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65 Download: 0

18, 19세기 함경도 지역의 유통로 발달과 상업활동

Title
18, 19세기 함경도 지역의 유통로 발달과 상업활동
Other Titles
Development of Distribution Channels and Commercial Activities of Hamkyong Province in 18, 19 Century
Authors
高丞嬉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학과
Keywords
함경도지역유통로발달상업활동19세기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배용
Abstract
This thesis is a research to verify through regional case studies that the merchandise monetary economy in the latter period of the "CHOSUN" dinasty was so developed that the circuiation network of merchandises was established nationwide. It has been revealed by various of the previous historians that the "CHOSUN" society, which was based on the economy of agriculture-centered self -sufficiency, had changed since the 18th century with development of a new economic structure of the merchandise monetary economy. In addition to economic development, this also meant that each region of the Chosun had developed within a single life sphere keeping well balance. This change is well verified when we can prove that the most isolated and under-developed region had also experienced development of the circulation economy and raised its status in the nation under this circumstance. Therefore, this study, by choosing Hamkyung province which had been regarded as strange land even after its incorporation into "CHOSUN" until the latter period, is to show that the commercial activities developing in that province were spreading all across the nation. Hamkyung province was in fact isolated politically and economically although it was regarded important in the surface because it was the homeland of the founder Lee of the "CHOSUN" dinasty. Rather, it was affected comparatively less by the Confucianism due to its nature of geographical remoteness in the border, and this characteristic made impossible for its people to live on self-sufficiency which then led to the development of commercial activities without any resistances. The goods trade of Hamkyung province was taking place under the national network going beyond its own region accompanied by the nationwide commercial development since 18th century. This was become more activated because its regional products of the Dried Pollack(北魚) and the Hemp Clothes(麻布) were in national demand and the market was very brisk in furthering the circulation channels. Other conditions also made possible for Hamkyung province to be connected with the national economic network through its distribution channels. they were, first, the exploration of "SAMBANG-ROAD"(三防路) which linked the province to such urban areas as Seoul and Kaesung which were commercial focal points of the Chosun era, Whanghae province, and Pyungan province. The other condition was development of sea road across the nation. Through these commercial roads, the products of Hamkyung province were supplied in the nation and the Hamkyung people could get their commodities like rice and cotten clothes as well. In general, the Hamkyung people exchanged the Dried Pollak, Hemp Clothes, and cotton clothes by land and the Dried Pollack and by sea. As the demand for such special products as Ginseng(人蔘) and Antler of Deer(鹿茸) increased, a network was established in Hamkyung province where people exchange them with the commodities collected in the coastal area. The active commercial activities also brought out the development to merchants themselves, the main body of all these exchanges and circulations, so that they were becoming more specialized and differentiated. In the land, it was Peddlers(褓負商) who were active at regional markets, and the outside merchants were dealing with the whole nation in the Dried Pollacks and Hemp Clothes. In Wonsan and Hamheung areas where goods were