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
dc.contributor.author李賢亞-
dc.creator李賢亞-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2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1869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838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8699-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truct the problem of the 'object' and 'method' of social science with the concept of human nature in Montesquieu's The Spirit of the Laws. And then what is the reason to review the 'object' and 'method' of social science in Montesquieu's? That is because to examine the essence of social science is necessarily related to examine the object and method of social science. This is the preliminary study for i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wo point. First, this thesis suggests the starting point for the integrated definition of social science as the result of the examination of the 'historism' in the Montesquieu's pioneering work. Second, this thesis can devote the rethinking of the philosophical position of Montesquieu. The basic arguments are as follows. In chapter 2, this study treats the 'object' of social science in Montesquieu. Discussion on the 'object' is based on the critical perspective of the established opinion which goes into details in chapter 1. The general viewpoint of the Montesquieu's object of the social science is that Montesquieu think the social phenomena as the reductive results of the established and continuous 'social organism'. This viewpoint this lacks Montesquieu's opinion of human as self-regulating actor. There are three arguments that support this established viewpoint. 1) The ontological negation of the human will and the intended behavior of the human being. 2) The viewpoint that human will is in the outside of the social science. 3) Even though men can change the determinate oders, the motive of his action results from the social organic structure. But this thesis has the critical position against these. Even if Montesquieu postulates the society as a social organism which has its own nature like that of human being, and maintains that all social phenomena result from that society, it is not simply that Montesquieu contends society and social structure without human being is the only cause of the social phenomena. This thesis is against the arguments that human being is only determined by the social structure. This thesis, therefore, attempts reconstruction in the 'historical' approach which supplements the misunderstanding of human in the previous studie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human nature in odor to demonstrate Montesquieu's opinion of human in The Spirit of Laws. Montesquieu views society as 'reality' which influences human and institutions has its peculiarity, irreduceble to human action and its nature. He also understands human as intellectual being who has an ability of thinking, and as self-regulating actor who interacts with society through his concious action. In chapter 3 about Montesquieu's method, this study demonstrate that Montesquieu used not only the method of the scientific 'tendency' which aims at constructing the general and universal law but the method of the anti-naturalistic historicism which distinguished