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李慧渟-
dc.contributor.author金保京-
dc.creator金保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9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1798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835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7989-
dc.description.abstractThis paper is to study the poems which the Tang (唐)'s poets gave to the Shillan (新羅人) who stayed there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studying materials of the 1iterature at the end of Shilla and beginning of the Corea (高麗) that is characterized a serous developing period in the history of the Korean-Chinese poetry and to examine multilaterally it. First, I examined how to evaluate the 1iterature at the end of ShilIa and beginning of the Corea in the given history of literature or the treatises. As the result of this, first they have regarded this period as the point of development for the Korean-Chinese poetry. Secnnd, they have seen this poetry-style at, that time Man Dang Poong(晩唐風). luxurious or fascinating style in the end of Tang), Third, they have given preponderance to Choe Cheewon (崔致遠)'s pomes absolutly. Above a1l developed my arguments about the latter two points in the level of raising the questions. In the second chapter, I arranged the donative pomes(贈詩) which are recorded in Choen Tang Si (『全唐詩』) that is the main text of this paper. And the11 I proved that they are a certain literary expression of their relations between a giver and receiver and that the foreigner' s donative pomes could be usefu1 of understanding our1iterature. In the third chapter, I studied influence of the literature that the Shi1lan have recepted through investigating 1iterary groups of the donative poets and their associations with the Shillan. As the resurt, I could look into that the donative poets, who were the KO Yem Pa (苦吟派) such a Jia Dao (賈島) - style, the successors af the middle of the Tang dynasty's Sin Altboo Undong (新樂府運動), the poets from monk kept eminent tone and interested in social problem, besides Zhang Qiao (張喬), Ma Dai (馬戴) etc., were predominent than the poets of the Man Dang Poong. Even though the Shillan associations with the Tang's poets are not necessarily to shape the Shillan poetry-style, the fact that its of Tang, which the ShilIan contacted, is so various and there are little poems with a tendency to style of Man Dang Poon calls for a grave reflection of characterizing the poems at th is period Man Dang Poong. In the fourth chapter, first I examined the contents of the donative pomes with clssifying by social status of the literary men, monks, delegations etc, and the forms of their acts in their1 literature and culture. The donated people from Shilla took up the equivalent component ratio of the literary men and monks. Besides the deligation recorded some works, too. Having their different careers the same as studying, seeking after truth and diplomatic negotiation, they all had their good capacities and developed the various acts of literature with associating Tang's poets closely. It enables to suppose that the various men of the social status as well as Binkongjeja (賓貢諸子) such a Choe Cheewon maked a good contribution. And then, I arranged the character through the donative pomes as perception of physical distance and cultural identity. The sense of physical distance owing to sea between two conturies added to sorrowing between the parting people, which could be overcomed by stressing their spiritual tie-sense of being one family in the culture and institutions. The poets from Tang who confirmed the common level of the culture from the others also recognized the Shillan as themselves and didn't make the formal applause at all. It means that the Shilla's level of the culture and literature gained the Tang's classical type. In the fifth chapter, I synthesized the literary historical