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2 Download: 0

한국 의료전달체계의 형평성 분석에 관한 연구

Title
한국 의료전달체계의 형평성 분석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n) analysis on the equity of Korean medical delivery system
Authors
최혜지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사업학과
Keywords
의료전달체계형평성의료보험의료보호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옥경
Abstract
The physical and mental health is such an essential factor in human life that it is recognized as the fourth fundamental right along with eating, clothing and residential rights. While, to make the right to be healthy guaranteed, the use of medical service should be prerequisite, the increasing medical fe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cal services has resulted in leaving the class who can afford less medical services, away from the opportunity to use them. It is the Medical Security System that is institutionaliz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nd ensure the use of medical services at the social level. Korea also implemented national medical services for the whole people in 1989 and the all Koreans became to be able to get secured medical service socially. However, the laissez-faire of medical supply system in Korea has caused a maldistribution of medical resources in certain regions which has provoked a new problem of non-equity in accessing the medical services. To solve this problem, a medical delivery system, which aims at the balanced development among the medical organizations and at the assured equity in the use of medical services, has been systemized and implemented in 1989. This system is represented in its contents as the setting up of the medical treatment area, and the execution of the medical treatment system and patient evacuation system, and it is to provide all the Koreans with equal medical services, maintaining the equal approach to the medical services. Nevertheless, the evaluation of this system which has been executed for 4 years by this year has not been well carried out, and especially the evaluation of the equity in the use of medical services which is the main purpose of this system is being performed only partially. This research aims at, first, analyzing the equity in the access to medical resources and in the use of medical services by regions in the present medical service delivery system, and second, analyzing the equity in accessing the medical resources and in using the medical services in the medical protection delivery system, comparing with medical service delivery system. This research analyzed the equity shown in the medical treatment area of medical delivery system and in the patient evacuation requesting system, both in the terms of accessing the medical resources and that of using the medical services. To analyzed the equity in the medical service delivery system by regions in particular, it first analyzed those equity aspects of medical service delivery system by the medical treatment area as of 1991, second by chronological order based on the time of 1987 and 1991 and third by relations with regional characteristics. Those statistics from the Ministry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the Statistics Administration, the Economic Planning Board and each Provinces were used as the data for this analysis. For the chronological analysis, data as of the end of December, 1987 and the end of December, 1991 was applied. The major results analyzed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equity in the medical service delivery system by regions are summed up into 6 aspects. 1. As to the reality of equity in the access to the medical delivery system by the medical treatment regions as of 1991, there was a big difference in the distribution of the medical resources between the regions of larger cities including Kyunggi-Inchon region, Kyungnam and Kyungbuk Province regions, and those of smaller cities including Kangwon, Chungbuk and Chungnam Province regions, which represented the non-equity. In particular, most of the medical resources was widely distributed in the Kyunggi-Inchon region, but the Chonnam Province showed itself as the most weak region in most of the medical resources. The unequaled distribution of the medical resources affected the patient evacuation requesting system in such a way that, while the patient requesting rate from the regions with relatively higher degree of distribution of the medical resources to other regions is low, that from the regions with a lower degree is very high, which means that people living in the poorly treated regions must pay higher indirect expenses to get the same-quality medical services. 