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7 Download: 0

공간 효율성 증진을 위한 가구디자인에 관한 연구

Title
공간 효율성 증진을 위한 가구디자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FURNITURE DESIGN FOR INCREASED SPACE EFFICIENCY : Focused on common space of living room and kitchen
Authors
심재희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실내디자인전공
Keywords
공간 효율성가구디자인거실주방공유영역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권영걸
Abstract
60년대 이후 경제성장을 통하여 근대화의 길을 걸어오는 동안 수많을 시행 착오와 문제점을 맞이 해왔다. 그 중 하나가 인구의 도시집중 현상이다. 이 현상으로 야기되는 주택의 부족은 특히 심각하여 여기서 발생하는 각종 병폐가 사회적 문제가 되어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현실에서는 주거공간의 협소화는 필연적 일 수 밖에 없으며 이에따라 주거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이 요구되고 있음은 당연하다. 특히, 주거내의 한정된 가족 공동 생활공간에서의 가구의 활용은 더욱 의미가 크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요구에 부합될 수 있는, 가족간의 중요 단란공간인 거실과 주방의 공유영역에서 필요한 행위를 수용할 수 있는 가구를 살펴보고자 한다. 상황에 따라 공간의 내 벽도 될 수 있으며 수납과 장식, Home Bar, 간이식사까지도 겸하는 가구를 연구, 분석하고 공간의 활용도를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논문의 전개방법으로 첫째, 서론은 연구의 목적, 범위 및 방법에 대한 설정이고 2장에서는 연구를 위해 일반적인 가구의 기능, 개념과 종류, 재료등을 조사하였다. 3장에서는 실질적인 공간의 활용을 살펴보기 위한 방안들을 연구하였다. 4장은 본 논문의 관심사인 거실, 주방, 식당의 내용과 각 실의 연결형태를 사례별로 알아보아 가구디자인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5장에서는 본인의 디자인 의도, 계획, 전개등을 제시하여 현재 L.D.K공간에서의 가구의 효과적인 적용방법에 대해 몇가지 안을 보였다. 6장에서는 전술한 내용들을 바탕으로 가구의 적극적인 활용과 디자인 개발의 중요성을 인식하였고, 우리의 환경을 정신적, 물리적으로 쾌적한 공간으로 창조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From the late sixties during the economics growth has been rapidly proceeded, we are facing many problems. One of them is the serious drift of population to the cities and which causes lack of houses. Accordingly the living spaces become small and efficient usage of living space has been inevitably requested. In the limited family living spaces, well designed furnitures for increased space efficiency are especially in necessity. In this paper, those furnitures which can play a role in the common space for both living room and kitchen corresponding to the above necessity, are under study. Upon the circumstances which can be a partition (wall), home-bar, dining table, convergent furniture and a decorations. Those are examined and analyzed for efficient utilization of limited space. Based on the facts mentioned above, contents of the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1. Goal of the study, extent and method of this study are described. 2. Of the general furnitures, function, concept, type and materials are examined 3. Several practical schemes for increased space efficiency are studied. 4. As a concern of this paper, constitutions of living room, dining room and kitchen are examined, and also the linking forms of each spaces are examined through several case studies. As a result of these examinations, the importance of furniture design is recognized. 5. Based on writer's own design concept, plan and development, several programs which can apply to current L. D. K. spaces are presented. 6. Together with all of motioned above, living room-kitchen is importantly recognized for family conversation and family harmong as a unique place of all family members and three types of furnitures placed in common space of living room kitchen are presented through functional, structural analysis of well designed furnitures for family community life. Various types of furnitures can offer variety to our life style. I want to help to create comfortable space in both psychologically and physically by presenting practically possible three types of furniture placed in common space of living room and kitch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실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