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7 Download: 0

심리사회적 성숙도·의사결정유형과 상담에 대한 기대감과의 관계연구

Title
심리사회적 성숙도·의사결정유형과 상담에 대한 기대감과의 관계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Relation Among Psychosocial Maturity, Decision Marking Style and Counseling Expectation
Authors
김성희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심리학과
Keywords
심리사회적 성숙도의사결정유형상담기대감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혜성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with two purposes. One of the two purposes were to identify the Expectation About Counseling, Decision Making Style. The other purpose was to examine the relation of psychological maturity, decision making style and expectation about counsel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undergraduate students of 317 in Seoul, Pusan, ChungCheong.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 real client group and latent client group. The measurement scales are "Expectation about Counseling" developed by Tinsley( 1980), "Decision Making Scale" developed by Harren(1984) and Seo B. Y.' "Psychosocial Maturity Scale". The data was statistically processed with factor analysis, t-test, MANOVA and one way ANOVA. The results from this study read as follows: 1. By factor analysis of Expectation About Counseling, 14 factors were gained for subjects. 2. By factor analysis of Decision Making Style, 3 factors were gained. The factors were the same as the original factors. 3. Expectations about counseling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clients' types. That is, real clients expected Motivation, Openness, Continuance factore more than latent clients did. 4.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expectation about counseling according to level of psychosocial maturity. That is, psychosocially more mature clients had more positive expectations about counseling on the Responsibility, Sel f-disclosure, whereas psychosocial ly less mature clients had significantly more positive scores on the Initiative, Empathy. 5.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expectation about counseling according to decision making style. That is, client of rational style had expectation about counseling on the Responsibility, and client of dependent style had counseling expectation on Acceptance.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know fact that counselors' constitute a various counseling purpose and approach according to client's characteristic, and the fact that it is need to active public relations for ordinary person has properly knowledge.;본 연구는 상담에 대한 기대감 중 내담자변인과 상담자변인을 가지고 실제 내담자와 잠재 내담자의 기대감의 차이를 비교했으며, 실제 내담자를 대상으로 심리사회적 성숙도, 의사결정유형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하고 있는 있는 도구 중 표준화되어 있지 않은 도구를 요인분석함으로써 하위 요소들이 어떻게 구성되는지도 함께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실제 내담자와 잠재 내담자로 나뉘어 지는데, 실제 내담자는 서울·부산·충청지역에 거주하는 남녀 대학생으로 총 145명이었고, 잠재 내담자는 서울에 있는 남녀 대학생으로 172명이었다. 측정도구는 Tinsley의 상담에 대한 기대감척도와 서봉연(1993)의 심리사회적 성숙도척도, Harren(1984)의 의사결정유형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요인분석, t-검증, 단일변량분석 그리고 다변량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온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담의 기대감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요인수는 기존의 18개의 하위요인에서 14개의 요인으로 줄어들었고 과정 및 결과변인, 내담자변인, 상담자변인으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었다. 과정 및 결과변인은 3개 요인에서 1개 요인으로 감소했고, 내담자변인은 4개 요인에서 7개 요인으로 늘었으며, 상담자변인은 11개 요인에서 6개 요인으로 줄어들었다. 기대하는 비중은 과정 및 결과변인이 가장 컸고, 내담자변인에 대한 기대비중이 가장 낮았다. 2. 의사결정유형은 기존의 검사와 동일하였다. 3. 상담에 대한 기대감은 내담자의 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실제 내담자들은 잠재 내담자보다 내담자의 동기성, 개방성, 조급성에서 더 높게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심리사회적 성숙도 수준에 따라 기대감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성숙도 수준이 높은 내담자일수록 내담자의 개방성과 책임성 그리고 상담자의 자기공개에 대한 기대가 높았고, 성숙도 수준이 낮은 내담자일수록 상담자의 주도성, 공감성에 기대가 높았다. 5. 의사결정유형에 따라 기대감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합리적 유형의 내담자들은 내담자의 책임감에 대한 기대가 높았고, 의존적인 내담자들은 상담자의 수용성에 높은 기대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효과적인 상담을 위해서 상담에 종사하고 있는 사람들이 해야할 일을 제시하고 있는데, 내담자의 특성에 따른 적절한 상담목표와 다양한 접근방법이 사용되어야 함은 물론이고 상담을 시작하기 전에 상담에 대한 orientation이 철저하게 이루어져야 하고, 내담자 뿐 아니라 일반대중에게도 상담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심어주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또한 본 연구는 실제 내담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이므로 상담연구에 보다 실질적인 자료를 제공했다고 할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