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혜주-
dc.contributor.author김미희-
dc.creator김미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9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1799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835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7990-
dc.description.abstractClothes are one of the expressional ways of inner desires and also a clue by which you can determin others visually. Therefore, the concerns for clothes are not simply an aesthetic pursuit but also a natural result generated both in natural and social circumstances. With changing time, the concept and consuming tendency of clothes become changed being influenced by many circumstancial factors such as rapid industrial development, the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s, and so on. Nowabays people show a psychological trend to put on clothes different from other's to break off their desires owing to their social needs such as superiority and/or inferiority complex and revealing avarice or anxiety such as uncertinty on their future. As a result, clothes have greater meaning in the artistic, mental values rather than in the material concepts. When regarding them as moving textile arts instead of simple practical use. though they require practical beauty for they are supposed to be put on by men, the clothing made utilizing hand-made textile can be an effective way to recover humanity or escape from the monotonous and automatized way of thoughts of contemporary citizens. Accordingly, in this study human body is recognized as a medium of art and, in order to look for the meaning of new expressional trend applying a sort of artistic element to clothing, a method which points to the high value-added expensive fashion business is suggested by rerecognizing human values and having the man-made goods come to life again.;의복은 인간의 내적 욕구의 표명의 하나이며, 의복이라는 시각적 상징으로서 한 개인을 판단하는 단서가 된다.(1) 시대가 바뀌면서 고도의 산업발전, 생활수준의 향상 등 많은 환경변화의 영향으로 인해 의복의 개념과 소비성향이 변화하였다. 현대에는 우월감 혹은 현시욕 같은 사회적 욕구 및 미래에 대한 불안해소와 아울러 특히 산업화 기계화에 의해 표준화된 획일적인 기성의상으로 부터 해방되고자 하는 착장심리 경향이 뚜렷하다. 그 해결 방안으로서 의상이 옷이라는 물질적인 개념보다는 예술이라는 정신적인 가치자체에 두는 의미로 크게 확대되었으며, 인체에 착용되는 단순한 실용주의로만 해석하지 않고 창조적 정신심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인간성 해방을 위한 해결방안으로 요구되었다. 따라서, 창작성을 중시하고, 대중 의상디자인에 선구자적 역할을 하며 한 국가의 예술수준을 평가하는 역할을 하는 참다운 고급의상(High Fashion)이 꾸준히 요구되고 있고 더욱이 미술의상은 현대적 대중심리의 충족의 일환으로 발전될 것이다. 따라서, 연구자는 새로운 시대에 걸맞는 표현양식의 의미를 추구하기 위해서 인체를 미술의 매체로 인식하고 예술적 요소를 의상에 적용함으로써 수공예 직물과 고급의상(High Fashion)의 참다운 결합을 통한 방법 및 그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그리하여 수제품 부활에 의한 인간가치의 재인식과 더 나아가 직물산업의 고부가가치 지향성을 해결하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목적 = 1 B. 연구 방법 및 범위 = 2 Ⅱ. 이론적 배경 = 3 A. 창작의상의 개념 = 3 1. 고급의상과 미술의상의 비교 분석 = 10 2. 창작의상에 나타난 공예적 직물고찰 = 12 B. 직물 산업의 현황 = 21 1. 현재 직물산업의 동향 분석 = 21 2. 고급의상계에서 수공예직물의 사용실태 = 24 Ⅲ. 작품제작 및 분석 = 30 A. 작품제작의 배경 = 30 B. 작품제작 방법 및 소재 = 31 C. 작품분석 = 32 Ⅳ. 결론 = 43 참고문헌 = 50 ABSTRACT = 5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1515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공예직물-
dc.subject고급의상-
dc.subjectHigh fashion-
dc.subject적용실태-
dc.title공예직물의 고급의상(High fashion) 적용실태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작품제작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FUTRE DIRECTION OF PRESENT TEXTIL FASHION INDUSTRY-
dc.creator.othernameKim, Mi Hee-
dc.format.pagevii, 5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직물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92.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직물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