from scientism based on the logic of the natural science. The established arguments which interpret Montesquieu's method as the scientism insists that Montesquieu take an interest in the analysis for the general and universal law of history. Presupposing human's passive attitude, this argument overlooks Montesquieu have an intrest in human activity and the particularity of history, In contrast to the scientific interpretation, Montesquieu offers some reflections on universals and particulars in the study of societies and history. This thesis reconstructs both elements in his comparative method. The analysis of universality about the historical society is discovered in the comparative method of Ideal Type. Ideal Type is the logical instrinsic-structure of each society, which is constructed not by the general-ization of empirical facts but the deductive reasoning. Next, Montesquieu explains the historical particularity of each society by the investigation of general spirit which means the sense of value, the way of thinking of specific societies. General spirit peculiar to each society influences the formation of the laws and institutions of societies. At this point, It is necessary to explain the general spirit in odor to understand the particularity of each society in Montesquieu. Thus, Montesquieu tried to recognize the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of the historical societies in the interaction between society and human synthetically. Therefore, he deserves calling for the forerunner of synthetical cognition of history.;본 논문은 몽테스큐(Charles Louis de Secondat Montesquieu)의 『法의 精神』(The Spirit of the Laws)에 나타난 사회과학의 '對象'과 '方法'에 대한 논의를 그의 人間本性論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몽테스큐의 사회과학의 '대상'과 '방법'에대한 재조명의 필요성은 사회과학의 본질규명을 위한 작업, 즉 사회 과학의 대상과 방법의 규명작업이 학문적 당위로 요청된다는 점과 관련된다. 이글은 이러한 목적을 위한 예비적 연구의 성격을 지니는 것으로서 몽테스큐의 사회과학의 '대상'과 '방법'에 대한 기존 논의의 비판적 재구성을 통해 크게 두가지의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사회과학의 선구적 저작속에 내포된 '歷史主義'의 내적논리와 그 근본전제를 검토함으로써 보다 통합적인 사회과학의 정의규정을 위한 출발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이러한 작업을 통해 몽테스큐의 학문영역과 방법에 대한 정당한 사상사적 자리매김에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의 기본적인 구성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몽테스큐의 사회과학의 對象에 대한 논의는 제 2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데 몽테스큐의 사회과학의 '대상'의 문제를 재구성하는 작업은 기존의 논의에 대한 다음과 같은 비판적 시각으로부터 출발한다. 몽테스큐의 사회과학의 '대상'에 관한 기존의 견해는 몽테스큐가 그 연구대상인 社會現象을 고정적이고 지속적인 그 자체의 본성을 가진 '社會有機體'로 환원되는 것으로 파악했다고 해석한다. 이러한 견해는 사회현상을 全體로서의 사회와의 연관성 속에서 조망하려고 했다는 점에서 우리에게 總體性의 觀點을 제공한다. 그러나 사회 자체의 고유성과 독자성에 대한 그들의 강조는 몽테스큐의 인간에 대한 견해를 그들의 틀 안에 수용할 수 없다는 한계를 지닌다. 이들의 몽테스큐의 인간론에 대한 해석은 크게 세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그것은 1. 인간 의지 혹은 인간이 의도적 행위를 할 수 있는 능력에 관한 부정, 2. 인간 의지의 발휘가능성을 우연성이나 일탈적민 상황과 관련하여 이해함으로써 인간 의지의 능동성에 관한 문제를 사회과학의 영역밖의 것으로 보는견해, 3. 인간의 법칙파괴는 사회과학의 영역일지라도 인간행위의 동기는 구조적 원인에 기인한다는 견해로 요약된다. 그러나 몽테스큐가 인간의 본성만큼 고정적이고 지속적인 그자체의 본성을 지닌 사회유기체로서의 사회를 상정하였고, 또 사회현상은 그러한 사회로 부터 유래하는 것이라고 주장하였을 지라도, 그것이 곧 몽테스큐가 개인을 전적으로 배제한 사회와, 사회구조 자체로 전적으로 환원되는 사회현상을 상정하였다는 결론으로 귀결될 수는 없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科學主義的 脈絡에서 인간을 社會構造로 환원시키는 관점에서 이해하는 이러한 입장에 반대한다. 본 논문은 몽테스큐가 사회현상들이 '실재'로서의 사회에 기반하는 것이라고 파악하는 기존의 논의를 수용하면서도 그들의 몽테스큐의 인간에 대한 잘못된 이해를 보완하는 맥락에서 재구성을 시도한다. 