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6 Download: 0

하버마스의 사적 유물론 재구성에 관한 일 연구

Title
하버마스의 사적 유물론 재구성에 관한 일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Habermas's Reconstruction of Historical Masterialism : Integration of Theory and Practice
Authors
이은희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Keywords
하버마스사적 유물론Habermas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병서
Abstract
최근 서구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노동운동의 쇠퇴와 동구 사회주의 국가들의 위기는 맑스주의의 타당성에 의문을 던지게 하였다. 그러나 맑스주의의 위기의 근원에는 맑스 이론의 내적 모순이 자리하고 있다. 이것은 곧 맑스의 이론이 과학적 유물론과 실천적 관념론의 통일물이면서 동시에 이 두 개의 구성부분간의 내적 긴장을 지니고 있음을 뜻한다. 따라서 맑스주의의 전 역사는 이러한 내적 긴장에서 유래하는 두개의 맑스주의로 분리된 채 전개되었다. 그러나 맑스주의의 생명력과 그 한계의 시금석은 이론과 실천의 융합이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하버마스는 맑스의 생산 패러다임을 비판하고 의사소통 패러다임을 통한 사적 유물론의 근본적 재구성을 계획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하버마스의 사적 유물론이 어떻게 이론과 실천을 통합하고 있는지에 대해 검토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하버마스의 사적 유물론은 사회 비판의 규범적 기초에 관련된 이론적 문제와 주체와 관련된 실천적 문제에 관계한다. 하버마스는 이론의 비판적 규범이 언어 구조에 내재해 있다고 주장한다. 이데올로기를 '체계적으로 왜곡된 의사소통'으로 간주한 그는 일상 언어에서 이해/동의에 도달할 수 있는 가능성 조건을 탐구함으로써 '왜곡되지 않은 의사소통'이 내포한 바를 명시하고자 한다. 언어적 의사소통에서는 단순히 구체적인 문제 해결이나 정보를 교환하는 것 뿐만 아니라 말하는 것과 행위하는 것을 위한 규칙과 규범의 타당성이 일치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버마스는 이런' 가능한 담화의 규범적 타당성 근거' 에서 사회적 진화의 동력을 찾아내었다. 따라서 그의 사회 진화론의 주요 특징은 이러한 타당성 요구를 통해서 구조의 변증법적 진화와 그 과정 속으로 행위자들이 참여할 것을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역사적 재구성과 실천적 의도 속에는 하버마스가 '합리성' 이라고 부르는 용어가 자리잡고 있는데, 그에게 있어서 사회 진화의 종국점은(의사소통적으로)합리화된 사회이다. 그는 지배로부터 자유로운 이상적인 담론의 제도화를 사회적 실천의 대안으로 제시한다. 따라서 진정한 의미에서 민주주의 사회는 이러한 담론이 제도화된 사회라고 볼 수 있다. 하버마스에게 있어서, 사회적 실천의 주체는 비판적 공증이다. 그는 일찍부터 프롤레타리아의 혁명적 역할을 거부하는 반면 비판이론의 수취인을 인류 전체로 일반화 했다. 현대사회가 교묘한 지배와 억압을 통해서 대중의 탈정치화를 조장하고 있는 현실에 비추어 볼 때, 담론의 제도화를 실현할 수 있는 주체는 어느 하나의 계급에 국한되는 문제가 아닌 것이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하면, 하버마스의 사적 유물론은 사회과학논리의 이론적 분석을 정치변동의 전략을 위한 구체적 실천론과 접합시킴으로써, 이론과 실천의 변증법적 조화를 이루고 있다고 보여진다.;Recently labor movement has been on the decline in the West European capitalistic society, and socialism is at a crisis in the East European contries. For these reasons there are doubts about the validity of Marxism. But Marxism is the unification of scientific materialism and idealism, and the components relations are in a state of inner tension simultaneously. Therefore total history of Marxism has developed into two Marxism because of inner tension. But the liveliness and limitation of Marxism is judged only from harmony of theory and practice. In this context, Habermas criticizes "production paradigm" and plans fundamental reconstruction of historical materialism by means of "communication paradigm".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ate how the historical materialism integrates theory and practice. Historical materialism of Habermas is related to theoretical problems that connected with the normative base of criticism about society, and to practical problems connected with the subject. According to Habermas, the critical norm of theory is immanent in the structure of language. He regards ideology as "systematically distorted" and then points out the connotation of "undistorted communication" in the ordinary language, by the study of conditions that make possible comprehension/consent. Not the concrete solution of problem or the expession of information, but the concurrent validity of the rule and the norm is important. In these base of the norm validity of practical discourse, Habermas finds the force of the social evolution. As a result, he insists that actors participate in the dialectic revolution of the structure and its process. There is rationality, what Habermas calls, in the these historical reconstruction and practical intention. According to Habermas. the final of social revolution is (communicationally) rationalized society. He represents the institutionalization of ideal discourse free from the domination as the alternative about social practice. Therefore the truly democratic society has that. Habermas thinks that the actors of social practice is critical public. Earlier, he denies the revolutionary role of proletariat, while regards the mankind as the receiver of critical theory. The people s depoliticized though the ingenious domination and depression in the modern society. So subject who can realize institutionalization of discourse is not confined to any class. In conclusion, historical material ism of Habermas connects the theoretical analysis of social science logic to the practical theory, and attains dialectical harmony theory and practi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