2. As for the changing direction of the equity in accessing the medical resources after its systemized implementation, the equity of distribution of most of the medical resources and that of patient request have shown as being improved. The inequity due to the maldistribution of the medical resources is on an improving trend with relatively higher increase of the medical resources focused on the weak regions including Kangwon, Chonnam, Chungbuk Province regions, but the extent is so limited that unequal states still remain as of in 1991. 3. In relation between the equity in accessing the medical resources and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higher economic strength and urbanization the region has, the higher the distribution rate of medical resource is, and the lower the region has, the lower the distribution rate is. This confirms the close relativity between the distribution of the medical resources and the economic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s.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equity in the medical protection delivery system compared with the medical insurance are as follows; 1. For the medical protection, unlike the medical insurance, the available medical services are limited, and only 72.9% of the total medical organizations are designated as the medical care handling institutions of medical protection as of the end of 1991. This is an increased figure compared with 58% in 1987, but dual application itself of the medical resources available by those who should be protected in medical treatment, with the medical insurance, has been pointed out as unequal. 2. The equity in using the medical services of medical protection was relatively low compared with that of the medical insurance. The medical protection had higher request of medical treatment due to the properties of the target people, but the actual request of medical treatment was lower than that in medical insurance, representing that the equity in using the medical services was relatively low. 4. The reality of the equity in using the medical services by regions as of 1991 showed itself as higher in Kyunggi-Inchon region, Kyungnam and Kangwon Province regions, and as lower in Chonnam, Chungbuk and Chungnam Province regions. 5. While the equity in using the medical services is being improved with the relatively higher increase of the use of the medical services around the regions with higher request for the medical services including Chonnam and Chungbuk Province regions after the system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medical delivery system, the improvement extent showed rather small since the use of the medical services in other regions has also been increasing. 6. The equity in using the medical services showed its static relativity with the economic power and urbanization. To sum up this research, the equity in the medical delivery system was shown as higher in Kyunggi-Inchon region, Kyungnam and Kyungbuk Province regions which have a higher rate in economic power and urbanization, and as lower in Kangwon, Chonnam and Chungnam Province regions which have a lower rate in the same section. The overall equity has. been improved after the execution of the medical delivery system, but the extent has been so weak that unequal circumstances still remain. Especially, the medical protection has shown rather lower, in both its equity in access to medical resources and that in using the medical services, than the medical insurance. To improve this problem, efforts in the medical policy by the health care authority to implement successfully the medical delivery system are necessary to be made, and the social welfare consultant will be able to play his(her) professional role as a researcher, analyst, planner and representative.;신체적 정신적 건강은 인간생활에 필수적인 요건이기 때문에 의,식,주와 함께 제4의 기본권으로 인정되고 있다. 