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현자-
dc.contributor.author文賢珠-
dc.creator文賢珠-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1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47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847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471-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에서는 전통적 서정시인으로 평가되고 있는 박용래의 시에 나타나는 언술구조와 상상력구조을 중심으로 시인 의식을 규명하고자 한다. Ⅱ장에서는 형식적인 접근을 통해 통사적 대응이 나타나는 병렬구조를 살펴 보았다. 동일시행(Ⅱ-A)이 나타나는 시에서는 句의 반복으로 유사한 동사구조가 나타나며, 같은 문장성분 내의 음절 수 변화가 유도하는 일탈적 리듬이 형성된다. 박용래는 이러한 형식 안에서 개체척 특성들을 소멸시키고, 시적 대상을 하나의 시적 지향 속에서 통합함으로써, 구별보다는 일치를 추구하는 의식을 반영한다. 이러한 의식은 한 표현 안에 초시간적 부정시제를 제시하는 정서형어미의 쓰임에서도 찾아 볼 수 있다. 그리고 분절형태(Ⅱ-B)에서는 행간걸침과 명사형 종결을 통해 시적대상의 고유속성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거나 각 이미지들이 일정한 한 양상을 묘사함으로써, 시적대상으로의 집중을 유도한다. Ⅲ장에서는 형식적인 측면에서 보인 의식을 포괄하며, 이미지의 분석을 통해 시인의 대상에 대한 선호도나 개념의 수용양상 등 전반적인 의식에 접근하였다. 축소 이미지(Ⅲ-A)는 시선의 응집을 유도하는 점에서 분절 형태(Ⅲ-B)에서 본 시적대상으로의 집중과 유사성을 지닌다. 박용래는 '골목 안 참새', '울안', '콩알', '弦'을 중심으로 작은 사물의 생동감을 극대화하며, 변두리 공간으로 시선을 응집한다. 또한 가벼운 '풀꽃', '반딧불', '이슬', '개밥별'을 매개로 상승의지를 제시하여, 현상적인 부피와 질량의 거세를 통한 욕심의 제거와 그로 인한 자유로움을 나타낸다. 이를 바탕으로 박용래는 소박하고 소시민적인 성향을 담아내며, 소외된 작은 사물의 생동감을 본원적인 생명력으로 인식함을 보여준다. 그리고 유동적 이미지(Ⅲ-B)는 축소이미지의 상승과 자유로움이 가져오는 시야의 확대를 바탕으로 하며, 복합된 개념을 한가지로 표현하는 점에서 동일시행(Ⅱ-A)에서 나타난 시적 대상의 일치와 연관된다. 박용래는 '未明'으로 과거와 현재적 삶을 형상화하며, '殘光'을 통해 반대 개념을 동시에 제시한다. 이러한 의식은 확산과 소멸의 이미지로도 나타나 '번지는 물기'를 통해 삶과 죽음의 존재론적 차원으로 관심을 확대하게 된다. 이렇듯 유동적 이미지는 미세한 자연적 흐름을 인식하는 시인의 섬세한 시각과 양가성을 수용하는 의식을 반영한다. 이와 같이 병렬구조의 다양한 양상은 의미적 틀을 제시하고, 의식을 구제적으로 드러내는 이미지 안에 용해되어 나타난다. 박용래는 축소 이미지, 유동적 이미지를 통해 작은 것이 주는 생명력과 양가성의 조화를 보여줌으로써, 소박하고 섬세한 성향과 반대적인 것을 동시에 수용하는 의식을 나타내고, 이를 기반으로 화해로운 세계를 지향하는 것이다.;This thesis was written for the purpose of looking into the conscious world of Park Yongrae, with the statement and imagination structure shown in his poetry. In chapter Ⅱ of this study, the uses of paratatical structure was examined by an approach on the forms of poetry. In the part Ⅱ-A, it was found that they were generally based on the lexical and syntactic repetition. Park Yongrae destroyed the individual charaters with the rhythm that has a deviating factor and similar syntactic structure, and reflected the consciousness of pursuing accordance rather than distinction by unifying the poetic objects into one intention. This consicousness were revealed by presenting the trans-timing infinitive tense with declarative ending of the word in one expression. The part Ⅱ-B inspected on the various segmental forms. Park Yongrae tried to concentrate on the poetic objects in various ways, He exposed their original attributes effectively by using the method of extension over lines and ending with the noun. He aiso gave some aspects that the images shown in each line or stanza had the commonness. On the basis of formal approach, this study made an attempt to the whole consciousness of the poet for example, an aspect of receiving the concept or his preference for the objects by the analysis on the images, incluing the consciousness shown in chapter Ⅱ. The tiny image ill the part Ⅲ-A created the concentration towards poetic objects in point of inducing the coherence of views. The poet made the vigor of tiny things the greatest giving attention to the marginal space. Tiny things like 'the sparrow in the side street', 'inside of the fence', 'a grain of bean', 'a half moon' belong to this case. Park Yongrae also revealed longing for the rising lightness and fredom through 'grass-flower', 'the glow of a firefly', 'dew', and 'morning star'. The poet recognized the vividness of the tiny things as the original power of life. In this way, he presented the delicate sensibility, only possible in the state of no-greed, and the simple, Petit bourgeois consciousness. In the part Ⅲ-B, the floating image was based on the enlargement of view through the tiny image. And it also related ta the accordance of the poetic objects shown in the same verse line. The floating light and darkness of 'feeble sunbeam', 'feeble darkness', and 'early dawn' shaped the past and present life. 'A glow in the sky' showed the opposite concept ambiquity (=the middle-of-the-road), otherwise. This consciousness, by also showing up the image of expansion and disappearance, led us into the ontological dimension of the life and death through 'spreading' and 'moisture'. These floating images came up to the surface the consciousness of accepting the subtle sight which perceive the minute natural phenomenon, and ambiquity. Like this, various aspects of the paratatical structure suggested meaning frame, which is shown melting in the image revealing consciousness concretely. In summary, Park Yongrae searched for the reconciling world by showing the harmony of the power of life given from tiny things and ambiquity through the tiny image including lightness and the floating imag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ⅰ Ⅰ. 서론 = 1 A. 연구사 및 문제제기 = 1 B. 연구방법 = 6 Ⅱ. 외적 형식과 병렬구조 = 9 A. 동일 시행과 시적대상의 일치 = 11 1. 句의 반복과 일탈의 리듬 = 11 2. 평서형어미와 부정시제 = 25 B. 분절 형태와 시적 대상으로의 집중 = 34 1. 행간걸침과 시각적 형상미 = 34 2. 명사형 종결과 병치은유 = 43 Ⅲ. 내적 형식과 이미지의 구조 = 53 A. 축소 이미지와 본원적 생명력 = 54 1. 변두리 공간으로의 응집 ; '골목 안 참새', '울안', '콩알', '弦' = 54 2. 가벼움과 상승의지 ; '풀꽃', '반딧불', '이슬', '개밥별' = 64 B. 유동적 이미지와 양가성의 미학 = 73 1. '末明', '殘光'의 교차성 = 73 2. '풀리고', '번지는 물기'의 이중성 = 82 Ⅳ. 결론 = 90 참고문헌 = 93 ABSTRACT = 9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22672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박용래-
dc.subject-
dc.subjectPark Yongrae-
dc.subjectPoetry-
dc.subject.ddc800-
dc.title朴龍來 詩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Park Yongrae's Poetry-
dc.creator.othernameMoon, Hyunjoo-
dc.format.pageii, 9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199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