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3 Download: 0

소리모델유형이 아동의 따라부르기에 미치는 영향

Title
소리모델유형이 아동의 따라부르기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pitch midels on children's pitch matching ability in elementary music classroon
Authors
임소용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초등교육학과
Keywords
소리모델유형아동따라부르기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경자
Abstract
본 연구는 국민학교 가창 학습 시간에 아동이 모델이 되는 여러가지의 소리를 듣고 따라 부르는데 있어서 소리 모델인 성인 여성 소프라노, 성인 남성 바리톤, 여자아동의 목소리와 피아노 소리가 아동의 따라 부르기(pitch matching)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아동의 따라 부르기 능력은 소리모델 유형인 성인 여성 소프라노, 성인 남성 바리톤, 여자아동, 피아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 1-1.2학년 아동의 따라 부르기 능력은 소리모델 유형인 성인 여성 소프라노, 성인 남성 바리톤, 여자아동, 피아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 1-2.5학년 아동의 따라 부르기 능력은 소리모델 유형인 성인 여성 소프라노, 성인 남성 바리톤, 여자아동, 피아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 1-3.남자 아동의 따라 부르기 능력은 소리모델 유형인 성인 여성 소프라노, 성인 남성 바리톤, 여자아동, 피아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1-4.여자 아동의 따라 부르기 능력은 소리모델 유형인 성인 여성 소프라노, 성인 남성 바리톤, 여자아동, 피아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따라 부르기 능력에 있어서 아동의 오음 경향은 어떠한가? 2-1.소리 모델의 유형에 따른 아동의 오음(誤音) 경향은 어떠한가? 위에 제시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1. 아동의 따라 부르기 능력은 소리모델 유형인 성인 여성 소프라노, 성인 남성 바리톤, 여자아동, 피아노에 따라 차이가 있다. 1-1.2학년 아동의 따라 부르기 능력은 소리모델 유형인 성인 여성 소프라노. 성인 남성 바리톤, 여자아동, 피아노에 따라 차이가 있다. 1-2.5학년 아동의 따라 부르기 능력은 소리모델 유형인 성인 여성 소프라노, 성인 남성 바리톤, 여자아동, 피아노에 따라 차이가 있다. 1-3.남자 아동의 따라 부르기 능력은 소리모델 유형인 성인 여성 소프라노, 성인 남성 바리톤, 여자아동, 피아노에 따라 차이가 있다. 1-4.여자 아동의 따라 부르기 능력은 소리모델 유형인 성인 여성 소프라노, 성인 남성 바리톤, 여자아동, 피아노에 따라 차이가 있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한 공립 국민학교의 2학년과 5학년 아동 각각 88명씩 176명 이었다. 이들을 가창 점수를 근거로, 학년별로 22명씩 전체 8개의 실험집단으로 무선할당 하였다. 검사도구는 R. J. Beautty가 제작한 따라 부르기 능력 검사도구를 연구자가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검사도구는 10개의 문항과 4개의 평가 기준으로 구성되어, 소프라노, 바리톤, 여자아동의 목소리와 피아노의 소리로 녹음 되었다. 그리고 검사는 아동이 녹음된 소리모델의 소리를 듣고 그 음을 따라 불러보게 하는 방식으로 시행 되었다. 검사결과는 본 연구자와 다른 한명의 평가자에 의해 채점되었으며, 평가결과는 일원분산 분석, 백분율과 SNK(Student Newman keuls)사후 검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아동은 소리 모델의 유형에 따라 따라 부르기 능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소리모델인 성인 여성 소프라노나 여자아동의 소리가 소리모델인 성인 남성 바리톤 또는 피아노 소리보다 아동의 따라 부르기 능력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2. 학년별로 살펴본 결과, 소리모델의 유형에 따라 2학년 아동의 따라 부르기 능력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5학년 아동의 따라 부르기 능력도 소리모델의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공통적으로 성인 여성 소프라노나 여자아동의 소리가 성인 남성 바리톤과 피아노 소리보다 2학년과 5학년 아동의 따라 부르기 능력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3. 성별로 살펴본 결과, 남자 아동의 따라 부르기 능력은 소리모델의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여자 아동도 소리모델의 유형에 따라 따라 부르기 능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공통적으로 여자 아동과 남자 아동의 따라 부르기 능력에 성인 여성 소프라노나 여자아동의 소리가 성인 남성 바리톤과 피아노 소리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4. 전체적으로 살펴 본 아동의 오음 경향은 샾보다는 플랫 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 별로 살펴본 결과, 소리모델이 성인 여성 소프라노, 성인 남성 바리톤, 피아노인 집단에서는 오음의 유형에 있어서 샾보다는 플랫(flat)이 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소리 모델이 여자 아동인 집단에서만 음이 플랫보다는 샾이 된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해 볼때, 국민학교 가창 학습시 소리모델로 성인 남성의 목소리나 반주로 사용되는 악기인 피아노 소리보다 성인 여성 혹은 여자아동의 목소리를 사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 볼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itch models on children's pitch matching ability in elementary music classroom. Specific questions phrased as follows; 1. Is there any difference in children's pitch matching abilities by types of pitch models-an adult female soprano, an adult male baritone, a female child, and piano ? 1-1. Is there any difference in second-grade children's pitch matching abilities by types of pitch models ? 1-2. Is there any difference in fifth-grade children's pitch matching abilities by types of pitch models ? 1-3. Is there any difference in male children's pitch matching abilities by types of pitch models? 1-4 Is there any difference in female children's pitch matching abilities by types of pitch models? 2. Is there any pattern in incorrect responses of the children in each treament group? To support the problems suggested above, the following hypothese have been formulated; 1. There is a difference in children's pitch matching abilities by types of pitch models-an adult female soprano, an adult male baritone, a female child and piano. 1-1. There is a difference in second-grade children's pitch matching abilities by types of pitch models. 1-2. There is a difference in fifth-grade children's pitch matching abilities by types of pitch models. 1-3. There is a difference in male children's pitch matching abilities by types of pitch models. 1-4 There is a difference in female children's pitch matching abilities by types of pitch models. One hundred seventy-six second- and fifth- graders from a public elementary school in seoul, chosen for the subject of this study;88 student from each grade.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four treatment groups based on their vocal test grades. Each group consisted of 22 students from each grade and were given different pitch models. R. J. Beautty's pitch matching ability test, modified by this researcher, was used as a testing method, which is composed of 10 questions and 4 evalution standards and was presented in a recorded form sung (or played) by four different model sounds- an adult female soprano, an adult male baritone, a female child's voice, and piano. The children heard the pitch presented by one of four model sounds and was required to reproduce it. The test was evaluated independently by this researcher and one trained evaluator and the test results were analyzed, using one-way ANOVA, and percentage. The finding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t in children's pitch matching abilities by types of pitch models. ; result showed that the female soprano and female child's voice were easier for the children to match. The male baritone and piano were more difficult for subjects to match. 2. In each grad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itch matching abilities of both grade groups by types of pitch models; children made more correct responses to the female soprano and female child's voice than the male baritone or piano. 3. In regard to the variables sex,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itch matching abilities of both gender groups by types of pitch models; children made more more correct responses to the female soprano and female child's voice than male baritone or piano.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