재먹기, 윷놀이, 씨름이고, 2. 제재성이 높은 놀이는 강강술래, 줄다리기, 나무쇠싸움, 씨름이고, 3. 운동성이 높은 놀이는 강강술래, 널뛰기, 줄다리기, 나무쇠싸움, 씨름이며, 4. 능력성이 높은 놀이는 본 분석 중에 없었고, 5. 상호작용성이 높은 놀이는 널뛰기, 연날리기, 윷놀이, 땅재먹기, 씨름이고, 6. 보상성이 높은 늘이는 강강술래, 윷놀이, 줄다리기. 나무쇠싸움, 씨름으로 나타났다. 둘째, 위의 분석 결과를 청소년기 특성적 과업과 연결한 활용방안으로는, 1. 공격성의 처리에 가장 유용한 놀이는 씨름이고, 2. 논리적 사고력 신장에 도움이 되는 놀이는 땅재먹기, 윷놀이, 씨름이고, 3. 역할 경험과 규칙 준수에 가장 유용한 놀이는 윷놀이이고, 4. 동료집단, 이성과의 상호작용에 도움이 되는 놀이는 8가지 놀이 모두 였다. 이상의 고찰을 토대로 한 민속 놀이적 특성 분석을 기초로, 각 놀이가 가진 충분·부족점을 가지고 청소년 예방 프로그램을 선정할 때, 목적과 대상 특성에 따라 그 장단점을 강화, 보관하여야 한다고 결론지었다. 또한, 본 연구자는 민속놀이 활용방안을 위하여 민속놀이의 효과적인 프로그램화를 위한 노력, 청소년을 비롯한 모든 대상층에의 확대된 적용을 제언하였고, 후속 연구를 위하여서는 본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청소년기 다양한 과업과 연결을 통한 민속놀이 분석, 기존 민속놀이의 유형별·대상별 정리작업, 민속놀이 원형의 수정 응용방안, 실제 장애서의 활용을 통한 효과성 검증, 프로그램 활용성 분석에 적합한 우리 나름대로의 틀 개발에 대한 제언을 하여. 청소년을 위한 바람직한 프로그램 선정과 민속놀이의 적절한 활용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