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6 Download: 0

고교생이 지각한 부-자녀간 애정적유대와 대인관계성향간의 관계 연구

Title
고교생이 지각한 부-자녀간 애정적유대와 대인관계성향간의 관계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and Father-Child Affectional Bonds that Highschool Students Perceived
Authors
주소영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심리학과
Keywords
고교생부녀자녀간 애정적유대대인관계성향교육심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재은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고교생이 지각하는 父-자녀간 애정적 유대와 대인관계성향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최근에 와서 자녀와 아버지의 관계에 대한 질적인 이해를 위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동향에 따라, 다소 소외되었던 아버지변인을 독자적으로 다루어, 청년기자녀의 부모에 대한 애착이론의 개념적 틀안에서 남녀고교생이 지각하는 아버지와의 애정적 유대를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자녀의 일반적인 대인관계성향을 파악하고, 대인관계가 문화적 소산이며 성격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외적요인 즉 가족관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본 신프로이드학파의 대인관계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하에서 父-자녀간 애정적 유대에 대한 남녀고교생의 지각이 그들의 대인관계성향에 어떻게 반영되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 연구는 남자고등학생 396명, 여자고등학생 347명, 총 74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측정도구는 김재은의 부모-자녀관계검사에서 아버지와 관련된 문항과 Armsden Greenberg가 청년기를 대상으로 제작한 IPPA에서 부모와의 애착관련 문항만을 추출하여 본 연구자가 재구성한 父-자녀간 애정적 유대 척도와 안범희(1985)가 제작한 대인관계성향검사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요인분석(Factor analysis), t검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중다회귀(Multiple Regression)분석, 정준상관(Canonical correlation)분석, 상관분석, 다원변량분석(MANOVA)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父-자녀간 애정적 유대(father-child affectional bonds)에 있어 그 하위요인은 공감도(empathy)와 친밀도(closeness)라는 두 요인으로 구분되었으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아버지와 친밀하게 지내고, 막내가 차녀보다 아버지와 더 친밀하게 지내는 것으로 보여졌다. 2. 父-자녀간 애정적 유대에 대한 아버지의 변인의 결정요인은 공감도영역에서는 아버지의 교육수준이, 친밀도와 애정적 유대 전체점수에 대해서는 아버지의 직업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3. 고교생의 일반적인 대인관계성향은 사교-우호적, 수용-공감적, 경쟁-독립적, 지배-우월적, 반항-공격적, 독단-불신적, 과시-도취적성향으로 하위요인이 나누어졌다.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사교-우호적, 지배-우월적, 독단-불신적성향이 높았으며 대인 관계성향 전체점수에 있어서도 유의미한 성차가 있었다. 대인관계성향 각 하위요인에 대한 출생순위차는 남학생에게만 유의하였고, 차남에 비해 장남과 막내가 사교-우호적성향이 높았으며, 장남이 차남보다 수용-공감적, 경쟁-독립적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4. 고교생이 지각한 父-자녀간 애정적 유대의 각 하위요인은 대인관계성향의 각 하위요인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자녀가 아버지와의 공감도와 친밀도가 높다고 지각 할 수록 반항-공격적, 독단-불신적인 대인관계성향이 낮았고, 사교-우호적, 수용-공감적성향은 높았다. 또한 친밀도가 높을 수록 사교-우호적, 지배-우월적, 과시-도취적성향이 높았다. 즉, 공감도는 반항-공격적, 독단-불신적, 과시-도취적, 지배-우월적성향에 영향을 미치고, 친밀도는 독단-불신적성향을 제외한 6개 대인관계성향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하지만, 父-자녀간 애정적 유대의 공감도와 친밀도가 대인관계성향의 각 하위요인에 대한 설명력은 l∼6%수준에 머물러 저조하였다. 5. 父-자녀간 애정적 유대가 대인관계성향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녀의 성별에 따라 유의한 상관의 차이가 있었던 부분을 살펴보면, 남학생의 경우 공감도가 높다고 지각할 수록 사교-우호적, 수용-공감적성향을 나타내었으며, 여학생은 공감도가 높다고 지각할 수록 지배-우월적성향이 낮았다. 그와 동시에 남녀고교생 자녀는 모두다 아버지와 자신의 공감도가 높다고 지각할 수록 반항-공격적, 독단-불신적성향이 낮았다. 남녀학생 모두 친밀도가 높을 수록 사교-우호적, 수용-공감적인 대인관계성향이 높았다. 한편 남학생은 아버지와의 친밀도가 높을 수록 경쟁-독립적성향이 높았고 독단 -불신적성향이 낮았으며, 여학생은 친밀도가 높을 수록 반항-공격성성향이 낮았다. 남녀고등학생 모두 맏이는 반항-공격적, 독단-불신적성향에서 공감도와 두드러진 부적관계를 보였다. 차남은 공감도가 높다고 지각할 수록 수용-공감적성향이 높았으며, 차녀는 반항-공격적성향에서 부적관계를 보여주었다. 막내의 경우에 아버지와 자녀의 공감도요인은 남녀가 다른 결과를 보이고 있는데 남학생은 독단-불신적성향과, 여학생은 반항-공격적성향과 부적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또 여학생은 막내의 경우 아버지와 공감도가 높다고 지각할 수록 사교-우호적, 수용-공감적성향이 높았다. 다음으로, 독자는 사교-우호적, 지배-우월적성향과 정적관계를 나타내었고, 독녀는 아버지와의 공감도가 높을 수록 지배-우월적, 반항-공격적, 과시-도취적성향이 낮았다. 친밀도가 대인관계성향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남학생의 경우 장남과 독자에게서만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즉 장남은 사교-우호적, 수용-공감적성향과 정적관계를, 독자는 지배-우월적성향과 정적관계를 나타내었다. 여학생의 경우 장녀와 막내는 아버지와 친밀도가 높다고 지각할 수록 사교-우호적성향과 정적관계를, 반항-공격적 성향과는 부적관계를 동일하게 나타내었으며, 차녀는 아버지와 자신이 친밀하게 지낸다고 지각할 수록 사교-우호적, 수용-공감적성향이 높았다. 외동딸에게 있어서 父-자녀간 애정적 유대의 공감도요인과 친밀도요인 모두에서 과시-도취적인 대인관계성향과 부적상관을 나타내었다. 6. 남녀고교생이 지각한 아버지와의 애정적 유대가 높은집단과 낮은집단은 대인관계 성향에 차이가 있었다. 남학생의 경우, 아버지와의 공감도가 높은집단은 사교-우호적, 수용-공감적성향이 높았고, 낮은집단은 반항-공격적, 독단-불신적성향이 높았다. 친밀도가 높은집단은 사교-우호적, 수용-공감적, 경쟁-독립적, 과시-도취적성향이 더 많았다. 여학생의 경우 공감도가 높은집단은 사교-우호적성향을 많이 나타내었고, 친밀도가 높은집단은 사교-우호적, 수용-공감적, 경쟁-독립적성향이 높았다. 공감도와 친밀도요인 모두에서 아버지와의 애정적 유대가 높은집단은 반항-공격적성향이 낮았다. 한편, 아버지와 자녀의 친밀도가 높은집단과 낮은집단의 반항-공격적인 대인관계 성향에서의 차이는 성차에 기인한 효과에 의하여 영향을 받고 있었다. 이와는 달리 사교-우호적, 수용-공감적, 독단-불신적, 반항-공격적성향은 父-자녀간 애정적 유대에 있어서 아버지에 대해 공감도가 높은집단과 낮은집단의 차이에 기인한 주효과가 유의미하였다. 