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문인숙-
dc.contributor.author이지은-
dc.creator이지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3Z-
dc.date.issued1993-
dc.identifier.otherOAK-00000001870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839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8708-
dc.description.abstractThe self-concept that formed in early adolescents is formed by interaction with his or her surrounding environment, and it affects through one's life. The underpriviledged adolescents are in the relatively poor family, school and social circumstances for developing positive self concept. Actually, many studies show that the self-concepts of the underpriviledged adolescents are more negative than the adolescents who are in the family of high and middle class. But the social welfare services in Korea for the underpriviledged adolescents counseling programs are unprepared. The most emergent problem in the poor family is thought to be the economical problem, but nowadays the adolescents' guiding problem become another serious family problem among the poor. Therefore the needs of counseling and guiding programs for the underpriviledged adolescents are increasing. So, in this study, the author intended to help the underpriviledged adolescents to enhance their negative self-concept by applying the assertive training which was made by Rakos & Schroeder(1980) and adapted by Byun, Chang Jin & Kim, Sung Hoi for the adolescents in Korea. Furthermore, the author intended to develop and utilize this assertive training as a group work program for the underpriviledged adolescents through evaluating the effect of the assertive training by using objective scales. The author carried out 8 sessions of assertive training on 9 underpriviledged adolescents who live at tenement houses (goverment rental house for the poor). The methods of experimental research were as following: First, author measured pre and post assertiveness by using Rakos & Schroeder's scale. Second, the author measured pre and post self-concept by using Jeung, Won Sik's self-concept scale Third, the author investigated through the case study on the presented problems of unassertiveness, the interventions on the problems, and the changes of assertiveness and self-concept after interven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First, the assertive training helped the undergriviledged adolescents to enhance assertiveness.(P<0.5) Second, the assertive training helped the underpriviledged adolescents to enhance self-concept.(P<0.5) Third, the underpriviledged adolescents had various unassertiveness problems which are passive and aggressive. But by learning the social skill through the assertive training their unassertiveness gradually changed to assertiveness. And simultaneously their self-concept was also enhanced. Terefore, the study proved the assertive training is a very effective group work program for enhancing self-concept and assertivevess of the erpriviledged adolescents. And present author suggest that we should develop various programs for the underpriviledged adolescents who have low self-concepts, and we should devise paticular role playing situations and easier and active group management.;청소년 초기에 형성되는 자아개념은 그가 처해있는 주변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되며 이는 그 개인의 일생에 걸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런데 빈곤 청소년의 경우 일반 청소년들에 비해 가정, 학교, 사회환경에서 긍정적 자아개념을 형성하기에 상대적으로 열악한 위치에 놓여있다. 실제로 이들의 자아개념은 일반 청소년들에 비해 부정적임이 이미 많은 연구에서 밝혀지고 있다. 그러나, 현행 사회복지 서비스는 이러한 빈곤 청소년들을 위한 상담 프로그램의 운영이 미비한 실정이다. 빈곤 가정에서 경제적 문제의 해결이 가장 시급한 문제라 할 수 있으나 청소년 자녀의 지도문제는 빈곤 가정내의 또 다른 심각한 문제로 부각됨으로써 이들을 위한 상담과 생활지도 프로그램의 욕구가 날로 늘어 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빈곤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자아개념 향상에 이미 효과적이라 보고된 바있는 주장훈련을 실시하고 그 효과성을 평가하여 빈곤 청소년들의 낮은 자아개념 향상을 돕기 위한 집단 사회사업 프로그램으로써의 활용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주장훈련 프로그램으로는 1980년 Rakos & Schroeder에 의해 개발되어진 주장훈련 프로그램을 변창진과 김성회(1980)가 우리나라 중·고등학생들에게 실시할 수 있도록 만든 주장훈련 프로그램을 S지역 영구임대주택에 거주하는 9명의 빈곤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총 8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그 효과를 측정하였다. 첫째, 주장훈련 실시 사전-사후 주장행동 평가를 Rakos & Schroeder가 제작하고 김성회가 우리나라 문화적 배경에 맞게 고친 주장행동 평정 척도를 사용하여 비교 분석하고 주장훈련이 빈곤 청소년의 주장행동 향상에 미친 효과를 측정하였다. 둘째, 주장훈련 실시 사전-사후 자아개념 검사를 정원식의 자아개념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비교 분석하고 주장훈련이 빈곤 청소년의 자아개념 향상에 미친 효과를 측정하였다. 셋째, 위의 결과를 토대로 사례분석을 실시하여 개별사례별 주장행동시 제기된 문제와 그 해결과정을 살펴보고, 주장행동과 자아개념의 사전-사후 변화경향을 해석하였다. 그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주장훈련을 실시 후, 빈곤 청소년들의 주장행동에 P < .05 유의수준에서 향상되어 주장훈련이 빈곤 청소년들의 주장행동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방법임이 입증되었다. 둘째, 주장훈련을 통하여 빈곤 청소년들의 자아개념이 P < .05 유의수준에서 긍정적으로 향상되었으며, 이로써 주장훈련이 빈곤 청소년들의 자아개념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집단 상담 프로그램임이 입증되었다. 셋째, 사례분석을 통하여 살펴본 결과, 빈곤 청소년들은 하고싶은 말을 못하고 주저주저 하며 목소리가 작고, 몸이 경직되고, 상대방과 눈을 마주치지 못하는 등 매우 소극적 행동이 나타났으며, 자신의 입장만 고집하고 태도가 진지하지 못하는 등의 공격적 행동이 나타나 다양한 주장행동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자아개념도 9사례 중에서 6사례가 평균 50%이하로 낮아 매우 부정적이었다.. 그러나 주장훈련을 통해 주장행동을 하는 기술을 습득하고 각자의 소극적이거나 공격적인 행동이 자신의 느낌이나 의견을 상대방의 감정을 상하지 않으면서 표현할 수 있는 주장행동으로 변화되면서 보다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형성하게 되었다. 위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빈곤 청소년들의 낮은 자아개념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다 다양한 상담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시, 그리고 주장훈련의 다양한 활용을 위해 빈곤 청소년의 특수한 상황에 맞는 역할 연기 장면 개발과 보다 쉽고 활동적인 운영방식의 시도를 제언 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목적 및 연구방법 = 4 Ⅱ. 이론적 배경 = 6 A. 자아 개념 이론 = 6 B. 빈곤 청소년과 자아개념 = 9 C. 주장훈련 이론 = 15 D. 주장훈련과 자아재념 = 20 Ⅲ. 프로그램의 실천 내용 = 23 Ⅳ. 효과 측정 방법 = 30 A. 조사도구 = 30 B. 자료처리 방법 = 34 Ⅴ. 결과 분석 = 35 A.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35 B. 통계 자료 결과 분석 = 36 C. 개별 사례 분석 = 42 Ⅵ. 결론 = 67 A. 분석 결과 요약 = 67 B. 제언 = 70 참고문헌 = 71 부록 = 7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44009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주장훈련-
dc.subject빈곤청소년-
dc.subject자아개념-
dc.subject사회산업-
dc.title주장훈련을 통한 빈곤청소년의 자아개념 향상 효과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EFFECTS OF ASSERTIVE TRANINIG FOR SELF-CONCEPT ENHANCEMENT OF THE UNDERPRIVILEDGED-
dc.format.pageviii, 8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사업학과-
dc.date.awarded199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