건강권이 보장되기 위해서는 의료서비스의 이용이 전제되어야 하지만 의료서비스의 제반 특성으로 인한 의료비의 증가는 의료서비스 구매력이 취약한 계층을 의료서비스 이용의 기회에서 소외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 의료서비스의 이용을 사회적인 차원에서 보장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제도화된 것이 의료보장제도이다. 우리나라도 1989년 전국민 의료보험의 실시로 모든 국민이 의료서비스의 이용을 사회적으로 보장받게 되었다. 그러나, 우리나라 의료공급체계의 자유방임적인 특성으로 인한 의료원의 일부 지역 편재현상은 의료서비스 접근에 대한 비형평성이라는 새로운 문제를 부각시켰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의료기관간의 기능분담과 의료서비스 이용의 형평성 보장을 목적으로 하는 의료전달체계를 1989년부터 체계화하여 실시하게 되었다. 의료전달체계는 내용상 진료권의 설정과, 진료체계 및 환자후송의뢰체계의 실시로 대표되며 모든 국민에게 동등한 의료서비스 접근도를 유지하면서 동등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올해로 실시 4년째를 맞이하고 있는 본 제도에 대한 평가가 미약하였으며 특히, 본 제도의 실시 목적인 의료서비스 이용의 형평성에 관한 평가는 아주 부분적으로만 시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첫째, 의료전달체계의 지역별 의료자원 접근의 형평성과 의료서비스 이용의 형평성을 분석하고 둘째, 의료보호 전달체계의 의료자원 접근의 형평성과 의료서비스 이용의 형평성을 의료보험과 비교·분석하고자 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의료전달체계의 진료권과 환자후송의뢰체계 상에 나타나는 형평성을 의료자원 접근의 측면과 의료서비스 이용의 측면으로 분리하여 분석하였으며 특히 의료전달체계 형평성의 지역별 분석을 위하여 첫째, 1991년 현재의 진료대권별 의료전달체계의 형평성을 분석하였고 둘째, 1987년과 1991년의 두 시점을 기준으로 시계열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세째, 지역의 사회적 경제적 특성과 관련시켜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한 자료로 보건사회부, 통계청, 경제기획원과 각 도청의 통계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시계열 분석을 위하여 1987년 12월 말 과 1991년 12월 말 현재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의료전달체계 형평성의 지역별 분석결과는 6가지로 요약된다. 1. 1991년 현재 의료자원 접근 형평성의 진료권별 실태는, 경인대권, 경남대권, 경북대권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한 대권과 강원대권, 충북대권, 충남대권 등 중소도시를 중심으로 한 대권간의 의료자원의 분포도에 큰 차이가 있어 비형평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부분의 의료자원 분포도가 경인대권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반면에, 전남대권은 대부분의 의료자원이 가장 취약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의료자원의 비형평한 분배는 환자후송의뢰체계에도 영향을 미쳐 의료자원 분포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진료대권에서 타 진료대권으로의 환자의뢰율은 낮은 반면, 의료 자원 분포도가 취약한 진료대권의 환자의뢰율은 높게 나타나, 취약진료대권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동일한 의료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더 높은 간접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비형평성을 보였다. 2. 의료전달체계의 체계적인 실시 이후 의료자원 접근 형평성의 변화방향은 대부분의 의료자원 분포도나, 환자의뢰상의 형평성이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원대권, 전남대권, 충북대권 등 의료자원이 취약한 진료대권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의료자원 증가가 이루어지고 있어, 의료자원의 편재로 인한 형평성은 개선되는 추세이나 그 정도가 미약하여 91년 현재에도 비형평한 여건들이 여전히 남아 있다. 3. 의료자원 접근의 형평성과 지역특성과의 관계에서, 경제력이 높고 도시화율이 높은 진료대권일 수록 의료자원의 분포도가 높고, 경제력과 도시화율이 낮은 진료대권일 수록 의료자원의 분포도가 낮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의료자윈분포도와 지역의 경제적, 사회적 특성간의 밀접한 관련성을 확인할 수 있다. 4, 1991년 현재 의료서비스 이용 형평성의 지역별 실태는, 경인대권, 경남대권, 강원대권 등이 높고 전남대권, 충북대권, 충남대권 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5. 의료전달체계의 체계적인 실시 이후 전남대권, 충북대권 등 의료요구도가 높은 진료대권을 중심으로 의료서비스 이용률 증가가 상대적으로 크게 이루어지고 있어 의료서바스 이용의 형평성이 개선되고는 있으나, 기타 대권의 의료서비스 이용률도 함께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개선의 정도가 미약했다. 6. 의료서비스 이용의 형평성은 경제력 및 도시화율과 정적인 관련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의료보호전달체계의 의료자원 접근의 형평성과 의료서비스 이용의 형평성을 의료보험과 비교·분석한 결과는 2가지로 요약된다. 1. 의료보호의 경우 의료보험과 달리, 이용할 수 있는 의료자원이 한정되어 있으며, 91년 12월 말 현재, 전체 의료기관의 72.9% 만이 의료보호 요양취급기관으로 지정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87년 58%와 비교해 증가한 수치이기는 하지만 의료보호대상자가 이용할 수 있는 의료자원을 의료보험과 이원화하여 적용하는 것 자체가 비형평한 것으로 지적되었다. 2. 의료보호의 의료서비스 이용의 형평성은 의료보험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낮았다. 의료보호는 대상자의 특성상 의료요구도가 높으나 실제적인 의료이용도는 의료보험 보다 낮게 나타나고 있어 의료서비스 이용의 형평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요약하면, 의료전달체계의 형평성은 경인대권, 경남대권, 경북대권 등 경제력과 도시화율이 높은 대권에서 높게 나타나며 강원대권, 전남대권, 충남대권 등 경제력과 도시화율이 낮은 대권에서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전달체계 실시 이후 전반적인 형평성이 개선되고 있기는 하나 개선의 정도가 미약하여 비형평한 여건들이 여전히 남아 있는 것으로 보였다. 특히 의료보호는 의료자원 접근의 형평성과 의료서비스 이용의 형평성 모두 의료보험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의 개선을 위하여, 의료전달체계의 성공적인 시행을 위한 보건 당국의 정책적 노력이 요구되며, 사회복지사는 조사자, 분석자, 계획자 및 대변자로서의 전문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