이러한 재구성은 '歷史主義的' 脈絡에서 바르게 시도될 수 있다. 왜냐하면 이때만이 자율적인 행위자로서의 인간에 대한 몽테스큐의 견해가 그의 사회구조적 관점과 결합되어 이해되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와같은 본 논문의 주장을 논증하기 위해서는 몽테스큐의 人間本性論에 대한 견해를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몽테스큐가 한편으로는 1. 인간의 의도적 행위로 환원될 수 없는 스스로의 구조와 역사를 지니며, 또한 2. 그 구성부분들인 인간과 제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에서 '實在性'을 가진 사회를 상정하였음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몽테스큐의 논의 내에서 1. 인간은 그 존재적 특성상 계발가능한 이성을 지닌 '效l的 存在'임을 주장하면서 2. 사회속에서 그 의식적인 행위를 통해 실재로서의 사회와 역동적인 관계를 맺으며 역사를 형성해 감을 논증하였다. 두번째로 몽테스큐의 사회과학의 '方法'에 대한 제 3장에서 이글은 몽테스큐가 과학주의적인 방법만을 사용하였다는 기존의 주된 해석들을 거부하고, 몽테스큐의 방법내에는 보편적인 과학적 법칙을 수립하려는 과학주의적 '경향' 뿐만아니라 자연과학적 원리와는 구분되는 사회과학방법의 독자성을 주장하는 反自然主義的인 歷史主義的 方法이 모색되고 있다는 점을 해명하려하였다. 이를 위해 이글은 먼저 몽테스큐의 방법을 과학주의적으로 해석하는 기존 견해 중에서 사실의 완전성을 가정하면서 논리 실증주의적인 의미에서 몽테스큐를 과학주의적으로 해석하는 입장을 비판하면서 몽테스큐가 이론의 진리성은 역사적인 경험적 사실에 의해서 뿐만아니라 사물의 본성 즉 사물자체가 지니는 고유한 논리적 구조와 그것이 전체와 지니는 관계적 속성에의해 판단되어야 한다고 한 점을 지적하였다. 또한 몽테스큐를 과학주의적으로 해석하는 기존의 논의는 몽테스큐가 친자연 과학적인 논리에 기초하여 역사의 보편법칙에대한 해명에만 관심을 가지는 것으로 해석함으로서 인간의 수동성을 전제하고있는 데 이러한 해석은 그가 인간의 능동성및 역사적 특수성에 대해서도 관심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을 간과한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글은 몽테스큐가 역사적인 사회들이 지니고 있는 보편성에대한 탐구 뿐아니라 역사의 특수성에대한 인식을 모색하고 있다고 본다. 이 양자를 모두 포섭하는 방법을 그의 '比較의 方法'속에서 재구성해 보았다. 먼저 역사상에 나타난 사회들의 유사성과 보편성에 대한 해명은 몽테스큐의 理念型에 의한 비교의 방법속에 잘 나타나는데 몽테스큐에있어 이념형은 결코 경험적 사실의 일반화가 아니라 인식 주체의 논리적 추론에의해 만들어지는 것으로 이성에의해 演繹的으로 파악된 각 사회들의 논리적인 내적구조이다. 다음으로 몽테스큐는 각사회가 지니고있는 역사적 특수성에대한 설명을 이념형의 틀속에서가 아니라 특정사회의 고유한 가치관 또는 사고방식을 의미하는 一般精神에대한 탐구를 통해 시도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것은 역사적 특수성을 각사회를 단위로하는 연구를 통해서 그러한 사회의 구조의 특수성을 유발시키는 요소를 파악하는 방법이다. 몽테스큐에있어 각사회에 고유한 일반정신은 각사회의 고유한 법과 제도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데 그점에서 일반정신에 대한 탐구는 각사회의 특수성의 해명과 연관된다. 이와같이 몽테스큐는 사회과학의 '대상'면에서는 사회와 역사를 인간들의 행위와 본성으로 환원되어질 수 없는 자신의 고유성을 지니는 '사회'와 자율적인 행위자로서의 '인간'간의 상호작용 속에서 파악하였으며 '방법'면에서도 역사적 사회들의 보편성과 특수성에 대한 인식을 종합적으로 시도하려 하였다는 점에서 결론적으로 그를 總體的인 歷史認議의 先驅者로 명명할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論文槪要 = ⅰ Ⅰ. 序論 = 1 Ⅱ. 『法의 精神』에 나타난 사회과학의 '對象'의 문제 = 18 A. 사회의 실재성 = 18 1. 생명체로서의 사회 = 20 2. 사회의 역할 = 23 B. 자율적 존재로서의 인간 = 34 1. 지적 존재로서의 인간본성 = 35 2. 입법자의 정신 = 43 Ⅲ. 『法의 精神』에 나타난 사회과학의 '方法'의 문제 = 53 A. 보편법칙과 역사적 특수성에 관한 이중적 견해 = 53 1. 역사적 사실(historical facts)에 대한 이중적 견해 = 55 2. 연구주체와 대상의 관계에 관한 이중적 견해 = 59 B. 비교의 방법 = 62 1. 이념형의 사용에 의한 비교와 '사회의 보편성' = 64 2. 역사적 특수성의 인식과 비교 = 72 Ⅳ. 結論 : 總體的인 歷史認識의 先驅者로서의 몽테스큐 = 85 參考文獻 = 98 ABSTRACT = 10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30024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몽테스큐-
dc.subject법의 정신-
dc.subject사회과학-
dc.subject대상-
dc.subject방법-
dc.subject인간본성론-
dc.subject.ddc300-
dc.title몽테스큐의 『法의 精神』에 나타난 社會科學의 '對象'과 '方法'의 問題-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그의 人間本性論에 대한 하나의 社會科學哲學的 眺望-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object' and 'Method' of the social science in the Spirit of the Laws : A Perspective of Philosophy of Social Science about Montesquieu's Concept of Human nature-
dc.format.pageiv, 10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정치외교학과-
dc.date.awarded199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정치외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