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
dc.contributor.author임신애-
dc.creator임신애-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9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1798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835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798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정보화 정도를 측정해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특히, 정보화 정도를 측정하는 한 방법으로 문헌정보부문의 지표를 세워 이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국가의 정보화정책 수립에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문헌정보부문을 대상으로 연구한 것은, 정보를 전달하는 기능을 가진 이 부문이 정보화 진행정도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리라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연구는 문헌정보의 선정과 지표의 분석순으로 진행하였다. 우선 8개 종류의 문헌정보를 선정하여 이들의 100만명 당 보급율을 구한 뒤, 1980년의 우리나라 수치를 100으로 하여 상대지표를 구하였다. 지표는 매체별로 미국·일본·한국·싱가폴을 비교한 뒤 전자계와 비전자계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마지막으로 선행 연구결과와 본 연구의 결과를 상관관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정보부문의 증가는 정보화 진행과 더불어 지속적으로 성장해 나가고 있으며 특히 전자계 문헌정보의 경우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발전해 나가고 있다. 이들 중 가장 급격한 증가현상을 보이는 것은 팩시밀리와 데이타통신이다. 다만, 전보와 텔렉스는 새로운 매체의 등장에 따라 그 보급이 감소되고 있는 추세이다. 둘째, 문헌정보 분석에 의하면, 우리나라는 미국 및 일본과 비교하여 정보화정도가 20년 정도 뒤져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셋째, 문헌정보부문을 이용한 정보화 정도의 측정연구는 선행 정보사회 측정 연구 결과들과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문헌정보부문을 이용한 연구는 정보화 측정 연구로서의 타당성이 입증된다. 연구 결과를 기초로 하여 우리나라의 정보화정책과 정보사회측정 연구에서 고려해야 할 점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사회에서 정보는 개인생활의 편리와 질적 향상을 가져다주는 것일 뿐 아니라 국가적으로 중요한 전략자원이기도 하다. 따라서 정보의 활용은 국가발전과 직결될 만큼 그 역할이 크다. 그런데 본 연구의 결과, 우리나라의 정보화수준은 미국과 일본에 비해 20년 정도 뒤떨어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요한 자원으로 등장한 정보의 활용을 위해서는 국가차원에서 효율적인 정보정책의 수립과 실행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조사대상 국가에서 모두 문헌정보 부문은 그간 전자계를 중심으로 발전하여 왔다. 그리고 지금까지의 추세로 보아 앞으로도 지속적인 발전이 예상되므로 이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요구된다. 미국과 일본의 발전추세를 보면 특히 발전이 가속화될 것으로 보이는 것은 데이타통신 부문이다. 셋째, 정보화라는 과제를 달성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생산된 정보들을 활용하고 사회적으로 고르게 배분하는 것도 간과할 수 없는 문제이다. 오늘날 선진국에서 정보과잉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은 정보의 공급보다는 수요능력이 한계에 달했기 때문일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정보화추진과 더불어 정보의 활용이라는 문제를 고려해 나가야 할 것이다. 네째, 연구과정에서 통계체계의 미비함은 큰 장애였다. 이것은 특히 우리나라의 통계를 조사할 때 두드러진 것이었다. 범위가 다르거나 누락된 통계치들을 사용하는 것은 연구의 정확성과 신뢰도까지 떨어뜨릴 위험이 있다. 정보화정도의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는 각종 통계체계의 구축이 시급한 과제라고 하겠다.;The production, processing and distributing of information is fast becoming a major activity of the world. Many nations try to use it and build a good information policy. For this, a measure of the nation's informatization is essential. The basic idea of this study is that knowledge and inforamtion are becoming the strategic resources and transforming agents in the information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ulfil two major objectives with regard to the analysis of the document-information indicator in information society. First, this study purposes a dimension of document-information in information society. Second, this investigates an empirical study of the document-information and use it for information policy. The indicator used for this study is based on a quantity of media share, and 8 media are; books, periodicals, newspapers, telegrams, telex, facsimilies, data communications. After analyzing 8 media, electric document-information and noneletric document-information media are compared. In addition, correlations of four study on measuring of informatization level a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were as follows: 1. An analysis of document-information is performed to show characteristic along with a process of informatization. 2. Compared with Japan and U.S.A., the level of informatization of Korea is very delayed: 20 years are delayed. 3. Correlations analysis is performed among 4 studies on measuring informatization level. The result shows that signifigant relations emerged among them. That is a good support for this study. 4. Support for electric document-information is needed. For last several years, that part was fast developing, and same trend is predicted. 5. Preparing a statistical system is a very important task, especially in Korea. 6. Inaddition to development in information area, the practical way for using information is to be regarded, Because the real problem is not supplying information but using i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방법과 범위 = 3 Ⅱ. 정보사회에 관한 이론적 배경 = 5 A. 정보사회의 개념 = 5 B. 정보사회수준의 측정 방법 = 13 C. 선행연구 = 23 Ⅲ. 문헌정보지표의 설정 및 분석 = 27 A. 문헌정보지표의 설정 = 27 B. 문헌정보지표 분석 = 31 1. 도서 = 31 2. 정기간행물 = 34 3. 일간지 = 36 4. 우편 = 38 5. 전보 = 40 6. 텔렉스 = 42 7. 팩시밀리 = 44 8. 데이타통신 = 45 C. 전자계 문헌정보지표와 비전자계 문헌정보지표 비교분석 = 50 D. 선행 정보사회측정 연구들과의 비교 = 56 Ⅳ. 요약 및 결론 = 68 참고문헌 = 72 ABSTRACT =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2515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문헌정보지표-
dc.subject정보사회-
dc.subject정보통신기기-
dc.subject도서관-
dc.title문헌정보지표의 분석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Analysis of Document-Information Indicator-
dc.format.pageix, 8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도서관학과-
dc.date.awarded199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