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현경-
dc.contributor.author金宣希-
dc.creator金宣希-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6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53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842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534-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thesis were as follows. First, Womanist Theology was introduced. Second, it suggested what we could learn from womanist theology for Korean feminist theology. Liberation theology assert that the mainline theologies of the west have been used to legitimize the established order. For this reason, liberation theologians say that the western theologies from Europe and and North America have not generally spoken to those who are oppressed by the political establishment. Ironically, the criticism that liberation theologians make against classical theology has been turned against liberation theologians themselves because some liberation theologians have acquiesced in one or more oppressive aspects of the liberation struggle itself. For that reason, we have to consider the wholistic liberation in our theological reflection. Womanist theology can be a node1 of theology can wholistic liberation. Black women in North America have been invisible in both the Black theology and Feminist theology. And in recent years, they have started to speak about their experience and faith of God. This thesis was devided into 5 chapters. In the first chapter, the purpose of this thesis was presented. And the scope and method of this thesis were presented. The second chapter was devided into 2 sections. In the first section, black women's conditions in North America were presented for the context of womanist theology. The history of the black people in North America began in slavery. Black people's conditions in slavery characterized black people's life, status, job even after emancipation. Especially, for black women, the life in North America was harder than black men because they were oppressed by not only racism but also sexism. In the second section, it was presented how the womanist thought was developed. Black women realised they were marginalized in both the black liberation movement and feminist movement. They insisted wholistic liberation was important. Therefore, they gathered and fought for liberation from the racism, sexism, heterosexism in the name of the "womanist". The word of the "womanist" came from Alice Walker's definition in her book,「In seach of our mother's gardens.」 In the third chapter, the content of the womanist theology was presented. The starting point of the womanist theology is black women's experience. Black women were the oppressd of the oppressd.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them to make a wholistic theology which could fight against all types of oppressing power. And womanist theologians used the black women's literatures as resources of their theology. They also tried to find out black women's traditions, especilly black women's power and wisdom of the survival and struggle for liberation. In this process, we could see that womanist theological task was related to the liberation of black woman and her family. It also promoted black women's ability of revaluating the established values. From here, womanist theologians went forward reinterpretation of the Bible, Jesus, doctrine of atonement, Holy spirit and God from the perspective of black women's experience. In the forth chapter, it was suggested what we could learn from the womanist theology. First, it was insisted that Korean feminist theology should criticize the Minjung theology as womanist theology criticized the black theology. Second, it was suggested that some points of womanist theology could be helpful for Korean feminist theological development. In the last chapter, the whole study of this thesis is summerized. and then, it was emphasized the insight from womanist theology is important for the Korean feminist theology. I hope the theological insights from womanist theology can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the Korean feminist theological reflection.;본 논문은 그동안 신학적 작업에서 주목받지 못했던 흑인여성들의 경험을 가지고 신학화한 우머니스트 신학을 소개하고, 이들의 작업속에서 한국여성신학의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점들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하에 본 논문은 우머니스트 신학이 어떻게 형성되었는가를 이해하기 위해, 흑인여성들의 억압의 상황을 제시한다. 