meanining of the donative poems' study with the supplement of the studying materials, revaluation to the level of the Shilla-Chinese literature and re-examination on the Man Dang Poong. Written by foreigner of the Tang's people, the donative poems were produced by association with the Shillan in the long time and premising the understanding of their learning and I itet-ature each other. Therefore it is to confirm, on the contrary, the literaryact and level of the Shillan through the donative poems in order to contribution to understanding the Chinese pomes of the lack of materials at the end of Shilla and beginning of the Corea that the purpose and the meaning of this paper are.;본 논문은, 羅末麗初期 漢詩硏究에 있어 제기되는 문학연구자료의 한계를 극복하고, 이 시기 문학양상에 대한 다각적인 검토를 위해 唐詩人이 渡唐新羅人에게 贈與했던 시를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였다. 먼저, 기존 문학사에서 羅末麗初期의 문학을 어떻게 서술하고, 평가하였는지 검토한 바, 첫째 이 시기를 한시의 발전기점으로 규정하고, 둘째 이때의 시풍을 晩唐風으로 규정하며, 셋째 崔致遠 개인에 대해 절대적으로 편중, 서술하고 있었다. 필자는 이 가운데 특히 뒤의 두 가지에 대한 문제제기의 차원에서 논의를 전개하였다. Ⅱ장에서는 우선 본 논문의 연구자료인 『全唐詩』 所載 贈詩를 정리·검토하였다. 그리고 贈詩가 贈人과 受贈人 사이에 전제된 특별한 관계의 문학적 표현임을 밝혀 외국인이 지은 贈詩가 우리 문학을 이해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Ⅲ장에서는, 贈詩 작자의 文學流派 및 新羅人과의 교유양상을 살펴봄으로써 신라인이 과연 어떤 문학적 풍토 속에서 활동하고 있었는지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新羅人에게 시를 준 唐詩人들은 綺艶한 晩唐風을 보인 시인보다는 賈島類의 苦吟派, 中唐新樂府運動을 계승한 시인, 상당한 문학적 격조와 현실인식을 갖춘 憎侶詩人, 그 외 張喬, 馬戴같이 晩唐風으로 규정할 수 없는 시인들이 더 우세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이들과의 교유 사실이 반드시 신라인의 시풍까지 규정하는 것은 아니라 할지라도, 신라인이 접촉했던 당의 시풍이 이토록 다채롭고 더욱이 晩唐風의 전형적인 색채를 드러낸 예는 별로 없다는 것은, 崔致遠등 賓貢諸子 시에 있어 晩唐風으로 설명할 수 없는 면모가 있다는 사실과 함께 羅末麗初期 詩를 晩唐風으로 단정한 기존의 견해에 대해 일정한 반성을 촉구한다. Ⅳ장에서는 먼저 受贈新羅人을 신분별로 나누어 贈詩의 內容 및 그에 나타난 신라인의 문화 내지 문학적 활동의 양상을 고찰하였다. 贈詩의 受贈新羅人은 留學生등 文人과 憎侶가 거의 대등한 비중을 자치하고 있었고, 使節들도 일정한 편수를 기록하고 있었다. 이들은 學問 또는 文學, 求法, 外交的 交涉등 그 본업은 달랐지만 모두 상당한 문학적 역량을 갖추고 있었으며, 唐詩人들과 친밀한 문학적 교유관계를 유지하면서 다각적인 문학적 활동을 전개하고 있었다. 이것은 崔致遠등 賓貢諸子뿐만 아니라 그 외 다양한 신분의 신라인들 또한 蘿唐의 文學交流 및 新蘿漢文學에 기여한 바 적지않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어 贈詩 전반을 관통하는 特性을 物理的 距離認識과, 文化的 同質意識으로 나누어 살펴 보았다. 양국간의 隔海로 인한 물리적 단절감은 보내는 자와 떠나는 자의 이별의 슬픔을 가중하였지만, 이것은 文化와 制度에 있어서는 다같은 한 식구라는 精神的 紐帶感을 강조함으로써 극복될 수 있었다. 그리고 상대에게서 공동의 문화수준을 확인한 唐詩人은 新羅人을 대등한 시선으로 바라보았으며 결코 분에 넘치는 형식적인 칭송은 던지지 않았다. 여기에서 신라의 문화 및 문학의 수준이 唐이 제시한 普遍約 典範을 획득하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Ⅴ장에서는, 앞서의 논의를 종합하면서 贈詩硏究의 문학사적 의의를, 첫째 羅末麗初 한시연구에 대한 자료보충, 둘째 新羅漢文學 水準에 대한 재평가, 셋째 晩唐風의 재고찰등 세 측면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贈詩는 唐人이라는 외국인이 지은 것이지만, 그것은 신라인과의 오랜 기간 걸쳐 교유하고 서로에 대한 학문 및 문학적 이해를 전제하고서 출현한 것이기에 역으로 우리 신라인의 문학적 활동과 수준을 확인하는 일이 가능했다. 아울러 贈詩를 통해 자료가 영성한 국내자료로써는 밝힐 수 없었던 蘿末麗初期 한시의 새로운 면모를 해명할 수 있었던 것도 본 논문의 갖는 의의 중 하나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Ⅰ. 序論 = 1 A. 硏究의 目的과 方向 = 1 B. 硏究現況과 問題點 = 3 Ⅱ. 究資資料의 整理와 檢討 = 12 A. 『全唐詩』 所載 贈詩 검토 = 12 B. 贈詩의 개념 및 贈人과 受贈人의 관계 = 14 Ⅲ. 贈詩作者의 文學流派 및 新羅人과의 交遊樣相 = 22 1. 綺艶한 詩風의 詩人 = 23 B. 現實主義的 詩人 = 25 C. 苦昑派 時人 = 33 D. 憎侶詩人 = 37 E. 張喬와 그 밖의 詩人들 = 41 F. 기타 = 45 Ⅳ. 贈詩의 內容과 特性 = 52 A. 贈詩의 內容 = 53 1. 文人에게 준 시 = 53 가. 及第者에 대한 稱頌과 未來에 대한 期待 = 55 나. 落第者에 대한 慰勞 = 64 2. 僧侶에게 준 시 = 69 가. 佛敎修行의 대단한 境地 = 70 나. 學問的 才能과 碑文請求 = 75 3. 使節에게 준 시 = 81 B. 贈詩의 特性 = 91 1. 物理的 距離認識 = 91 2. 文化的 動質意識 = 93 Ⅴ. 贈詩硏究의 文學史的 意義 = 99 A. 蘿末麗初 漢詩硏究에 대한 資料補充 = 99 B. 新蘿漢文學 水準에 대한 再評價 = 103 C. 晩虜風에 대한 再考察 = 106 結論 = 116 참고문헌 = 120 ABSTRACT = 12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39519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전당시-
dc.subject당인증신라인시-
dc.subject나말여초-
dc.subject한시-
dc.subject.ddc800-
dc.title『全唐詩』 所載 唐人贈新羅人詩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羅末麗初 漢詩의 再照明을 위하여-
dc.title.translated(A) Study of the Poems Which Tang(唐)'s Poets Donated to Shillan(新羅人) in Cheon Dang Si(『全唐詩』)-
dc.creator.othernameKim, Bo Kyung-
dc.format.pageii, 12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199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