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재경-
dc.contributor.author강정희-
dc.creator강정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0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77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846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775-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examine leisure experiences of middle class housewives, and to investigate how housewives' leisure activity can change the patriarchal culture. In doing so,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raised: First., do housewives recognize their leisure rights? Second. how is the leisure environment for housewives and how does it influence on their leisure rights and experiences? Third, what are the contents of leisure activities and how do these activities effect women's life? 17 middle-class housewives who are 35-42 years old and high school or college graduates were selected for case studies. In-depth interviews and case studies are adopted as the method of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May to October, 1994. Main discussion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atriarchal Korean society, women's leisure rights are not guranteed. Middle-class housewives do not exercise their leisure rights because of the lack of economic ability and the domestic role. Therefore, housewives' leisure activities cannot be look upon as the character of voluntary choice and positive participation. Second, most housewives can not have freedom for pursuing leisure activities, and thus their activity do not contribute to actualization of housewives' independence. Third, constrainted leisure activity strengthen their housewives's feminity and gender divison of labor. Fourth, in spite of housewives' leisure constraint, we could find possibility of change for the patriarchal culture. That is, housewives have strong motive to establish their independent domain by participating in social activities other than domestic roles. In doing leisure activities, they are aware of their social and political ability, and have experienced changes in the family life. It has been argued that women's participation for economy can be preconditions for the women's liberation. However, the half of Korean housewives is full-time housewives and they have been excluded from such social areas as economy and politics systemically. Previous studies have mainly focused on gender inequality in public aspheres and ignored women's experiences in domestic areas. This study have shown women's domestic experiences employing leisure activities. and evokes academic interests about housewives' leisure.;본 연구는 중산층의 전업주부들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여가경험을 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여가경험을 통해 그들이 개인적으로 겪는 자아정체성의 불안, 우울증과 같은 문제가 해결될 가능성이 있는지, 나아가서는 가부장적 사회문화의 변화를 위해서 주부들의 여가가 어떠한 잠재성을 가질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내용은 첫째, 주부들의 여가권리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둘째, 주부를 둘러싼 여가조건은 어떠하며, 이것이 주부의 여가권리와 여가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며, 셋째로는 주부들이 다양하게 참여하는 여가활동의 내용과 여가활동이 주부의 삶에 어떤 방향으로 작용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30대 후반에서 40대초반까지의 고졸이상 중산층 전업주부들로서 가정밖의 다양한 여가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사례들이 중심이 된다. 연구방법은 주부들의 여가권리에 대한 의식, 여가활동을 통해서 느끼게 되는 감정, 마음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이에 적절한 심층면접법을 사용하여 구체적인 여가경험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면접은 1994년 5월부터 10월까지 실시되었으며, 수집된 사례 수는 총 17사례이다. 이 연구를 통해 밝혀진 내용은 다음과 같다. 주부의 여가권리는 가사노동이 노동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사회적 풍토 속에서 보장받지 못하고 있으며, 주부들 스스로도 경제적 능력이 없다는 점, 현모양처 이데올로기에 의해서 자신의 여가권리를 주장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제약 속에 놓인 주부의 여가활동은 자발적 선택과 적극적인 참여의 과정이라고 볼 수 없다. 또한 '자유와 선택권'이 제대로 추구되지 않음으로 해서, 조작되어진 여가활동은 주부의 주체적인 삶의 실현에 기여하지 못한다. 그러나 주부의 여가가 제약받음에도 불구하고, 남편이나 자녀와 동일시하지 않는 독립적인 성취영역을 확보하고자 하는 강한 동기속에서 의식화작업과 더불어 병행된 여가활동은 주부들의 삶에 긍정적 변화를 가져다주게 되는데, 여기서 가부장적 문화의 변화가능성이 보인다. 사회적 노동에의 참여가 여성해방의 전제가 되기는 하지만, 현실적으로 전업주부의 존재는 기혼여성의 반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이들의 사회적 노동에의 참여는 아직 요원하다고 할 수 있다. 그동안 여성학내에서는 사회적 노동에서의 성차별적인 구조에 대한 논의는 꾸준히 진행되고 있지만, 전업주부에 대한 문제는 간과되고 있는 측면이 있는데 본 연구는 여가영역을 통해 전업주부의 삶을 살펴봄으로써, 전업주부와 이들이 가진 문제를 해결할 가능성으로서의 여가에 대한 학문적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계기가 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1 B.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 5 Ⅱ. 이론적 배경 = 10 A. 여성 여가연구의 관점 = 10 B. 여가개념의 이해 = 13 C. 기존 논의 검토 = 15 Ⅲ. 사례 분석 = 22 A. 주부여가활동의 종류 및 성격 = 22 1. 가정내 여가활동 = 22 가. 가정내 '여가'의 정의 = 22 나. 가정내 여가활동의 특성 = 23 2. 가정밖 여가활동 = 26 가. 분류 = 26 나. 참여형태 및 빈도 = 28 B. 가정밖 여가활동과 주부의 삶 = 30 1. 여가활동참여의 배경과 여가권리의식 = 30 가. 내적 동기 = 31 나. 외적 상황 = 36 2. 가정밖 여가활동의 경험 = 41 가. 취미·오락 활동 = 41 나. 강습형 = 56 다. 사회활동 = 58 C. 주부여가의 제약요인 = 74 1. 가사노동의 성격과 사회적 인식 = 75 2. 정형화된 주부역활 = 77 3. 경제적 요인 = 87 4. 주부여가에 대한 남편의 태도 = 89 Ⅳ. 결론 = 92 참고문헌 = 98 ABSTRACT = 10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89739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중산층-
dc.subject주부-
dc.subject여가-
dc.subject사회활동-
dc.subject.ddc300-
dc.title중산층 주부의 여가에 대한 사례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Case Study on the Leisure of Middle Class Housewives-
dc.creator.othernameKang, Jeong Hee-
dc.format.pagevi, 10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여성학과-
dc.date.awarded199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