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4 Download: 0

의식의 표상으로서의 은유적 형상 연구

Title
의식의 표상으로서의 은유적 형상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f the metaphorical image of the symbol of consciousness
Authors
서원영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서양화과
Keywords
의식표상은유형상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류희영
Abstract
The 20th century contemporary society is experiencing a rapid charge and art is also portraying itself in various and complex phase. Earlier W. Tartarkiewicz(1886∼1980) declared that it was impossible to organize the concept of contemporary art. After 1945, the post-war art developed toward various trends with its complicated and difficult aspects due to the fact that it is an individual pursuit because of the severance with tradition, through this development the contemporary arts' tendency of the post-war ear was noticed in the two streams of concreteness and abstract. From the 50's abstract expressionism to the following abstract trend of Op Art, Kinetic Art and Minimal Art, and in the 60's Pop Art, which arised due to the interest of the external realities, Nourelle Figuration, Hyper realism, Neo Expressionism repetidly appeared rapidly. The arts of the 80's can be characterized by the collapse of the absolvte style and the advent of pluralism which means coexistence of various styles including all the styles of the past. In this kinds of a situation I will assume an open attitude of embracing various types of painting. Therefore in the production of my works on the basis of the need for expression arising from the experiences of the realities of life I am expressing it by restoring it into metaphorical image. To help analyze my works I have selected some reference artists: E. Munch(1863∼1944) and C. Boltanski(1944∼ ) whose works' main theme was ‘death’ and R. Rauschenberg(1925∼) who incorporates figurative image and abstract expression and J. Dine(1935∼) etc. who harmonizes the object with the canvas. This thesi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my work is composed of the content aspects, methodological aspects and the analysis of my works. In the study on contents, I will explain the general problem constituting the inward life and narrate it relating with to the metaphorical form. In the study on methods, I will try to study the comparison of the abstract background and the form and the mixture of various medium. Finally, by depicting and analyzing my works I tried to reexamine and explore the direction of my future works.;20세기 현대 사회는 급격한 시대적 변화를 겪고 있으며, 예술 또한 다양하고 복잡한 양상으로 전개되는데, 일찌기 타타르키비츠(W. Tartarkiewicz; 1886∼1980)는 현대 미술의 개념을 정리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단언하였다. 1945년 이후 전후 미술은 전통과의 단절로 인한 개별적인 추구라는 점에서 매우 복잡하고 난해한 면을 가지고 다양한 조류로 전개되었으며, 이러한 전개 속에서 전후 현대 미술의 경향을 구상과 추상의 두 흐름에서 살펴 볼 수 있다. 50년대의 추상 표현주의에서부터 옵아트, 키네틱아트, 미니멀아트로 이어지는 추상의 흐름과 60년대에 외적 현실에 대한 관심으로 일어난 팝아트를 비롯하여, 신구상회화, 극사실주의, 신표현주의로 이어지는 구상의 흐름이 서로 빠른 속도로 반복되어 나타났다. 80년대의 미술은 절대 양식의 붕괴와 과거의 모든 양식을 포함한 다양한 양식이 공존하는 다원주의로 특징 지워진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본인은 개방적 태도로 여러 회화 양식을 모두 수용하는 자세를 취한다. 따라서 본인은 작품 제작에 있어서 경험하고 있는 현실 세계인 삶에서 비롯되는 표현 욕구를 근거로 하여, 이것을 은유적인 이미지로 환원해서 표현하고 있다. 이에, '죽음'을 작품의 주된 테에마로 다룬 뭉크(E. Munch; 1863∼1944)와 볼탄스키(C. Boltanski; 1944∼ ), 그리고 구상적 이미지와 추상적 표현을 여러 양식을 통해 결합하는 라우센버그(R. Rauschenberg; 1925∼), 또 오브제와 화면을 조합한 짐 다인(J. Dine; 1935∼) 등을 참고 작가로 선정하여, 본인 작품 분석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논문은 본인의 작품 제작과 관련지어 내용적 측면과 방법적 측면을 연구하고 본인 작품 분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적 연구에서는 '내적 삶'을 구성하는 전반적인 문제를 설명하고, 은유적 형상과 관련시켜서 서술하고자 한다. 방법적 연구에서는 추상적 배경과 형상의 대비, 다양한 매체의 혼용으로 나누어 연구해 보고자 한다. 끝으로 본인의 작품을 제시, 분석함으로써 작업에 대한 반성과 함께 앞으로의 방향 모색을 시도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