미국에서의 흑인의 역사는 노예시대부터 시작되었고, 이런 초기의 상황은 계속해서 흑인들의 삶을 규정해왔다. 그들은 늘 가장 낮은 지위에 있었고, 늘 가난한 그룹이었다. 그러나 만약 인종차별만이 그들의 삶을 규정했다면, 미국에서 흑인여성과 남성의 처지는 같았을 것이다. 그러나 흑인여성은 언제나 흑인남성보다 열등한 존재로 취급당했고, 그 원인은 성차별에 있었다. 이러한 인종차별과 성차별은 흑인여성들이 해방을 위해 흑인남성과 백인여성과 함께 운동하려고 했을때도 일어났다. 흑인남성들은 인종차별에서의 해방을 부르짖었지만, 가부장적 체제를 유지하기를 바랬다. 백인여성들은 성차별에서의 해방을 부르짖었지만, 백인우월주의 체제를 유지하기를 바랬다. 따라서 어디에도 흑인여성을 위한 자리는 없었고, 두 운동에서 그들은 마치 보이지 않는 존재 취급을 받았다. 이러한 것들로 인해, 흑인여성들은 그들의 정체성과 자신감을 갖기 위해 새로운 의식을 형성하기에 이르렀다. 특별히 그들은 시인이자, 소설가인 엘리스 워커의 “우머니스트(Womanist)” 개념을 자신들을 표현하는 이름으로 취한다. 이러한 배경을 가지고 우머니스트 신학자들은 스스로를 우머니스트라고 부르고, 그동안 어디에서도 주목받지 못했던, 흑인여성의 경험을 가지고 신학화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들의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가 억눌린자 중의 억눌린자로서, 그 누구도, 어떤 억압의 형태도 간과하지 않을 것을 천명한다는 것으로 보았다. 이들은 인종차별주의 성차별주의 뿐만 아니라, 계급주의, 이성애중심주의 등, 모든 형태의 억압이 인간의 삶을 함께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어떤 문제가 먼저이고, 나중이라는 것은 있을 수가 없다고 주장한다. 이것은 모두 함께 풀어가야할 문제들인 것이다. 이러한 시각에서 우머니스트들은 지금까지, 흑인해방신학과 백인페미니스트 신학에서 간과되어 온 자신들의 경험을 신학화 작업에 넣는 것은 전체적인 해방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일이라고 한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서, 다른 신학이 흑인여성의 경험에 귀기울일때, 연대를 이룰 수 있는 신학의 보편성이 드러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전체적인 해방의 중요성과 더불어 본 논문에서는 우머니스트 신학자들이 어떠한 자료를 사용하고, 어떠한 방법론으로 그들의 신학을 형성해 나가는지를 제시한다. 다른 해방신학과 마찬가지로, 우머니스트 신학도 흑인여성의 경험을 가장 중요한 자료로 채택한다. 이것은 단지 자료일 뿐만 아니라 다른 자료들을 해석하는데 있어서의 규범이 됨을 살펴보았다. 그런데 그들이 경험과 이야기를 찾아낼때, 흑인 여성작가의 소설을 그 자료로 채택한다는 점이 특히 주목할 만한 방법이다. 그들은 이러한 자료와 방법론을 가지고, 흑인여성들이 살아남을 수 있었던 생존의 힘을 찾아낸다. 그리고 이것은 우머니스트 신학의 중요한 주제이다. 이와 더불어 우머니스트 신학자들은 소설속에서 흑인여성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들을 발견해낸다. 그리고 이것을 우머니스트 신학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과제로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흑인여성의 경험에 서서, 우머니스트 신학자들은 새로운 신학적인 해석을 시도한다. 이것은 흑인여성의 경험과 전통에서 이루어진 신학작업이며, 흑인여성에게 해방의 의미로 다가설 수 있는 신학작업이다.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우머니스트 신학자들의 작업들을 살펴본다. 본 논문에서의 마지막 작업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인데, 즉 우머니스트 신학에서 한국여성신학의 발전을 위해 수용할 수 있는 점이 무엇인가 하는 점이다. 본논문에서는 이것을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본다. 하나는 우머니스트 신학이 흑인해방신학과 백인 페미니스트 신학을 비판하면서, 그들의 허구성을 폭로해온 것과 같이, 한국여성신학도 같이 해방을 추구하는 공동체 안에서, 성차별의 문제를 간과해온 민중신학에 대한 비판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첫째로 민중신학에 대한 비판 작업을 시도한다. 그리고 두번째 부분에서는 포괄적인 차원에서, 우머니스트 신학에서 한국여성신학이 배울 수 있는 점에 대해서 다룬다. 여기서는 우머니스트 신학과 한국여성신학이 같이 추구해온 공통점들도 있지만, 한국여성신학이 앞으로 참고해야할 것에 대한 것들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지적이 한국여성신학의 발전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문제 제기 1 2. 연구방법 및 범위 5 Ⅱ. 우머니스트 신학이 나오기까지의 배경 7 1. 흑인여성들의 억압상황 7 A. 노예제도 하에서의 흑인여성의 억압상황 7 B. 노예제도 이후의 흑인여성의 문화 심리적 억압상합 14 C. 노예제도 이후 자본주의와 흑인여성의 경제적 억압상황 24 2. 우머니스트 사상의 형성과정 34 A. 흑인 공동체 내에서의 성차별 34 B. 페미니스트 운동에서의 인종차별주의 39 C. Allice Walker의 Womanist 개념 46 Ⅳ. 우머니스트 신학이란 무엇인가 54 1. 전체적인 해방을 추구하는 해방신학으로서의 우머니스트 신학 54 2. 우머니스트 신학의 자료와 방법론 61 A. 우머니스트 신학의 전망 61 B. 흑인여성의 생존의 힘과 지혜 63 3. 우머니스트 신학의 과제 70 A. 흑인여성과 가족의 해방 71 B. 흑인여성의 기존 가치에 대한 재평가 73 4. 우머니스트 신학의 새로운 신학적 재해석 78 A. 신앙에 의지한 흑인여성의 전통들 78 B. 흑인여성의 경험에서 본 성서 82 C. 흑인여성의 경험에서 본 예수 91 D. 흑인여성의 경험에서 본 하느님과 성령 98 Ⅴ. 우머니스트 신학이 한국여성신학의 발전을 위해 공헌할 수 있는 점 101 1. 민중신학에 대한 한국여성신학적 비판 101 2. 우머니스트 신학에서 한국여성신학의 발전을 위해 배울 수 있는 점들 117 Ⅵ.결론 137 참고문헌 140 Abstract 14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79679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Womanist-
dc.subject신학-
dc.subject우먼니스트-
dc.subject.ddc200-
dc.title그녀 자신을 사랑한다 조건없이-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Womanist 신학에 대한 한 연구-
dc.title.translatedLoves herself, regardless : A study of Womanist Theology-
dc.creator.othernameKim, Sun Hee-
dc.format.pageviii, 13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기독교학과-
dc.date.awarded199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