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성옥희-
dc.contributor.author신혜-
dc.creator신혜-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8Z-
dc.date.issued1993-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20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844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203-
dc.description.abstractIn the rapid transition of modern industrial age, our traditional culture meets serious identity crisis because of the overwhelming power of western culture. Otherwise, we have been making great effort to preserve ow traditional culture. Among many Korean traditional patterns, geometric pattern has been applied to the field of arts & crafts and architecture from its origin as our unique pattern in the benefit of its beautiful sense of design. However, in spite of all the efforts we have made, we are not so successful to connect its aesthetics to the actual practice of arts in general. Among many geometric patterns which can be found in Korean walls, lattices & neung-hwa pan(woodblocks for book cover printing) in the field of arts & crafts and architecture. this study deals with linear pattern because of its outstanding aesthetic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Korean geometric pattern which shows good formal characteristics & rich sense of aesthetics among many Korean traditional patterns. It could be done by transforming the geometric pattern of Korean walls, latticese and neung-hwa pan in vertical, horizontal, and diagonal way without losing its traditional image. The content of this study shows general definition of geometric pattern and suggests the theories about the aesthetic sense of Korean geometric pattern. This study classifies vaous geometric patterns and examines their origin & characteristics. It also examines artistic characteristics of geometric patterns of Yi-Dynasty fabrics and analyzes aesthetic sense of geometric patterns which is shown on tapestries from ancient times to these days in order to show their possibilities as expressive medium. In the process of concept development, this work tried to express decorative &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卍 pattern, 亞 pattern and litning(雷) pattern which could be found on walls, lattices and neung-hwa pan by simplifying those patterns in visual way. In the process of weaving, this work persued the beauty of simplicity of linear pattern through the double warp face weave. The discovery of aesthetic value of traditional geometric pattern through its various applied forms suggests possibilities of fine art works by applying it. Futher, we can expect new traditional pattern which provides Korean symbolism and meaning by creative development of geometric pattern which matches the sense of modernity.;급속한 발전과 변화를 거듭하는 현대 산업화 시대에서 대중화 되어가는 서구문화의 영향으로 인해 우리의 전통문화가 점차 소멸되어 가는 위기에 놓여있다. 한편 우리민족은 점차 그 뿌리를 잃어가고 있는 전통문화를 보존하려는 노력을 계속해왔다. 특히 한국의 전통문양 중 기하문양(機何紋樣)은 한국인의 뛰어난 조형감각으로 발생과 도입의 초기에서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공예와 건축분야에서 우리의 고유문양으로 발전되어 왔으나 전반적인 분야에 걸쳐 한국의 미로써 현대적으로 실용화하지는 못한 것 같다. 본 연구에서는 공예와 건축분야에서 담, 창살, 능화판을 중심으로 나타난 기하문양 중에서도 작품제작에서 필요로 하는 직선문양의 조형성이 특히 뛰어나기에 이를 대상으로 기하문양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의 공예 및 조형예술에 시문(施紋)되어 왔던 문양중에서 양식적 특질이 가장 잘 갖추어지고 조형성이 풍부한 기하문양을 이용하여 전통적 이미지를 잃지 않는 범위에서 수직, 수평, 사선의 형태로 변형하여 조형적으로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은 기하문양에 관한 일반적 정의와 한국의 기하문양이 갖는 조형성에 대해 이론을 전개하고 기하문양을 분류하여 문양의 파생원인과 특징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문양의 구별이 용이한 조선시대를 중심으로 직물에 나타난 기하문양을 분석하고 직물예술에서의 기하문양의 표현가능성을 제시하기위해 고대부터 현대까지의 직물을 살펴 기하문양이 나타난 직물 중 Tapestry로 표현된 기하문양의 조형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작품제작에 있어서는 담, 창살, 능화판에 나타난 한국의 기하문양 중 卍자문, 亞자문, 雷문이 갖는 장식적이며 조형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단순화시켜 표현하였다. 표현 방법으로는, Warp face weave의 이중직을 통해 직선의 간결함을 연구하였다. 기하문양의 다양한 전개와 활용을 통한 전통 기하문양의 조형적 가치의 발견은 문양을 이용한 순수 예술작품을 제작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으며 시대의 요청에 의해 현대적 감각에 부합할 수 있는 기하문양 창의적인 개발로 한국적 상징과 의미를 전달할 수 있는 새로운 전통문양이 형성되리라고 생각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 목적 = 1 B. 연구 범위및 방법 = 1 Ⅱ. 이론적 배경 = 3 A. 기하문양의 정의 = 3 B. 기하문양의 시문(旅紋)대상 과 분류 = 5 C. 직물에 나타난 기하문양의 분석 = 16 Ⅲ. 작품제작 및 분석 = 34 A. 작품제작 배경및 과정 = 34 B. 작품 분석 = 37 Ⅳ. 결론 = 50 참고문헌 = 52 ABSTRACT = 5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51275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한국-
dc.subject기하문양-
dc.subjectTapestry-
dc.subjectwarp face weaave-
dc.title한국의 기하문양(幾何紋樣)을 이용한 Tapestry-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warp face weave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aspestry by korean geometric pattern : on the basic of warp face weave-
dc.format.pageviii, 5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섬유예술학과-
dc.date.awarded199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