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3 Download: 0

심상(心象)의 반영으로서의 자연

Title
심상(心象)의 반영으로서의 자연
Other Titles
Nature as a reflection of imagery
Authors
이지영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서양화과
Keywords
심상자연서양화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수재
Abstract
AS it is realized that art is not always the imitation of the nature, free from the re-appearance of the object, the greatest characteristic of 20th century fine art can be described as the new establishment of canvas situation. This indicates the tendencies of abstract painting which pursue the existence as basic forms through the subjective view to prescribe the essence of painting and appears in a various and complicated aspects of art. All art form is a product of creative work, which is apt to change into a significant concept through materials and artistic action. Therefore the completed work has a self controlled intrinsic value in the work itself, and is in the need of a task which pursues the autonomy of fine art. This pursuit of autonomy by the artist's choice and action,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sphere of expressing the boundary of its method expanded. This tendency is portrayed in the art through various forms and in the middle of it, abstract art has maintained dualism such as intelligence and emotion, geometry and organic shapes, calculated maneuvers and spontaneous acts etc. Therefore realizing that the pure abstract art is one of the most predominant style, I intend to look into the creative method of expression in works completed in harmony of human being existing in the process of life experiences, keeping in contact with the image of nature and the internal emotion. Because my works pursue the emotional inner life in a broad aspect it belong to the abstraction of delineation of passion. I studied mainly the method of the production of the works, and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completed art works with an attitude to generally accept all the possibilities of expression that contemporary art could accept. As for the content, I tried to find possible ways of expression by the use of natural materials, and the dots as an essential element in a work of art along with the theoretical environment of the expression by the theory of chance. As for the painting method, I tried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and the use of the materials of the Korean rice paper which applies the theory of chance. I also analyzed and compared the similaries and difference of the use of the technique of collage through the works of Motherwell and Matisse.;예술이 반드시 자연의 모방은 아니라는 사실을 인식함에 따라, 20세기 이후 회화의 가장 커다란 특징은 대상의 재현에서 벗어난, 그에 따른 새로운 화면의 확립이라 할 수 있다. 이것은 회화의 본질을 규정하는 주관적인 관점에 의해 원초적 형태로의 존재를 추구하는 추상회화의 경향을 나타내며, 다양하고 복잡한 양상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모든 예술은 재료와 예술적 행위를 통하여 어떤 가치 있는 개념으로 의미화 시키는 창작 작업이며 완성된 작품은 그 작품 자체로서 자율적으로 내재하는 의미를 가지고 회화의 자율성을 추구한다는 과제를 필요로 하게 된다. 이러한 자율성의 추구는 표현 영역의 확장을 통하여 작가의 선택이나 행위로 그 방법의 범위가 확대되어졌다. 이러한 경향은 다양한 표현 양식을 통해 회화에 나타나게 되었고 이 가운데 추상미술에는 지성과 정서, 기하학과 비정형, 계산과 자발성 등 여러 이중성이 본질적으로 내재해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인은 순수양식인 추상미술을 통하여 인간이 존재하는 삶의 경험 속에서 접하는 자연의 이미지와 내적 감정의 조화속에서 이루어진 작품의 표현 과정을 살펴보려 한다. 본인의 작품은 감성적인 내면 세계를 지향한다는 점에서 넓은 의미의 서정추상에 속하며, 현대회화가 수용할 수 있는 모든 표현 양식을 포괄적으로 수용하려는 입장으로 제작된 작품의 이론적 근거와 작품 제작방법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내용적인 면에서는 자연 소재에 의한 표현, 근본적인 조형 요소로서의 점(點), 그리고 우연의 원리에 의한 표현의 이론적 배경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방법적인 면에서는 우연의 원리를 적용시킨 한지의 재료적 특성과 사용의 가능성에 대해서 연구하고 꼴라쥬기법의 사용을 로버트 머더웰(Robert motherwell: 1915∼ )과 마티스(Henri Matisse: 1869∼1954)의 작품을 통해 그 유사점 및 차이점에 대해 비교 분석해 보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