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4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은화-
dc.contributor.author이사임-
dc.creator이사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7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80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834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802-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perceiving the qualitative difference of actual play behaviors by investigating what is the difference like in the choice of peer play form and play behaviors according to the sociometric status among children. To achieve these purposes the specific questions have been set up in this study as follows: 1.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peer play form of children according to the sociometric status? 2. What is the difference social behavior among each peer play according to the sociometric status? 3. What is the difference in the entry strategies of the complementary social play according to the sociometric statu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8 children, 4 years old from the S kindergaten in Seoul. The sociometric status were measured using a peer rating scale made by Asher et al, and the peer play form were measured using the peer play scale made by Johnson, Christie and Yawkey which is created by Howes. The observation was performed during the free play by two observers. The data analysis was mean, standard deviation, frequency, percentage, t-test, and then the qualitative difference was analyzed through the case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erized as follows: 1.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eer play form of children in accordance with the sociometric status. The popular children showed lots complementary play with mutral awareness and complementary social play than the unpopular children. On the other hand, the unpopular children showed the simple paralled play and nonplay activities. 2. The popular children showed the positive activities such as things distrubution, the acceptability of his friend's requirement and cooperation, while the unpopular children showed the negative activities like threatening, things-snatching and pushing. So they were neglected among the peer players. 3. In the entry strategies into the complementary social play, the popular children used a variety of methods like direct entry requirement, getting attention and observing, and thus they acquired the positive response about entering from the play groups. However, the unpopular children were allowed to enter the play groups by means of other peer player's requirement and giving an imitation, and they got the negative response. About the negative response, if any, the popular children entered the play groups by using the various strategies such as threatening and negotiating, while the unpopular children were ignored from the play groups with the stategy with appealed to the adult authouity.;본 연구는 유치원에서의 자유놀이시간 동안의 관찰을 통해 또래간 인기도에 따라 유아의 놀이 형태가 어떻게 다른지를 알아보고, 실제 놀이행동의 질적인 차이를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의 또래간 인기도에 따라 유아의 놀이형태는 차이가 있는가? 2. 유아의 또래간 인기도에 따라 각 놀이 형태에서의 사회적 행동은 어떠한가? 3. 유아의 또래간 인기도에 따라 상호역할사회놀이에 가입하는 방법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에 위치한 중·상류층 유아들이 취원하고 있는 유치원의 만 4세 1학급의 유아 33명을 대상으로 두 번의 인기도 검사를 실시하여 선정된 인기아 9명과 비인기아 9명을 포함한 총 18명이다. 또한 사례연구의 연구대상자는 인기아 2명(여아 1명, 남아 1명)과 비인기아 2명(여아 1명, 남아 1명)이었다. 연구도구는 또래간 인기도 측정을 위한 또래평정척도법 Howes가 개발하여 Johnson과 Christie 및 Yawkey가 발달시킨 또래놀이척도(Peer Play Scale)이었다. 관찰은 2명의 관찰자가 자유놀이시간 동안의 놀이행동을 관찰지에 관찰·기록하는 것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사례연구를 위해 대상 유아의 모든 말과 행동을 일화기록법을 통해 수집하고, 정확한 상황정보를 위해 비디오 촬영을 병행하였다. 자료분석은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그리고 또래간 인기도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두 독립표본 t검증을 하였으며, 놀이행동의 질적인 차이는 사례를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또래간 인기도에 따라 유아의 놀이형태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기아가 비인기아보다 상호의식사회놀이, 상호역할사회놀이를 더 많이 하였으며, 비인기아는 단순병행놀이, 아무것도 안하기를 더 많이 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같은 놀이형태에서 인기아가 다른 또래 놀이자의 개인적 흥미와 욕구를 인정하여 즉각적인 반응을 하였고, 물건 나누어주기, 친구의 요구 수락하기, 도와주기 등의 긍정적인 행동을 한 반면에 비인기아는 위협하기, 부정하기, 물건 빼앗기, 밀기와 같은 부정적인 행동을 하였다. 또한 비인기아는 다른 또래 놀이자의 요구에 즉각적인 반응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다른 또래 놀이자로부터 무시되는 반응을 받았다. 셋째, 진행중인 상호역할사회놀이 가입방법에 있어서 인기아는 직접적인 가입을 요청하거나 주의끌기, 지켜보기 등의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인기아의 가입에 대해 놀이집단으로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받았다. 반면 비인기아는 놀이 가입이 주로 다른 또래 놀이자의 요청이나, 모방에 의하여 이루어졌으며, 비인기아의 가입에 대해 놀이집단으로부터 부정적인 반응을 받았다. 또한 놀이집단의 부정적인 반응에 대해 인기아는 놀이감의 공동적 사용에 대해 이야기하기, 위협하기, 협상적인 제안하기 등 다양한 전략을 사용하여 놀이집단에 가입하는 반면, 비인기아는 성인의 권위에 호소하는 전략을 사용함으로서 놀이집단으로부터 무시당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6 Ⅱ. 이론적 배경 = 7 A. 유아의 또래간 인기도 = 7 B. 유아의 놀이 = 19 C. 선행 연구 = 26 Ⅲ. 연구방법 = 33 A. 연구대상 = 33 B. 연구도구 = 36 C. 연구절차 = 40 D. 자료분석 = 41 Ⅳ. 결과 및 해석 = 42 A. 유아의 또래간 인기도와 놀이 형태 = 42 B. 유아의 또래간 인기도와 놀이에서의 사회적 행동 = 45 C. 유아의 또래간 인기도와 놀이가입 방법 = 57 Ⅴ. 논의 및 결론 = 64 A. 논의 = 64 B. 결론 및 제언 = 68 참고문헌 = 71 부록 = 79 ABSTRACT = 8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03516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유아-
dc.subject또래간 인기도-
dc.subject놀이형태-
dc.subject놀이행동-
dc.subject.ddc300-
dc.title유아의 또래간 인기도에 따른 놀이형태 및 놀이행동-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peer play form and play behaviors according to the sociometric status among children-
dc.creator.othernameLee, Sa Im-
dc.format.pagevii, 8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199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