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2 Download: 0

靑少年의 憂鬱性向이 飮酒實態에 미치는 影響에 관한 調査 硏究

Title
靑少年의 憂鬱性向이 飮酒實態에 미치는 影響에 관한 調査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depressive trend of adolescents on the drinking behavior
Authors
劉亨心
Issue Date
1993
Department/Major
대학원 건강교육과
Keywords
청소년우울성향음주실태영향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홍양자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나라 일부 청소년들의 우울성향을 파악하고 우울한 기분을 해소 시키거나 완화시키기 위해 취할 수 있는 문제 행동 중 음주 실태를 규명하여 우울성향과 음주실태와의 상호 관련성을 확인하고 음주를 야기시키는 요인을 발견함으로써 음주예방적 측면에서 건강증진에 기여할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과 인천시내 일부 고등학교 1, 2, 3 학년 학생 114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설문내용은 일반적인 특성, 우울성향, 음주실태에 관련된 내용으로 총 55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20개 SDS문항을 통해 일부 청소년들의 우울 성향을 조사 분석한 결과 식욕감퇴가 2.76으로 가장 높은 평균 점수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절망감은 2.49, 불만은 2.45 개인적 평가절하는 2.31, 공허감은 2.26으로써 이상 5개의 SDS문항이 청소년들이 흔히 보여주는 우울 성향이라고 밝혀졌다. 청소년기의 특성이라고 할 수 있는 심리적 우울성향은 흔히 경험하는 반면에 변비, 불면, 체중감소 등 생리적 우울성향은 호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 여학생과 실업계 학생 그리고 학교성적이 나쁠수록, 학교생활에 만족 못하는 학생일수록 우울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부모의 양육태도가 과보호적이거나 거부적인 경우와, 부모의 관심 정도가 전혀없거나, 별로없는 경우일수록 우울성향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남학생의 경우 음주빈도에서 높은 경향이 있었고, 학년별 음주빈도는 학년이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항이 있었다.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이 음주율과 음주빈도에서 높게 나타났다. 학교성적이 나쁠수록, 학교생활에 만족하지 못할수록 음주율과 음주빈도에서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고, 음주친구가 있는 경우 음주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음주 빈도의 경우도 이성친구가 있을수록, 그리고 음주친구가 있을수록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부모의 양육태도가 거부적이거나 무관심한 경우 그리고 과보호적인 경우의 음주율, 음주빈도가 무난한 경우보다 높게 나타났다. 4. 남학생과 실업계 학생 그리고 음주친구가 있는 학생의 14세 이전의 조기 음주율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저학년일수록, 학교성적이 나쁠수록, 학교생활에 만족하지 못하는 학생일수록, 14세 이전의 조기 음주율의 경향이 높았다. 5. 학교성적이 나쁠수록, 학교생활에 만족하지 못할수록, 부모의 관심이 없을수록 중정도 이상 과음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음주친구가 있는 경우나 부모의 양육태도가 거부적 또는 무관심한 경우에 중정도 이상 과음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6. 남학생의 경우에 기쁨을 더하기 위해, 친구를 사귀기 위해 음주를 하는 반면, 여학생의 경우엔 슬픔, 우울한 기분을 해소하기 위해, 고민이나 불안을 잊기 위해 음주를 하는 경항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고학년일수록 친구를 사귀게 한다거나 즐거울 때 기쁨을 더해준다는 측면에서 음주하는 경향이 있었다. 학교성적이 좋은 학생일수록 기쁨을 더해주기 위해, 친구를 사귀기 위해 음주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며 학교성적이 나쁜 학생일수록 고민이나 불안을 망각하기 위해 음주를 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7. 과음 후 사고에 대한 태도는 여학생의 경우 남학생보다 처벌에 대한 태도가 유의하게 높았고, 남학생의 경우는 용서하는 태도가 여학생 보다 유의하게 높아 남학생이 음주후 사고에 대하여 매우 관대한 태도를 가지는 경향이 있었다. 학교성적별 비교에서 보면 학교성적이 좋은 학생일수록 과음 후 사고에 대한 태도가 올바른 경우가 많았고, 성적이 나쁠수록 용서해 주어야 한다는 태도가 유의하게 높아 많은 학생들이 잘못된 태도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8. 우울성향이 높을수록 음주경험, 음주 빈도, 과음 정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우울성향이 높을수록 과음 후 성격 행동적 반응 형태가 우울형으로 나타났고 음주동기 역시 우울한 기분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나타났다. 9. 청소년의 음주량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음주친구 유무, 이성친구 유무, 우울성향으로 나타났다.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의 경우 우울성향이 음주량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문계 학생보다는 실업계 학생의 우울성향이 음주량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This study was attempted to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health in view of protecting the adolescents from drinking, by certifying the correlation between depressive trend and drinking behavior and finding out the factors causing them to drink. This could be attained by means of understanding the depressive trend of the partial adolescents in our country and elucidating the drinking behavior among the problem behavior that could be adopted to eliminate and lessen the depressive mood. Accordingly, 1146 students which comprised in first, second, third grade of partial high school in Seoul and Incheon were selected in this questionary survey. The detailed contents of the questionary survey were made up of general characteristics, depressive trend and drinking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sed as follows. 1.