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0 Download: 0

人物畵, 現代的 表現으로의 모색

Title
人物畵, 現代的 表現으로의 모색
Other Titles
(A) Study on a Portrait in Modern Expression
Authors
林洙廷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동양화과
Keywords
인물화현대표현동양화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용길
Abstract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인간과 인간의 의식을 재현하려는 욕구는 예술 활동 전반에 걸쳐 모든 예술가들의 주된 관심이 되어왔으며 특히 인물의 형상은 시대와 공간을 초월한 본질적 존재의 표현으로써 지속적인 조형적 탐구와 더불어 다양한 실험에 의한 변화와 발전이 이룩되어 왔다. 한편 예술행위라는 것이 한 공동체의 역사적 경험속에 그들 고유의 어떤 정신적 필요에 의해 이루어 지는 것이라"^(1) 할 때 현대회화에 있어서의 인간에 대한 문제는 현대문명의 지나친 발달이 이루어낸 인간소외의 현상과 더불어 현대사회의 다양한 문제점들을 인간 형상의 왜곡된 시각과 자유로운 조형의지의 표현으로 상징화하게 되었다. 그러나 본인은 예술가가 자신을 타인에게 이해시키고 이해받기 위해서는 지나친 굴절이나 왜곡이 아닌 확실한 형식언어를 소유해야 한다는 점^(2)에 같은 인식을 가지고 오늘날 지나치게 주관적이고 형식적인 현대의 인물 표현양상이 이루어낸 대중과의 공감대 상실이라는 예술적 현대의 인물 표현양상이 이루어낸 대중과의 공감대 상실이라는 예술적 한계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일환으로써 새로운 인물표현의 모색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본인은 현대를 살아가는 인간을 실존적 인간상으로 파악하고 동시에 상실되어버린 인간의 존엄성과 주체성의 문제를 구체적이고 사실적인 인간형상에 반영함으로써 인간존재의 문제를 환기시키고자 하였으며 또한 이러한 내용의 이미지들을 화면에 부각시키기 위하여 구조적인 공간의 표현을 강조하고 동시에 인간형상이 표현하지 못한 상상의 여운을 추상화된 공간의 표현을 통하여 이루고자 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동양 인물화에 나타난 현실적 인물표현의 양상을 시대적 상황과 함께 살펴봄으로써 인물표현 방법의 시대적인 변화와 더불어 회화사적인 의의를 살펴보고자한다. 나아가 한국 인물화의 중요한 전환기가 되었던 조선 후기 초상 인물화에 나타난 사실적 인물표현 양상을 간단히 서술해 봄으로써 근대화의식 속에 싹트여진 우리 인물화의 독특하고도 개성적인 인물표현으로의 모색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뿐만 아니라 오늘날 동시대적 요구에 의해 새롭게 발전하게 된 현대의 인물표현 양상을 간략히 서술해 봄으로써 오늘날 현대의 인물화가 이루어낸 새로운 인물 표현 방법과 더불어 종전의 인물화에서 찾아 볼 수 있었던 관념적이고 획일적이던 전통 인물화양식에서 벗어난 다양하고도 다각적인 현대적 조형방법의 수용을 통하여 새로운 인물화로의 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Across the ages and countries of the world, the need to reproduce the man himself and his consciousness is one of the major concers of almost all the artists in every field, Especially, a man's figure itself has been changed and developed as an expression of fundamental being for times and spaces through the continous formative study and various experimnets. Assuming that artistic activities have been peformed by a psychologlcal need found in a certain community with commmon historical experiences, the subject of humanbeings in modern painting becomes to be symbolized, along with alienation among peoples due to the excessive development of modern civilization, as the emergence of distorted view for a variety of problems and of liberal, formative wills in present societies. I agree, however, to the suggestion that we have to use concrete and formal language, not inordinate distortion norrefraction in order to have ourselves understood to and recognized by others. So, a new way was to be found out to depict our own figures as a part of overcoming the artistic limit resulted from no response from the public at large to the present portrait which is too subjective and formal. In this study, the modern peoples are regarded as existential ones and their lost dignity and sovereignty are reflected in their detailed and real shapes to call their attention to the matter of man's existence. In addition, to make such images on canvas, expression of structural space is emphasized and the trailing imagination which cannot be expressed in a portrait is tried to be appeared on an abstract space. The changing methodolgy in painting portraits as time goes by and its meaning in our painting history are reviewed by looking into the typical trends of expressing real figures in Oriental portraits in every period : and the way of protraiting in the late Yi-dynasty, an crucial turning point for Korean portrait, is discuased in brief to note the individual and characteristic expression of figures at the beginning of the modrenization in this peninsular. Finally, various and diversified modern portraitures which cannot be earily discovered in conventional ones, ideal but uniform, have been accepted and tried to get new possibility for modern portrait by discussing tile present portaiting aspects created by the needs in our tim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