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황응연-
dc.contributor.author윤찬정-
dc.creator윤찬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8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81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834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810-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unctioning and individual personality traits. The family give direct effects o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individual personality. The family functioning, which is made up with and maintained by family members, affects the individual personality traits. Therefore this study is going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unctioning and individual personality traits disposi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in total 409 undergraduate students 180 males, 229 females. The measuring instrument were used Olson and Wilson's (1985) Family Adaptability & Cohesion Evaluation Scale(FACES Ⅲ) adapted by Song, Nam Ho and complemented in this stud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general trend of family functioning.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two factors measuring family functioning were ' interdependence' and 'independence' in this study. And the measuring instrument were used Hwang, Eung Yun's(1992) Standardized Personality Diagnostic Tes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ersonality traits disposition. The data collected were processed by SPSS for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test, TWO WAY ANOVA and ONE WAY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 family functioning trend, which undergraduate students perceived appeared generally that both of the family interdependence and independence have not been realized. But there was significant sex differences in both of the family interdependence and independence. Also there was significant level differences of the social and economical home background in the family interdependence. That is, results showed generally that male students' family interdependence and independence was higher than female students'. And highly rated persons in the level of the social and economical home background showed higher family interdependence. 2. Generally undergraduate students' personality traits disposition belong to the normal range. Relatively anti-social behaviors, achievement, dominance, sociability etc. appeared higher than emotional stability and reflectiveness. There was significant level differences of the home background in the dominance and sociability disposition, and significant sex differences in the autonomy disposition. That is, highly rated persons in the level of the social and economical home background showed higher dominance and sociability disposition, and female students' autonomy disposition was higher than male students'.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sex and grade, and between sex and major in the activity disposition. That is, sophomore and art & physical major male students' activity disposition was higher than other male students' but there were not grade and major differences for female students. 3. Highly rated persons in the family interdependence and independence each showed relatively higher activity, emotional stability, dominance, sociability, achievement disposition and low psychoneurosis, psychosis, anti-social behaviors disposition. That is, activity, emotional stability, dominance, sociability and achievement disposition tend to get higher when the family is functional. On the other hand, psychoneurosis, psychosis, anti-social behaviors disposition tend to get lower.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know the fact that one gets smoother, maturer and more desirable personality traits disposition as family functioning gets higher.;본 연구는 가족의 기능성과 개인의 인성 특성과의 관계를 알아보려고 한 것이다. 가족은 개인의 인성 형성과 발달에 있어 가장 기본적이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가족 구성원들에 의해 형성되고 유지되는 가족의 기능성은 개인의 인성 특성에 영향을 미치므로 본 연구에서는 가족의 기능성과 개인의 인성 특성 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밝혀 보려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180명의 남자 대학생과 229명의 여자 대학생, 총 409명을 피험자로 삼았다. 측정 도구는 가족의 기능성 경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송남호(1985)가 번안한 Olson(1985)의 가족 적응력·가족 결속력 평가척도(FACES Ⅲ)를 본 연구에서 다시 보완하여 사용했는데, 가족의 기능성을 재는 두 요인인 기존의 가족 적응력과 가족 결속력 항목이 요인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는 가족의 상호의존성과 독립성의 요인으로 묶였다. 그리고 인성 특성의 경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황웅연(1992)의 표준화 인성 진단 검사(대학생·성인용)를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의 처리는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t-검증, 이원변량분석(TWO WAY ANOVA) 그리고 일원변량분석 (ONE WAY ANOVA)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가족의 기능성 경향은 전반적으로 가족의 상호의존성과 독립성 모두에 있어 잘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가족의 상호의존성과 독립성 모두에 있어 성별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상호의존성에 있어 가정의 배경 수준에 따른 차이도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전반적으로 남자 대학생들의 상호의존성과 독립성이 더 높았고,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 수준이 높을수록 상호의존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대학생들의 인성 특성 경향은 일반적으로 정상 범위에 속했는데. 비교적 반사회적 경향, 성취성, 지배성, 사회성 등이 안정성이나 사려성보다 높게 나타났다. 가정의 배경 수준에 따라 지배성과 사회성 경향에서 그리고 성별에 따라 자율성 경향에서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 수준이 높을수록 지배성과 사회성이 높았으며, 자율성 경향은 여자 대학생들이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활동성에 있어 성별과 학년, 성별과 계열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는데, 2학년 남자 대학생의 활동성 경향이 다른 학년의 남자 대학생들보다 높았고, 예·체능 계열의 남자 대학생의 활동성 경향이 다른 계열의 남자 대학생들보다 높았지만, 여자 대학생들에서는 학년이나 계열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3. 상호의존성과 독립성이 각각 높을수록 개인의 인성 특성 경향 중 활동성, 안정성, 지배성, 사회성, 성취성 경향이 비교적 높고, 신경증적 경향, 정신장애적 경향, 반사회적 경향이 비교적 낮아졌다. 즉, 가족이 기능적일 때 활동성, 안정성, 지배성, 사회성, 성취성 경향이 비교적 강한 반면 신경증적, 정신장애적, 반사회적 경향이 낮아지는 추세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가족이 기능을 잘 할수록 더 성숙되고 원만하며 바람직한 인성 특성의 경향을 갖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특히 가정의 위상이 떨어진 현대 사회에서 가족의 기능성을 이해함으로써 개인의 인성 발달 지도에 또 다른 접근 방법을 제시하여 준다고 보여진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ⅳ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5 A. 가족의 기능성 = 5 B. 가족의 기능성과 인성 특성 = 11 Ⅲ. 연구 방법 = 17 A. 연구 대상 = 17 B. 측정 도구 = 18 C. 조사 절차 = 23 D. 자료처리 = 23 Ⅳ. 결과 및 해석 = 24 A. 가족의 기능성의 경향 분석 = 24 B. 인성 특성의 경향 분석 = 31 C. 가족의 기능성과 개인의 인성 특성과의 관계 분석 = 38 Ⅴ. 요약 및 논의 = 44 참고문헌 = 50 부록 = 55 ABSTRACT = 5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8904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가족-
dc.subject기능성-
dc.subject개인-
dc.subject인성 특성-
dc.title가족의 기능성과 개인의 인성 특성과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unctioning and Individual Personality Traits-
dc.format.pageix, 6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심리학과-
dc.date.awarded199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