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epressive trend of partial adolescents by way of questioning 20 SDS items, decreased appetite showed the highest mean score of 2.76. Additionally, hopelessness of 2.49, dissatisfaction of 2.45, personal devaluation of 2.31 and emptiness of 2.26 were revealed to be the typical depressive trend of the adolescents among SDS items. The psychological equivalents such as desperation, complaint, emptiness and personal devaluation were frequently experienced while the physiological disturbances such as constipation, insomnia and weight loss were rare. 2. It turned out that the degree of depression was the higher for girl students, students of vocational school and of lower score. And it also increased as they were discontented with their school life. In case parent's upbringing attitude was overprotective, or indifferent, the degree of depression was higher. So was it when his(or her) parent's attention was little or none. 3. Boy students showed higher inclination toward the portion and the frequency of drinking in comparison with girl students. The students of vocational school also showed the significantly high trend toward them. The portion of drinking and the frequency of drinking increased as the records of students was lower and the degree of contentment for school life was lower. The portion of drinking also increased when he had drinking friends, and the frequency increased in case he(or her) had the opposite sex friend and drinking friends. For those students upbringing attitude of which parents was indifferent or overprotective, the portion and the frequency of drinking turned out to be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the moderate attitude. 4. Inclination toward the portion of early drinking before 14 years old was higher for boy students, those of lower grade, those of vocational school, those of worse records, and those unsatisfied with the school life. 5. Inclination toward overdrinking above moderate degree was higher when they had drinking friends, and when the upbringing attitude of parents was deniable, or indifferent. It increased for those of worse records, and of lower grade, so did it when the degree of discontentment for school life was high. 6. Boy students tended to drink for the purpose of seeking pleasure, enjoying companionship, and growing manliness, whereas girl students were apt to drink in order to alleviate the melancholy and depressive mood, and to relieve the trouble and the uneasiness. As the grade become higher, they tended to drink with a view to making friends and enhancing the delightfulness when happy. On the other hand students of 1st grade tended to drink with a view to relieving trouble and uneasiness, alleviating the melancholy and depressive mod, and feeling modelled adults. And the students of higher records turned out to drink for the purpose of seeking pleasure and making friends while those of lower records tended to drink in order to relieve trouble and uneasiness. 7. In the respect of the attitude toward the accident caused by overdrinking, boy students showed more beneficent attitude than girl ones. On the other hand, in the respect of records it turned out that the students of higher records have fairer attitude than those of bad records, who were apt to forgive the drinkers their faults. So it was found out that the large portion of students had wrong recognition about the accident caused by overdrinking. 8. Drinking experience, drinking frequency, and overdrinking degree were found out to increase with depressive trend. Additionally, the type of actual response after overdrinking also was depressive one and the motive of drinking was only to relieve depressive mood when the depressive trend was high. 9. The most effective factor affecting the amount of drinking for adolescents proved to be the existence of drinking friend and opposite sex friend, and the depressive trend was the next in order. Depressive trend revealed to affect the amount of drinking to a more degree, in case of boy students and vocational school students rather than girl students and academic school students, respective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보건관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