collected and distributed, certain products were monopolized by big merchants who had abundant capital and power background. This shows that the wholesale type of commerce(都賣商業), one characteristic of Chosun era's commerce in the latter period, was developing in Hamkyung province as well. The vessel merchants were futher specialized into two classes first, the marine commerce class(海商) who collected marine products in Hamkyung, and the shipowner class who directly dealt with Kyungsang province through searoad of the east sea. The master class was also developed in the focal areas of the coastal commerce playing a key role in the circulation of marine products, and they distributed the Dried Pollacks all over the nation through these vessel merchants. These various specializations of the merchants thus meant that the commercial activities of Hamkyung province was coming to fall under a category of economic structure going beyond simple level of the mutual exchanges between have-nots. As they were expanding thier activities throughout the nation, Hamkyung province was placing itself firmly in the national network of whole economy. Therefore, the merchandise monetary economy developing in the 18th and the 19th centuries of the Chosun society was a type of economic change which were found everywhere across the nation. This implied that the Chosun society was coming out of the stereotyped economy of the medieval times and developing with various economic structures.;이 논문은 조선후기에 전국적으로 형성되어 있던 商品流通網을 이용하여 상업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었음을 함경도 지역의 사례를 통해 확인해보려는 연구이다. 농업 중심의 자급자족적 경제에 바탕을 두었던 조선사회가 18세기 이래 상품화폐경제라는 새로운 경제 범주가 성장하며 변화되고 있었음은 선학들의 다양한 연구를 동해 검증되어 왔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히 경제상의 발전이라는 측면뿐아니라 전국의 각 지역이 단일한 생활권 내로 편입되어 발전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였다. 이같은 점은 가장 낙후되고 소외되어 왔던 지역에서도 유통경제가 발전하였고 이를 통해 전국적인 생활권 내에서 그 지위가 성장하고 있었음을 증명할 수 있을 때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따라서 본고는 우리나라 강역 내에 편입된 이후에도 조선후기까지 가장 후진 지역으로 평가되고 있던 함경도 지역을 선택하여 18세기 이래 이 지역에서 발달하고 있던 상업활동이 전국적인 규모로 확대되어 나가고 있었음을 밝혀보고자 한 것이다. 함경도는 조선 건국자인 태조의 고향이라는 점에서 표면적으로는 중요시되고 있었지만 실질적으로는 정치, 경제적으로 소외되어 왔다. 그러나 변경의 오지였기 때문에 유교 이데올로기의 침투를 상대적으로 덜 받았고, 또 지형적인 특색으로 자급자족이 불가능하여 일찍이 상업활동이 별다른 저항없이 이루어질 수 있었던 지역이기도 하였다. 함경도 지역의 상품교역은 18세기 이래 전국적인 상업발달에 따라 지역범위를 벗어나 전국 소비지와 연계하여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것은 이 지역의 생산품인 北魚와 麻布가 전국적인 수요를 보이던 상품이라는 점에서 더욱 활기를 띠었으며, 또한 이 시기 상품유통로의 개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던 배경 아래서 가능한 것이었다. 조선시대 상업의 중심지였던 서울, 개성 등 도시지역과 황해도, 평안도 지역을 연결할 수 있는 三防路의 개척, 全國 海路의 발달 등은 함경도 지역이 상품유통 과정을 통해 전국 경제권과 연결될 수 있는 조건을 마련해 주었다. 이러한 상업로를 통해 함경도 지역의 상품이 전국 소비지에 공급되고 또 미곡, 목면 등 함경도민의 일용에 필요한 물품을 구입할 수 있었던 것이다. 함경도 지역의 상품유통은 陸路를 통해서는 북어, 마포와 목면이 교환되는 형태로 이루어졌으며 海路를 이용하여서는 북어와 미곡이 교환되는 것이 일반적인 유형이었다. 또 이 지역의 특산물인 蔘, 貂鼠皮, 鹿茸 등에 대한 수요가 높아짐에 따라 함경도 지역 내에서는 내륙의 특산물과 연해읍 일대에 집산된 일용품을 교환하는 상품유통망이 형성되어 있었다. 이같이 활발한 상업활동은 유통의 주체인 상인층 내부에도 발전을 가져와 전업적인 상인층이 분화되고 있었다. 陸商層 안에서는 지역내 장시를 무대로 활동하던 보부상이 성장하고 있었으며 전국 소비지를 상대로 북어, 마포 등을 유통시키던 원격지 상인들의 활동이 전국에서 이루어졌다. 또 물화 집산지인 感興, 元山 일대에는 대규모의 자본과 관권을 배경으로 특정 상품의 판매를 독점하던 대상인층이 활동하고 있었는데 이는 조선후기 상업의 일반적인 특징인 都賈商業이 함경도 지역에서도 발달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船商層 내부에도 함경도 지역에서 어물의 賣集기능을 하던 海商層과 동해안 해로를 이용하여 경상도 지역과 직접 교류하고 있던 船主層이 분화되고 있었다. 浦口商業의 중심지에는 主人層이 성장하여 어물 유통의 중심으로 기능하며 함경도와 전국의 선상을 상대로 북어를 유통시키고 있었다. 이같이 다양한 상인층의 분화는 함경도 지역의 상업활동이 단순한 有無交換의 단계를 벗어나 경제의 한 범주로 자리잡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이들의 활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되어 감에 따라 전국 경제권에 함경도 지역이 확고하게 편입되어 가고 있었던 것이다. 이같이 18, 19세기 조선사회에서 발달하고 있던 상품유통경제는 전국 각 지역에서 나타나는 경제상의 변화였으며, 이는 조선사회가 자급자족의 중세적 경제틀에서 벗어나 보다 다양한 경제구조를 형성하며 발전해가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