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8 Download: 0

사교육 산업의 고용구조에 대한 연구

Title
사교육 산업의 고용구조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CASE STUDY OF THE EMPLOYMENT STRUCTURE IN THE PRIVATE EDUCATIONAL INDUSTRY IN KOREA WITH A SPECIAL REFERENCE TO WOMEN'S EMPLOYMENT STATUS
Authors
김은령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Keywords
사교육 산업고용구조학습지 산업방문지도교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형
Abstract
The increasing underemployment caused by the recent trends of industrial restructuring and management strategies of rationalization/flexibility aggravates the unstability of women's employment in Korea, This study is particulary concerned with the consequences of the unfavorable conditions of employment of female college graduates in the labor market, which is partly due to the structure of the segregated labor market which reveals sex-segregation more characteristically than education/skill -segregation. One of the consequences is an increasing aborption of college graduates, especially women, into the various informal sector jobs.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process of employment of women college graduates as home-visiting tutors in the private educational industry and their working conditions, by way of which to consider the status of women in the labor market and the social meaning of that particular occupation. For this study, three most typical private companies that employ a large number of women as home-visiting tutors and maintain local agencies were selected, The main job of the tutors is to visit the homes of the member children regularly to deliver drilling papers and to give brief lessons on the papers and to report to the company via agencies. The tutor's work hours are not fixed, but daily workload depends on the number of the members, which determines the level of their incom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15 women tutors an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of another 40. Along these data, the internal records of the companies as well as the relevant official statistical data were analysed. The major finding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Employment of the women as home-visiting tutors is almost always linked to the prior experience of some form of sexual discrimination in regular employment and to their current role as housewives. The informal sector employment of female college graduates is clearly related to the sexual division of labor in the family and in the labor market. The tutorial job is inherently unstable and is outside the promotion track. Furthermore, the local agency system that serves the mother company in reducing the costs of management also plays the role of containing labor protest through individualization and partition of the workers, The home-visiting tutorial job conceals and obscures the sexual discrimination and sexual division of labor in the larger labor market and yet is preferred as an attractive and flexible job by those women who find it difficult to get a more decent and regular job,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in its close examination of an informal sector employment that is both attracting and exploiting highly educated women. It w a s made clear that the booming private educatioal industry takes advantage of the sex-discriminating labor market, heavily relying on the large pool of unemployed women college graduates, and of the local agency system which serves as the mechanism of protecting the mother company from financial crisis of labor control.;최근의 산업구조 조정과 기업의 경영 합리화 전략, 유연화 전략의 도입으로 인한 불안정 고용 노동자의 증가 추세는 고학력 여성에 대한 노동시장의 폐쇄성과 맞물려 고학력 여성의 고용불안정을 눈에 띠게 증가시키고 있다. 이는 한국사회의 노동시장이 서구와는 달리 기본적으로 학력보다는 성별로 분절화되어 있는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최근의 고학력 여성의 중요 노동 중의 하나로 나타나고 있는 학습지 산업의 방문지도교사를 대상으로 이들이 어떠한 편입과정을 거쳤는가와 실제 방문지도 교사의 노동의 실태는 어떠한가를 통해 노동시장에서의 고학력 여성의 위치와 방문지도 교사 노동의 사회적 의미를 보여주고자 했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학습지 산업 중에서도 사업부제 방문지도교사제가 시행되고 있는 대표적인 3개 회사의 방문지도교사들을 심층면접하였으며 보조연구로 간단한 설문 조사와 사내 자료등에 대한 문헌조사 방법을 병행하여 분석의 기초자료로 이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학력 여성의 학습지 산업의 방문지도교사로의 편입과정에는 노동시장의 고학력 여성에 대한 폐쇄성과 가사·육아 부담이라는 성별 역할 분업이 그 배경으로 자리잡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방문지도교사들의 노동조건은 기본적으로 불안정하며, 승진과 승급체계에서 제외되어 있는 등 조직체계내에서 소외되어 있었다. 세째, 사업부제의 도입은 노동비용의 부담감소, 그리고 기업내 활성화된 노동조합운동과 여성노동자들의 적극적인 활동에 대한 기업의 대응이었다. 네째, 사업부제의 도입으로 방문지도교사들의 고용이 불안정해지는 등의 노동조건의 악화, 분할통제·개별화·원자화, 노동조합 역량과 대응력의 약화 등의 노동통제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다섯째, 이러한 사업부제 도입은 자본의 유연화 전략의 일환임에도 불구하고 노동시장의 고학력 여성에 대한 폐쇄성과 여성노동자에게 주어지는 가사·육아부담 등의 성별 역할 분업이 고학력 여성의 임시적 노동으로의 사용을 은폐시켜 마치 여성 자신이 이런 형식의 노동을 선호하는 양 호도하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노동시장에서 소외된 고학력 여성들의 노동을 순응적이며 대체가능한 노동으로 손쉽게 사용하고자 하는 기업측의 의도가 사업부제라는 제도적 기제를 통해 발현되는 현실적인 조건들을 알아냄으로써 첫째, 고학력 여성에게 매력적인 노동으로 선전되는 학습지 산업에서의 방문지도교사의 노동의 실체에 대해 좀더 접근하고, 그럼으로써 둘째, 그 이면에 존재하는 고학력 여성의 노동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구조를 고찰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