친밀도가 높은집단과 낮은집단의 차이에 기인한 효과는 사교-우호적, 수용-공감적, 경쟁-독립적, 지배-우월적, 과시-도취적인 대인관계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남녀고교생의 아버지에 대한 애정적 유대 관계의 공감도와 친밀도는 자녀의 원만하고 성숙된 대인관계와 중요한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the interpersonal relation dispositions and father-child affectional bonds that highschool students perceived. This study, according to the current tendency of the study to understand the father-child relations, intended to analyze father-child affectional bonds that highschool students perceived, within the conceptual framework of the theory of attachment of adolscents about the parents, dealing with father-variables which has been often ignored. Considering Neo-Freudian's basic concepts of the interpersonal relations, it also intended to examine how perceptions of highschool students about father-child affectional bonds reflected to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highschool students of 743; male 396, female 347. The measurement scales used in this study were Ahn, Bum Hee's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s Scale and Father-child Affectional Bonds Scale which was reconstructed by examiner from items related to father in Kim, Jae En's parent-child relations Scale and attatchment items with parents in IPPA made by Armsden and Greenberg. The data were processed by SPSSPC, SPSS-X and SAS for t-test,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Pearson Product Correlation Analysis, MANOVA.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In father-child affectional bonds sub-factors were divided into two factors - empathy and closeness, and it was found that females were more intimate with father than males. 2. The level of education of father had an effect on the empathy of father-child affectional bonds, at the same time the job of father had an effect on the closeness and affectional bonds. 3. In the general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s of highschool stuedents, sub-factors were divided into sociable-friendly, acceptable- empathic, competitive-independent, dominant-superior, rebellious-aggressive, dogmatic-distrustful, exhibitionistic-narcissistic dispositions. In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s there were significant sex differences and birth-order difference had significance in males. 4. The more child perceived high empathy and closeness with father, the lower there were rebellious-agressive, dogmatic-distrustful dispositions and the higher sociable- friendly, acceptable-empathic dispositions. And the higher closeness was, the higher sociable-friendly, dominant-superior, exhibitionistic-narcissistic dispositions were. The explaination of the empathy and closeness of father-child affectional bonds with each sub- factor of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s were quite low, 1-6%. 5. There were differences in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s between high group and low group in father-child affectional bonds. In males, high group in empthy showed higher sociable-friendly, acceptable-empathic dispositions and high group in closeness showed higher sociable-friendly, acceptable-empathic, competitive-independent, exhibitionistic-narcissistic dispositions. In females, high group in empthy showed higher sociable-friendly dispositions and high group in closeness showed higher sociable-friendly, acceptable-empathic, competitive-independent dispositions. In both empthy and closeness high group in father-child affectional bonds showed lower rebellious-agressive dispositions. On the other hand, the difference in rebellious-agressive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s between high and low group in father-child closeness was influenced by effect caused by sex difference. Sociable-friendly, acceptable-empathic, dogmatic-distrustful, rebellious-agressive dispositions were significant in the effect caused by difference between high and low group in empathy- It was showed that the effect caused by difference between high and low group in closeness had an influence on sociable-friendly, acceptable-empathic, rebellious-agressive, dogmatic-distrustful dispositions. As a result, It was showed that the empathy and closeness of father-child affectional bonds of highschool students had great relevance to the child interpersonal relatio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